지역의 각 기관·단체들이 펼치고 있는 추석 장보기 행사를 두고 시장 상인들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대구시와 구·군 및 공사·공단 등 관계기관은 지난 22일부터 다음 달 2일까지 재래시장 장보기 행사를 진행중이다.
장보기 행사가 지자체 입장에서는 전통시장 소비촉진과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행사의 취지를 살리면서 명절 민심 파악과 애로사항 청취 등 각종 민생 소통의 장으로 활용하는 장점이 있다.
대다수의 시장 상인들은 “어려운 경기에 매출에 도움이 된다”며 반기고 있다. 반면 일각에서는 “단체장 사진 찍기용으로 전형적인 보여주기식 행사”라며 비판한다.
최근 대구 한 시장에서 진행된 추석맞이 전통시장 장보기 행사에서도 시장 상인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이날 행사는 단체장 인사 말씀, 전통 화재 예방 캠페인, 기념 촬영 등의 순으로 진행했다. 참석한 내빈들은 시장 곳곳을 1시간 가량 돌며 상인·시민들과 인사를 나누며 제수용품을 구매했다.
하지만 행사에 참여한 100여 명이 한꺼번에 장을 보면서 가뜩이나 좁은 시장통은 물건 하나 고르기 힘든 상황을 연출하기도 했다. 시장 입구에서 장보기 행사가 집중되다 보니 시장 안쪽에 위치한 상가들은 장보기 행사의 혜택을 보지 못하는 일도 있었다. 혜택을 본 상인들도 행사에 큰 의미를 두지는 않았다.
채소를 판매하는 한 상인은 “한날 한시에 사람들이 몰리다 보니 잠시 장사가 잘되는 것 같아도 매출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서 “연례행사 처럼 시장을 방문할게 아니라 평소에 시장을 자주 이용했으면 한다”고 꼬집었다.
그는 또 “시장 입구에서 장보기 행사를 하고 사람들이 우르르 밀고 들어오면 단골 손님도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있다”며 “행사를 하더라도 흩어져 장보기를 먼저 한 다음 모여서 기념행사 등을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어려운 경기에 장보기 행사라도 해주니 고맙다는 반응도 있었다. 또 다른 한 상인은 “명절이 대목이라는 말은 이미 사라졌다. 이렇게 어려운 경기에 장보기 행사라도 해주니 고마울 뿐”이라고 전했다.
상인들의 엇갈린 반응에 대해 한 기관장은 “일부 상인들의 불만을 충분히 알고 있고, 그들의 심정을 이해한다. 평소에도 전통 재래시장을 많이 이용해 시장 상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제수 용품 등의 가격 인상, 차례상 간소화와 더불어 차례를 아예 지내지 않는 시민들이 늘면서 시장 상인들의 한숨도 깊어지고 있다.
글·사진/황인무기자 him7942@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