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80주년 맞은 광복절 “빛을 되찾은 가치를 알고, 의미 되새기자”

김재욱 기자
등록일 2025-08-13 16:52 게재일 2025-08-14 1면
스크랩버튼

대한민국이 광복을 맞은 지 80주년을 맞았다. 일제 36년의 참혹한 식민 통치에서 벗어난 1945년 8월 15일은 민족의 정체성과 자주권을 잃지 않기 위해 싸운 수많은 이들의 헌신과 희생이 결실을 맺은 날이었다. 이를 통칭해 우리는 ‘광복’이라 부른다. 

‘빛을 되찾은 날’

우리 국민에게는 국권을 회복하고, 민족의 이름을 되찾았으며 새로운 세상을 맞이한 중요한 날이다.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자유는 수많은 희생과 노력의 산물이다. 총칼 앞에서도 굴하지 않았던 독립운동가, 국외에서 조국의 광복을 위해 외교적, 무장투쟁으로 맞섰던 이들, 국내에서 민족 교육과 문화 운동으로 정체성을 지켜낸 수많은 보통 국민의 힘이 뭉쳐 이룬 결과이다.

이런 한반도 역사의 현장 중심에 대구·경북이 있었다. 

1919년 3월 8일 대구에서는 학생과 시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대한독립 만세’가 울려 퍼졌다. 대구 약령시에 있는 교남 YMCA 회관은 독립운동 정보를 전파하는 거점 역할을 했다. 

박상진을 중심으로 1915년 대구에서 조직된 대한광복회는 일제의 식민통치를 무너뜨리고, 공화정 체제의 독립국가를 건설하는 것이 목표인 비밀 결사 단체였다. 

여성독립운동가의 활약도 눈부셨다. 3·8 만세운동을 이끈 교사 임봉선, 여성 의열단원 현계옥 등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여성 독립운동가들이 활동하며 힘을 보탰다.

대구에서는 이러한 독립운동을 기억하기 위해 국립신암선열공원, 대구근대역사관, 희움일본군위안부역사관 등 다양한 공간을 마련해 조국독립을 위해 헌신한 애국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린다.

경북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독립유공자를 배출한 만큼 독립정신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전체 독립유공자의 약 14%에 해당하는 2500여 명의 인물이 경북 출신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석주 이상룡 선생을 비롯해 수많은 독립운동가가 경북 안동의 임청각에서 배출됐다.

대한민국 독립의 초석을 다진 지역인 만큼 경북은 독립운동 역사 발굴과 선양을 위해 독립유공자 발굴 사업, 기념관 건립, 관련 행사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민간에서도 8·15 광복을 기념하는 다양한 행사를 벌여왔다. 가장 대표적인 행사는 경북 포항 신광중학교의 ‘8·15 한마음 체육대회’이다. 1947년부터 시작된 이 대회는 올해로 72회째를 맞은 역사 깊은 행사이다. 

우리 민족은 광복 직후 분단이라는 비극과 함께 한민족끼리 남북으로 갈려 총을 겨누는 전쟁의 상처를 겪었다. 수많은 정치적 혼란과 외환위기, 사회 갈등의 고비를 안고 살아왔다. 지금도 불평등, 지역·세대 갈등, 정치 양극화를 풀어야 할 숙제를 안고 있다.

80주년 광복절을 맞은 우리사회는 광복의 의미와 가치, 역사적 중요성을 되새기는 ‘그날’이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