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지역만의 고유 전략’ 설계… ‘도시경쟁력 본질’ 바꾸다

김재욱 기자
등록일 2025-07-13 20:06 게재일 2025-07-14 8면
스크랩버튼
수성구, 민선8기 3주년 성과
교육·경제·문화·복지·환경 연결
4대 특구에 동시지정 ‘전국 유일’
김대권 대구 수성구청장. /대구 수성구 제공

대구 수성구가 민선 8기 3주년을 맞아 도시경쟁력의 본질을 바꾼 그간의 성과를 발표했다.

수성구에 따르면 ‘사람 중심의 행정, 질적 가치 중심의 전략’을 내세우며 지난 3년간 지방소멸, 재정악화, 수도권 집중 등의 위기 속에서도 흔들림 없이 도전하고 혁신을 이끌며 눈에 띄는 결과를 도출했다.

핵심은 ‘질적 전환’. 

수성구 관계자는 “기존의 ‘일반적 정책’이 아닌 ‘지역만의 고유 전략’을 설계하고 실행해 온 것이 수성구만의 비책”이라고 설명했다.

수성구는 도시의 단순 확장이 아닌, ‘왜 이곳에서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정책으로 답했다. 교육, 경제, 문화, 복지, 환경을 유기적으로 연결한 통합 정책을 통해 도시의 유일성을 만들어냈고, 이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기회발전특구·교육국제화특구·교육발전특구·문화특구 4대 특구 동시 지정’이라는 성과로 이어졌다.

특히 수성알파시티가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되면서, 수성구는 미래산업 중심도시로 빠르게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5년 스마트도시 특화단지 선정, 18만 평 규모 제2수성알파시티 개발 추진, 경북대 SW 캠퍼스 연계는 디지털 산업 생태계를 단단히 구축했다.

교육 분야에서도 수성구는 독보적 성과를 내고 있다. 교육국제화특구와 교육발전특구로 지정된 수성구는 수성미래교육관을 중심으로 유네스코 아태교육원과 협력해 세계시민교육 및 국제교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로봇, 드론 중심의 코딩 교육과 오픈 AI의 챗GPT·구글의 바드와 같은 생성형 AI를 활용한 특화교육도 단계별로 운영하고 있으며, IB교육 전문화, 국제가상학교, SW특성화고 등과 연계한 글로벌 교육 플랫폼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대구 수성못 수상공연장 최종 당선작 조감도. /대구 수성구 제공

문화예술 정책에서는 새로운 기준을 세웠다. 대한민국 문화도시에 선정돼 도시 전체가 거대한 문화경제 도시로 연결을 실현 중이다. 대구미술관, 대구간송미술관, 국립대구박물관, 들안예술마을, 수성아트피아와 조성 예정인 연호지구 작은미술관, 디자인 특화도서관, 대구스타디움 칼라스퀘어 미디어아트 전시관 등을 연계해 도시 전체를 미술관화하는 ‘아트뮤지엄 시티’ 구상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수성국제비엔날레는 국내 최초로 전시가 아닌 실제 건축물 구현이라는 혁신적 시도를 해 확장된 문화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김대권 수성구청장은 “지난 3년 수성구는 위기와 불확실성 속에서도 도시의 본질적 경쟁력을 되묻고, 주민과 함께 새로운 길을 개척해왔다”며 “앞으로도 기존의 틀을 따르기보다 우리만의 새로운 궤도를 만들고 그 위에 수성구의 열차를 올리겠다. 수성구만의 유일한 정체성으로, 미래 모델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

대구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