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의 골은 깊고 정치가 양극단을 달린다. 우리가 어떻게 할지 모를 때는 문제의 핵심을 파고드는 질문이 중요하다. 질문이 중요한 건 누구나 잘 알지만 실생활에서 질문하는 건 드물다. 질문하는 건 눈치가 없거나 분위기를 방해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남을 의식하며 남의 말을 듣기만 한다.
심지어 학교 교실에서도 마찬가지다. 교사와 학생의 질문과 그에 대한 답이 오가는 가운데 진정한 교육이 이루어지는데 이제까지 우리 교육은 주입식으로 학생이 일방적으로 듣기만 했다. 질문하는 학생이 있기는 하지만 그 수가 적다. 그나마 최근에는 체험학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소통이 늘어나도 그러한 분위기는 여전하다.
물음에 많은 자료를 바탕으로 답을 주는 인공지능의 발달로 질문의 중요성은 더 커진다. 빠른 변화와 불확실한 미래에 갈 길을 잃은 사람들은 끊임없이 질문하고 자신에 맞는 답을 찾아야 한다. 얼마나 정리되고 정제된 질문을 하는가에 따라 자신이 받는 답도 달라진다. 인공지능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라도 많은 책을 읽거나 지식을 갖추어 질문의 질을 높여야 한다.
인공지능에 대해 어떻게 질문하고 얻어진 답을 자신에 맞게 해석하는 것은 자신이 할 일이다. 좋은 질문을 한다는 것은 그만큼 그 문제에 대해 깊이 이해하는 사람이다. 깊이 이해하기에 문제의 핵심을 간추려 인공지능에 핵심을 말할 수 있다. 그냥 피상적인 이해만으로는 질문하기는 어렵다. 간혹 피상적인 질문으로 답을 얻었다면 그 답 또한 문제의 핵심을 건드리지도 못하는 답일 수밖에 없다.
질문하고 답하는 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우리에게 인공지능은 그동안의 부진을 만회할 기회이다. 수업 시간에 대화도 없이 선생님이 설명한 내용을 주로 듣기만 하는 학생들이 충분한 이해를 하는 건 어렵다. 학교와 가정에서 인공지능을 사용할 수 있다면 호기심 많은 아이의 궁금했던 것을 많이 물어볼 것이다.
시간이 오래 걸리는 정보의 수집과 정리를 인공지능이 대신해 주어도 이를 최종적으로 옳은 자료인지 판단하고 활용하는 것은 사람이다. 인공지능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그 내용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 이러한 판단력을 기르고 좋은 질문을 위해서라고 독서는 필요하다. 인공지능을 잘 활용하여 제대로 된 정보를 얻기 위해서라도 독서는 무엇보다 필요하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하지 않는가. 세계적인 불황과 미국 우선주의를 주장하는 트럼프가 차기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되었고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이스라엘과 주변국과의 전쟁은 아직도 진행 중이다. 어려운 시기를 이겨내는 혜안을 얻기 위해서라도 인공지능과 가까이 지내며 힘든 시기를 이겨내었으면 한다. 본인이 힘든 시기를 이겨내고자 할 때 그 길은 반드시 열린다.
때마침 불어온 한강 작가의 노벨상 수상은 독서 인구의 확대를 가져온다. 또한 청년들 사이에서 일어난 텍스트 핏은 책을 읽을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든다. 길이 없을 것 같은 어둠 속에서도 우리는 스스로 찾아내야만 한다. 인공지능에 질문하고 책을 통해 확인한다면 어떠한 어려움도 이겨내면 한류의 꽃은 계속 피어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