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쿨링포그’로 온도는 낮췄지만 매출 부진 해소엔 역부족 상황 상인들 폭염 피해 줄이기 사투
“연이은 찜통 더위에 습도까지 높으니 숨이 턱턱 막힙니다.”
8일 오전 대구 남구 관문시장. 체감온도가 35도를 넘나드는 찌는 듯한 무더위에 전통시장 상인들은 힘겨운 여름나기를 하고 있었다. 최근 ‘쿨링포그’ 시스템이 도입되며 다른 전통시장에 비해 쾌적한 상황이라곤 하지만, 더위를 막기에는 역부족인 모양새였다.
이날 시장 상인들과 장을 보러 나온 시민들은 선풍기와 부채, 손수건 등을 이용해 더위를 식히거나 흘러내리는 땀을 닦았다. 이마에 땀방울이 맺힌 상인들은 혹시 물건이 불볕더위에 손상될까 봐 연신 진열대를 살피기에 바빴다.
야채 상인 이모씨(45·여)는 “무더위로 채소가 쉽게 짓 물리기 때문에 품질 관리를 잘해야 한다”면서 “전날 얼린 얼음을 콩나물이 담긴 대야 주변에 넣어두기도 하고, 소분 포장한 야채를 아이스박스에 보관하고 있다. 손님이 물건을 찾으면 꺼내준다”고 폭염 시 가게 운영방법을 설명했다.
폭염때문에 매출이 떨어진다는 얘기도 나왔다.
이한수 관문시장 상인회 수석부회장은 “매년 평균적으로 6, 7, 8월은 비수기로 분류된다. 폭염 영향으로 사람들이 나오지 않다 보니 매출이 떨어진다“면서 “시장 특성상 창문이 없고, 오픈돼 있다 보니 에어컨을 가동해도 소용이 없다. 더위를 그냥 버텨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나마 우리 시장은 숙원 사업인 쿨링포그를 설치해 그나마 효과를 보고 있는 것이지 다른 곳은 더욱 열악할 것”이라고 했다.
폭염 속에서도 전통시장 특유의 매력을 즐기려는 소비자들도 제법 있다.
장을 보러온 시민 정 모(70) 씨는 “오후에는 햇살이 뜨거워 나오기 힘들어 오전 이른 시간에 반찬거리를 사러 온다”며 “제철 식재료를 눈으로 볼 수 있고 덤도 주는 전통 시장만의 정과 매력이 있어 항상 시장을 오게 된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 남구 지역 전통시장 5곳에는 무더위를 해소할 쿨링포그 설치·운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가동은 기온이 30도 이상이고, 습도(70~80%) 이하가 되면 자동으로 켜진다. 오전 9시부터 켜져 시장 종료 시까지 20분간 작동하고 10분간 휴식한다.
쿨링포그는 정수된 물을 미세한 안개 형태로 분사해 주변 온도를 3~5도가량 낮추는 시스템이다. 여름철 고온 환경에 노출되기 쉬운 고령자 등 기후 위기 취약계층 보호에 효과적인 장치로 알려져 있다.
/황인무기자 him7942@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