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이 또한 지나가리니

등록일 2024-12-23 19:48 게재일 2024-12-24 18면
스크랩버튼
김규인 수필가
김규인 수필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하마스, 후티 반군과의 전쟁은 아직도 진행 중이다. 전쟁을 빨리 끝내겠다는 트럼프의 당선으로 전투는 더 치열하다. 전쟁에 끼어든 북한의 참전으로 잃어버린 한 평의 땅이라도 되찾아야만 하는 우크라이나의 몸부림이 절박하다.

국내의 정치 불안정은 나라의 모든 상황을 혼돈의 상태로 몰아넣는다. 금융시장의 불안으로 금리는 오르고 주가는 급락을 반복한다. 경제 관련 부처의 조치에도 불구하고 금리는 오르고 경기는 여전히 나쁘다. 장기간의 불황으로 소비는 줄어들고 기업의 고충도 늘어나고, 가뜩이나 힘든 국민의 삶을 더 힘들게 한다.

트럼프의 자국 우선주의로 관세를 큰 폭으로 올리겠다는 공약은 우리를 불안하게 한다. 트럼프의 당선으로 각국에서는 트럼프를 만나 자국의 국익을 논하는데 우리는 국내의 일을 처리하기에도 힘이 든다. 유럽이나 일본의 발 빠른 대응은 마음을 더 조급하게 한다. 이러다가 높은 관세와 방위비 분담으로 경제가 침몰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앞서는 것은 나 혼자만의 생각일까.

대중(對中) 관세 60%는 트럼프 집권을 앞둔 미국 국민이나 기업체에도 비상이다. 중국에서 물건을 수입해서 판매하는 미국 업체들은 재고를 늘리려 1년 치 이상의 재고를 확보하느라 분주하다. 미국 국민은 높은 관세로 비싼 물가를 두려워한다. 고율 관세 부과는 미국 국민의 반대에도 트럼프의 의지는 굳건하다.

우리나라 경제는 강대국 간의 대립과 갈등, 세계 각국의 전쟁과 우리나라의 정치적 불안정, 국제 공급망의 붕괴로 물가는 오르고 금융 불안은 잘 살고 싶다는 서민들의 삶을 짓밟는다. 이제는 정치는 잊고 자신들의 삶에 집중하겠다는 사람이 늘어난다. 가만히 있다가는 불안정의 쓰나미에 자신도 쓸려가 버릴지 모르기 때문이다.

불안정의 시대에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할까. 담양군은 긴급 민생안정대책 회의를 열어 대비하고 우범기 전주시장은 “불안정한 정국과 상관없이 전 공무원들은 정위치에서 맡은 바 업무를 소홀함 없이 챙겨야 한다”라고 말했다. 특히 “기회는 위기 속에서 온다는 마음가짐으로 진일보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해달라”고 발표했다. 나라에서도 금리와 물가의 안정을 위하여 정책을 펼치며 경제 관련 상황을 점검한다.

불안정의 시대를 살아가는 방법은 무엇일까. 혼돈의 시대에는 살아남는 것이 중요하다. 금융의 위기에, 정치의 혼란에, 물가의 불안정을 헤치고 살아남는 방법은 모두가 자신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야 한다. 나라는 나라대로 지방정부는 지방정부대로 기업은 기업대로 개인은 개인대로 자신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해 살아남는 것이다.

이번 겨울은 유난히 더 추우리라. 혹독한 추위가 온다고 하더라도 살아갈 방법은 있다. ‘이 또한 지나가리니’라는 솔로몬의 지혜가 아니더라도 우리는 경험으로 안다. 모든 것은 시간이 흐르면 풀릴 것이다. 지금은 모두의 얼굴에 웃음보다는 무거운 침묵이 드리워져 있지만 마음 놓고 웃을 날도 있을 것이다. 그날을 위해 우리가 지금 힘겨운 시간을 보내는 게 아닌가. 내일은 살아남아서 웃을 수 있으리니.

길 위의 마음 읽기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