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삶의 쉼표가 되는 섬 ‘청산도’서 유유자적 거닐어요

최병일기자
등록일 2025-04-07 19:24 게재일 2025-04-08 16면
스크랩버튼
청산도

을사년의 봄은 소걸음을 하고 오는 것 같다. 따스한 봄기운이 대지에 퍼지는 것 같으면 심술궂은 아이처럼 눈이 내렸다. 그래도 봄은 왔다. 이미 거리는 벚꽃으로 화사하다. 광폭하던 산불도 꺼지고 새로운 희망을 품어야할 때. 자신을 돌아보고 사람들과 따뜻한 정을 나눌 수 있는 여행지를 찾아보면 어떨까? 느리고 여유롭게 걸어서 여행할 수 있는 곳을 슬로시티라고 한다. ‘유유자적한 도시, 풍요로운 마을’이라는 뜻의 이탈리아어 ‘치타슬로(cittaslow)’의 영어식 표현이다. 전남 완도군 청산도에 가면 세계 슬로길 1호로 지정된 곳이 있다. 청산도 슬로길을 걸으며 봄의 기운을 마음껏 느껴보면 어떨까?

전남 완도군에 자리한 더딘 풍경의 섬

亞 첫 슬로시티·세계 슬로길 1호 지정

한국 첫 100만 관객 돌파 영화 ‘서편제'

한류 드라마 ‘봄의 왈츠' 촬영지로 유명

썰물 때 모래섬 드러나는 ‘풀등해변'과

동글동글 갯돌 가득한 ‘갯돌해변'도 눈길

범바위 전망대서 섬전체 한눈에 볼수도

서편제길
서편제길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영화 ‘서편제’의 고향

전라남도 완도군에 있는 청산도는 더딘 풍경으로 삶의 쉼표가 되는 섬이다. 푸른 바다와 산, 구들장 논, 돌담길 등은 슬로시티 청산도를 대표하는 이미지다. 청산도의 마을과 마을을 잇는 길도 슬로길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청산도 슬로길은 제주올레, 지리산 둘레길 등과 함께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길의 반열에 올랐다. 국제슬로시티연맹은 2011년 청산도 슬로길을 세계 슬로길 1호로 공식 인증했다.

청산도는 걸어야 제격이다. 비가 오든, 바람이 불든 섬 곳곳에서 가벼운 배낭을 메고 걷는 사람들을 만난다. 걷기 여행자에게 필수 방문지가 된 청산도는 슬로길 11개 코스에 17개 길로 이뤄져 있다. 길마다 걸맞은 풍경이 어우러지고 사연이 차곡차곡 쌓인다. 총 42㎞에 이르는 슬로길 전체 코스를 걷는 데 꼬박 2박3일이 걸린다지만, 여행자의 얼굴에는 지친 기색이 없다. 모두 여유롭고 행복한 표정이다.

범바위
범바위

청산도는 2007년 신안 증도, 담양 창평 등과 함께 아시아에서 처음 슬로시티로 지정됐다. 돌멩이로 투박하게 쌓아 올린 담장, 바다와 어우러진 다랭이논, 얕은 바다에 그물을 친 뒤 줄다리기 하듯 전통 방식으로 고기를 잡는 휘리, 제주에서 건너와 정착한 해녀의 미소…. 청산도의 자연과 사람이 모두 슬로시티로 지정된 배경이다. 섬이 지향하는 슬로건 역시 ‘삶의 쉼표가 되는 섬’이다. ‘느림의 종’, 쉼표 조형물 등 느림을 형상화한 조각물이 곳곳에 있다. 뭍에서 청산도를 오가는 여객선 이름도 ‘아시아 슬로시티호’ ‘슬로시티 청산호’다.

청산도의 이런 이미지에는 영화 한 편이 큰 몫을 했다. 청산도항에서 당리 언덕길을 오르면 국내 영화 최초로 100만 관객을 돌파한 ‘서편제’ 촬영지가 모습을 드러낸다. 주인공들이 ‘진도아리랑’을 부르며 내려오는 장면은 느리게 흘러가는 청산도의 시간을 반영한다. 당리 언덕길은 봄이면 청보리, 가을이면 코스모스로 단장한다. 대표적인 한류 드라마 ‘봄의 왈츠’를 촬영한 화랑포전망대까지 아우르는 이 길은 청산도를 대표하는 슬로길 1코스 화랑포길이다. 당리 언덕에서 내려다보면 배가 드나드는 청산도항과 도락리 마을이 아득하게 펼쳐진다. 슬로시티 청산도가 그림엽서처럼 한눈에 담긴다.

