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해병대전우회는 26일 포항시청 브리핑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해병대 준(準) 4군 체제 전환과 포항 해병대 1군단 창설을 강력하게 촉구했다. 이날 호소문 발표를 시작으로 포럼·토론회 개최, 대시민 홍보, 중앙정부 의견 전달 등 체계적인 후속 조치도 이어갈 예정이다. 고한중 회장은 “시민 공감대가 가장 중요하다”라면서 “서명운동과 해병대 출신 국회의원 연대 등 제대로 준비해 실행하겠다”고 말했다.
기자회견에서 전우회는 북한군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여해 실전 경험을 쌓는 데다 날이 갈수록 북한의 핵 위협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군 구조 혁신은 더 미룰 수 없는 국가적 과제이고, 해병대의 독립성과 전력 기동성 강화를 위해 ‘준 4군 체제 전환’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준 4군 체제 전환’의 핵심 과제로 포항 해병대 1사단을 확대 개편을 통한 해병대 1군단 창설을 꼽았다. 해병대 1사단을 해병대 1군단으로 격상해야 국가안보의 새로운 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게 전우회의 설명이다.
전우회는 “오천읍과 장기면 일대에 이미 국방부 소유 부지가 충분히 확보돼 있어서 인프라 구축이 가능해 해병대 1사단이 주둔 중인 포항이 해병대 1군단 최적지”라면서 “1군단을 창설하면 현재 2만8000명의 병력이 4만여 명으로 늘게 돼 최소 1만 명 이상의 인구가 지역에 유입되는 효과도 누리게 된다”라고 강조했다. 여기에다 정부가 추진 중인 육·해·공사관학교 통합 ‘국군사관학교’ 창설 때 해병사관학교를 유치하면 ‘안보도시’로서의 포항의 위상을 한층 높일 수 있다는 점도 내세웠다. 해병대 1군단 창설에는 중앙정부 차원의 주민 설득과 보상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보탰다.
특히, 전우회는 1군단 창설은 단순히 군 조직 개편을 넘어 포항을 K-방산의 거점으로 육성하는 전략적 기회라고 제시했다. 전우회는 “철강산업과 자동차 부품산업, 포스텍 등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강력한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밝혔다.
전우회는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 포항 유세 때 준 4군 체제 전환, 해병대 회관 건립을 약속했고, 한미정상회담에서도 국방 강화와 국방비 증액을 언급했기 때문에 ‘준 4군 체제 전환’이라는 공약 이행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날 전우회는 특검이 진행 중인 ‘채 해병 사망사건’과 관련해 “전우회가 당시 현장에 함께 있었다면 사고를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며 “큰 책임을 느낀다”고 입장을 밝혔다.
글·사진 /김보규기자 kbogyu84@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