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성소병원 의료진 실내외 온도차 5도 이상이면 위험 신호
최근 경북을 비롯한 전국 곳곳에서 낮 최고기온이 35도를 넘나드는 폭염이 이어지다, 장마철 비가 내리며 밤 기온이 25도 이하로 떨어지는 등 극심한 일교차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냉방기 사용이 급증하면서 ‘냉방병’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눈에 띄게 늘고 있다.
안동시 임동면에 거주하는 50대 박모 씨는 “며칠 전부터 복통과 설사, 감기처럼 기침과 콧물이 함께 나타나 병원을 찾았다”며 “에어컨을 하루 종일 틀어놓은 게 원인인 것 같다”고 말했다.
냉방병은 여름철 실내외 온도차가 클 때 자율신경계가 제대로 적응하지 못해 발생하는 증후군이다. 감기와 유사한 증상 외에도 소화불량, 근육통, 피로감, 어지럼증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성소병원 가정의학과 차윤준 과장은 “냉방병은 단순한 감기와 달리 위장 장애나 전신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며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 면역력이 약한 사람은 더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최근에는 냉방병을 단순한 환경 질환이 아닌 ‘생활 습관병’으로 보는 시각도 늘고 있다.
차 과장은 “무리한 냉방은 일시적인 쾌적함을 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건강을 해칠 수 있다”며 “자신의 체온과 환경에 맞는 냉방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냉방병을 예방하기 위해 △실내외 온도차를 5도 이내로 유지하고, 에어컨 바람이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할 것 △하루 8잔 이상의 물을 마셔 체온 조절과 수분 균형을 유지할 것 △실내에서도 가벼운 스트레칭이나 걷기 운동을 통해 혈액순환을 돕고 면역력을 높일 것 △에어컨 필터를 주기적으로 청소해 세균과 곰팡이로 인한 호흡기 질환을 예방할 것 등의 생활 수칙을 권장하고 있다.
여름철 건강을 지키기 위한 첫걸음은 바로 ‘온도 조절’이다. 시원함을 추구하는 만큼, 몸의 균형도 함께 챙겨야 할 때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