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도, 포항 영일만 횡단 고속도로 건설 박차

이시라 기자
등록일 2025-08-13 17:03 게재일 2025-08-14 5면
스크랩버튼
市와 힘 모아 올해 안에 사업 확정
 내년 사업시작 목표로 매진키로
 포항시개발자문위 기자회견 열고
“예산 삭감, 시민 기만 정치 사기극” 
 정부·정치권 강력 규탄하고 나서
Second alt text
13일 포항시개발자문위원연합회가 포항시청 브리핑룸에서 성명을 통해 “영일만 횡단대교 예산 삭감은 50만 포항시민을 기만한 정치적 사기극”이라며 정부와 정치권을 강력하게 규탄했다. 

경북도가 2008년 광역경제권발전 30대 선도프로젝트에 선정된 이후 17년간 첫 삽도 뜨지 못한 포항 영일만 횡단구간 고속도로 건설사업 해결에 나선다. 포항시와 힘을 모아 올해 안에 사업을 확정 짓고, 내년에 사업을 시작한다는 목표가 실행되도록 매진하겠다는 것이다.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13일 “북극항로 개척과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영일만 횡단구간 고속도로는 필요한 사업”이라며 “포항시와 긴밀하게 협조해 올해 안에 사업이 확정돼 내년에는 사업을 시작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영일만 횡단대교는 포항시 남구 동해면 약전리에서 북구 흥해읍 남송리 일원에 영일만을 횡단하는 해저터널과 해상교량으로 연장 18㎞, 왕복 4차로로 계획된 고속도로다. 총사업비는 약 3조2000억원 규모다.

그러나 연말 개통 예정인 포항~영덕간 고속도로 사업에 포함되고도 경제적 타당성 부족 등을 이유로 미뤄지고 있다.

포항~영덕간 고속도로 건설은 2013년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 간의 총사업비 협의 과정에서 국가재정부담 및 국도대체우회도로 활용 가능성 등의 사유로 영일만 횡단구간을 제외한 포항 흥해읍에서 영덕IC구간(30.9㎞)만 확정해 공사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경북도는 포항~영덕간 고속도로의 총사업비 변경을 통해 영일만 횡단구간 고속도로가 건설되도록 국회와 중앙부처 등을 찾아 계속 설득했다. 국토교통부는 이를 받아들여 2021년 영일만 횡단구간에 대해 타당성 조사를 하고, 기획재정부는 이듬해 포항~영덕간 고속도로의 총사업비 변경 승인 협의를 거쳐 영일만 횡단구간 고속도로가 포함될 수 있도록 추진해 국비 등 사업비를 반영했다.

하지만 2023년 기획재정부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를 기점으로 현재까지 지지부진한 상태다. 어렵게 확보한 2025년 예산(1821억 원)도 지난 정부 추경 편성 때 전액 삭감돼 지역에서는 사업이 취소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불안감이 조성되기도 했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지난 7일 영일만항을 북극항로 개척에 대비해 신북방경제의 핵심 관문과 동해안 에너지산업의 물류거점으로 육성하고자 경제부총리를 직접 만나 관련 사업을 건의했고, 영일만 횡단대교를 필수적인 사업으로 건의했다.

그는 서해안 고속도로와 남해안 고속도로 완공으로 형성된 L자형 국가도로망을 2015년 개통된 포항~울산 고속도로와 연말 개통 예정인 포항~영덕 간고속도로를 이으면 U자형 국가도로망을 완성할 수 있어 영일만 횡단대교는 끊어진 동해안의 맥을 잇고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반드시 추진되어야 하는 사업임을 강조했다.

한편 포항시개발자문위원연합회는 이날 포항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영일만 횡단대교 예산 삭감은 50만 포항시민을 기만한 정치적 사기극”이라며 정부와 정치권을 강력하게 규탄했다. 

포항시와 포항시의회까지 싸잡아 비난한 연합회는 △해상 경유 원안 노선 즉시 확정 △2026년 본예산에 영일만 횡단대교 건설사업비 반드시 반영 △포항시·포항시의회·지역구 국회의원 정당 초월해 한 목소리로 사업 추진할 것 등 3가지 요구안을 제시했다.  
글·사진/이시라·이창훈기자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