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AI 도입 여행업계 ‘차별화된 서비스’

최병일 기자
등록일 2025-05-12 18:49 게재일 2025-05-13 17면
스크랩버튼
하나투어, 멀티 AI 여행 비서 ‘하이’
인터파크, 패키지 비교 추천 ‘AI 픽’ 
한국관광공사, 개인 맞춤 정보 제공
세부일정 짜주고 비용•시간 계산도
여행업계에 AI가 도입되면서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한 일정짜기는 물론 여행비서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_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생성형 AI가 발전하면서 여행산업의 패러다임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항공권, 숙박, 액티비티 예약 대행과 같은 기존의 천편일률적인 패키지형 여행상품 대신 생성형 AI가 다양한 소비자들의 수요를 반영한 일정을 짜주는 시대가 된 것.

여행업계도 빠르게 AI 기술을 적극 도입해 여행 상품 추천, 비교, 고객 경험 개선에 주력하고 있다.

여행업계 선두주자인 하나투어는 멀티 AI 대행 서비스인 ‘하이’(H-AI)를 내놨다. 하이는 일종의 AI여행비서로 ‘채팅상담’과 ‘여행정보 서비스’를 통합해 여행준비와 현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맞춤형으로 응답하게 설계됐다.

참좋은 여행의 큐브(Cuve) 서비스는 사용자의 여행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한 AI기반의 개인 맞춤형 여행비서다. 나만의 여행여행지 추천에서 예약관리, 사전준비사항, 여행가이드, 여행 후 리뷰 작성까지 도와준다.

모두투어는 ‘고객 후기 수집’과 ‘서비스 개선’을 중심으로 AI를 활용하고 있다. 챗봇으로 여행 후기와 만족도를 수집하고 AI 리뷰 큐레이션이 수집한 후기를 분석해 상품 상세 페이지에 노출해 소비자의 구매 의사 결정을 돕는다. 부정적인 후기나, 부적절한 콘텐츠도 감지해 고객 응대에 나서기도 한다.

패키지를 추천 비교하는 서비스도 나왔다. 인터파크 투어는 패키지 추천·비교 서비스 ‘AI 픽’을 운영 중이다. 이는 여행객이 선택한 상품과 유사한 상품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추천해주며 상품간 주요 특징을 한눈에 비교해 준다.

노랑풍선은 ‘여권 정보 등록 자동화 서비스’을 운영 중이다. 여행객이 제출한 여권 이미지를 자동으로 판독해 필수 정보를 자동 검증하는 시스템이다.

여권 정보 제출 과정이 간소화되면서 여행객은 물론, 직원들의 시간을 절약했다. 또 잘못된 여권 정보 입력으로 인한 항공기 탑승 거부 등의 문제도 방지한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국내 여행사의 AI 도입 수준은 아직 간단한 업무보조에 머물러 있다. 정해져 있는 패키지 또는 자유 일정을 맞춤형으로 변경한 수준이다.

AI에서 다양한 일정과 경험을 고객에게 제시해도 현실여건 상 여행사에서 이를 수용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AI 활용도에 있어서는 한국관광공사가 더 적극적이다.

한국관광공사는 ‘대한민국 구석구석’이라는 여행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으며 AI기술을 활용해 ‘AI콕콕’과 ‘AI콕콕 플래너’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AI 콕콕은 사용자의 여행 성향을 분석하여 맞춤형 여행지를 추천해주는 서비스다. 이 서비스는 한국관광 100선, 한국관광품질인증 숙소, 안전 여행지 등의 여행정보를 제공하며 SNS등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전국 인기 여행지와 인기여행 콘텐츠를 제공한다.

AI콕콕 플래너는 인공지능 기반의 여행계획 서비스로 사용자의 선호도와 행동패턴을 분석하여 개인맞춤형 여행일정을 제공한다.

마이로 앱

AI를 활용해 여행 세부 일정을 짤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도 있다.  여행벤처 엠와이알오가 만든 마이로(MYRO)가 그것. 방문하고 싶은 여행지 명소를 선택하면 AI가 알아서 일정을 짜준다. 

스투비 플래너 앱을 활용하면 최근 유행하는 여행지를 찾아준다. 여행 예상 비용과 소요시간도 계산해 준다. 

조일상 하나투어 홍보팀장은 “국내 여행업계가 AI를 도입한 시기도 짧고 대부분 외부 솔루션·제휴 API 의존해 차별화된 알고리즘이나 UX가 부족하다”며 “글로벌 온라인 여행사(OTA)들은 가격과 수요를 예측하고 시간대별 코스 추천이나, 어린이 동반 여부나 취향에 따라 일정을 조정하는 수준까지 나아갔다”고 말했다.

조 팀장은 “국내 여행업계도 적극적으로 AI 기술의 발전을 통해 이미지 인식기반 여행정보 제공이나 스마트 여행경비 관리 안전여행을 위한 위험예측 기능 등 첨단의 여행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준으로 나가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병일기자 skycbi@kbmaeil.com

라이프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