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지역의 은행자동화기기(ATM)가 최근 5년 동안 4분의 1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 점포 축소에 이어 ATM까지 빠르게 사라지면서 고령층과 농촌 주민들의 금융 불편이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22일 국민의힘 추경호(대구 달성군)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대구·경북 ATM 설치현황(2020~2025.7.)’에 따르면, 전국 ATM은 2020년 말 3만 3707대에서 올해 7월 말 2만 5987대로 7720대(22.9%) 감소했다. 같은 기간 대구는 2048대에서 1528대로 25.3% 줄었고, 경북은 1280대에서 930대로 27.3% 감소해 전국 평균보다 더 빠른 하락세를 기록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대구 중구는 240대에서 75대로 31.2% 줄어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다. 이어 달서구는 463대에서 139대로 30% 줄었고, 북구 26.5%, 서구 23.6%, 동구 23.5% 등 전 지역에서 ATM 축소가 뚜렷했다.
경북 역시 상황은 비슷하다. 구미시가 264대에서 176대로 33.3% 줄었고, 경주시 31.6%, 경산시 28.7%, 포항시 27.3% 감소해 전국 평균을 훨씬 웃도는 감소율을 보였다.
은행별 현황을 보면, 신한은행이 246대에서 170대로 30.9% 줄었고, 국민은행은 326대에서 227대로 30.3% 감소했다. 아이엠은행은 1549대에서 1123대(-27.5%), 우리은행은 206대에서 152대(-26.1%), 농협은행은 560대에서 427대(-23.7%) 줄었다.
추경호 의원은 “은행 지점 축소 문제와 함께 ATM마저 빠르게 사라지면서 금융 소외가 지역과 계층별로 확대되고 있다”며 “금융당국과 은행권은 공동 ATM 운영 확대, 편의점·공공시설 내 설치 지원, 비대면 금융 취약계층을 위한 대체 서비스 마련 등 제도적 보완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은희기자 jange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