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본토 조선인 강제동원 현장 60여 곳 기록 11일부터 24일까지 계명대 극재미술관서
광복 80주년을 맞아 일본 본토에 남아 있는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동원 흔적을 기록한 사진전이 대구에서 열린다.
사진기록연구소는 광복 80주년 기획 전시 ‘잊혀진 이름 남겨진 자리-조선인 강제동원의 기록’을 11일부터 24일까지 계명대학교 대명캠퍼스 극재미술관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연구소 소속 사진작가 5명이 지난 해 일본 전국에 흩어져 있는 조선인 강제동원 현장 60여 곳을 직접 답사해 기록한 사진 70여 점을 선보인다. 작가들은 일본 오키나와에서 큐슈, 시코쿠, 혼슈, 홋카이도 등을 돌며 기록을 사진에 담았다.
특히, 최근 갱도 입구가 발견돼 한일 양국의 비상한 관심을 받고 있는 야마구치현 조세이 해저 탄광과 지난 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돼 논란이 됐던 니가타현 사도광산 등 비교적 널리 알려져 있는 곳은 물론, 효고현의 아마루베 철교와 쇼와못, 기후현의 노다터널 등 그동안 국내에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았던 조선인 강제동원 현장들이 다수 소개된다.
또 박은경 기록 전문작가(한국애드 대표)가 합류해 사진기록연구소가 답사, 촬영한 현장들의 역사적 사실과 의미를 방대한 자료 조사를 거쳐 정리, 기록해 사진자료집 ‘잊혀진 이름 남겨진 자리-조선인 강제동원의 기록’으로 엮어냈다.
사진기록연구소 장용근 소장은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동원을 흔히 전쟁에 국한된 일본의 국가 폭력으로 알고 있지만, 조선인 강제동원은 1910년 불법적 한일합방 이전부터 광범위하게 이뤄졌다”며 “메이지유신 이후 일본의 근대화, 산업화 과정의 가장 밑바닥에서 노동력을 착취 당했고, 태평양전쟁을 거쳐 일본 패망까지 억울하게 희생됐지만 그 누구도 기억해 주지 않는 조선인들을 기리고자 이번 전시를 기획했다”고 밝혔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