최근에는 김태리가 정극배우로 나와 화제가 되었던 드라마 정년이의 촬영지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정년이의 고향집과 유년시절을 슬로길 1코스에서 촬영했다고 한다.

서편제촬영지
서편제촬영지

◇돌담골목 구들장 논 등 푸근한 풍경 곳곳에

청산도의 시골 삶터가 궁금하다면 슬로길 7코스 상서마을에 가보는 것이 좋다. 상서리는 마을 전체가 구불구불한 돌담으로 채워졌다. 바람 많은 청산도의 돌담은 처마까지 층층이 솟았다. 미로 같은 돌담 골목을 배회하다 보면 발걸음도 느리게 머뭇거린다. 성긴 담벼락에는 이끼가 끼고, 돌담 사이에서 자라는 담쟁이덩굴에는 더딘 세월의 흔적이 묻어난다. 가을에는 담쟁이가 담벼락을 붉은색으로 물들여진다. 상서마을은 2014년 국립공원 최고 명품마을로 지정됐다.

청산도에서 볼 수 있는 인상적인 풍경 가운데 구들장 논이 한 몫 한다. 논바닥에 돌을 구들처럼 깔고 흙을 부어 만든 논으로 그 아래 배수로가 연결된 모양새다. 자투리땅을 활용해 농사를 짓던 이색적인 논과 경작 방식은 국가중요농업유산이자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등재됐다. 슬로길 6코스를 지나다 보면 구들장 논을 구경할 수 있다.

청산도 곳곳에서 만나는 해변은 독특한 풍광으로 섬의 변화무쌍한 모습을 전한다. 신흥마을 풀등해변(슬로길 7코스)은 썰물 때 모래섬이 드러나는 신비로운 광경을 간직한 곳이다. 진산마을 갯돌해변(슬로길 8코스)은 동글동글한 갯돌이 잔잔한 울림을 준다. 지리해변(슬로길 10코스)은 200년이 넘은 해송 숲과 1㎞ 남짓한 백사장이 어우러져 일몰이 아름다운 곳이다. 하룻밤 묵을 요량이면 작은 포구가 있고 예능 프로그램 ‘1박2일’ 촬영지로 알려진 신흥마을이 고즈넉하다.

예전에 북적이던 삶의 단상 역시 섬 한편에 고스란히 담겼다. 슬로길 11코스의 청산항 일대는 1930년대부터 1970년대 후반까지 고등어와 삼치 파시가 열리던 포구다. 청산항 포구 안쪽 안통길은 파시문화거리로 조성돼 옛 모습을 조명한다.

진산리갯돌해변
진산리갯돌해변

◇청산도 청정재료로 만든 슬로푸드도 일품

청산도 곳곳은 더디게 걷는 길이 미역줄기처럼 이어진다. 청산도 남쪽 범바위(슬로길 5코스)에는 섬 전체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가 자리 잡았다. 전망대 외관도 슬로시티 상징인 달팽이 모양이다. 맑은 날이면 거문도, 제주도까지 보인다. 읍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지석묘(고인돌), 서남 해안의 군사적 요충지였음을 보여주는 청산진성(슬로길 3코스) 등은 청산도의 역사를 낱낱이 보여준다.

슬로길 9코스는 가을에 특히 빛난다. 단풍나무가 줄지어 펼쳐져 화사한 단풍을 볼수 있기 때문이다.

청산슬로푸드체험학습장에서 청산도의 다양한 슬로 라이프를 경험하는 것도 뜻깊은 시간이다. 전통 어로 휘리, 조개공예 체험 외에도 청산도에서 나는 청정 재료로 만든 슬로푸드를 맛보는 기회가 마련된다. 청산도 내에는 주요 여행지를 오가는 슬로시티 순환버스가 배 시간에 맞춰 오간다. 굳이 승용차를 타고 들어서지 않아도 ‘쉼표’를 찍으며 슬로시티를 탐닉할 수 있다.

/최병일기자 skycbi@kbmaeil.com

청산도의 야경.
청산도의 야경.

※여행 정보

완도에서 청산도까지 가는 여객선은 완도항 여객터미널(1666-0950)에서 하루 6회 운항하며 50분 정도 걸린다.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해야 한다. 완도항여객터미널 홈페이지(island.theksa.co.kr)에서 더 다양한 정보를 자세하게 얻을 수 있다.

라이프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