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개체 활동 시기에 소나무 제거<br/>임업전문가 “확산과 무관치 않아”<br/>방제 매진하는 타 지자체와 달리<br/>숲가꾸기 예산 치중 적정성 논란
영덕군이 2023년부터 2년 동안 영덕군산림조합에 산불예방 숲 가꾸기 예산으로 100여억원에 가까이 지원한 것으로 확인돼 적정성 논란이 일고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 송이 주산지인 영덕군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방지 예산이 72억원 불과해 타지자체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마저 나온다. 숲가꾸기 사업이 되레 재선충 확충을 부추켰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영덕군산림조합에 따르면 올해 영덕군으로부터 위탁 관리 받은 숲가꾸기 사업 예산은 59억원, 지난해는 43억원이였다.
산림조합은 이 예산으로 지난 5월부터 9월까지 관련 사업을 실시했다. 문제는 사업 시기이다. 사실상 재선충의 중간매개체인 솔수염하늘소가 왕성하게 활동을 할 때 작업을 한 것이다.
월동한 솔수염하늘소 성충은 5월~7월 하순쯤 약 6㎜ 가량되는 원형의 구멍을 만든 뒤 밖으로 나와 어린 가지의 수피를 갉아 먹으며 성장한다.
따라서 이 시기는 소나무 제거 작업을 피해야 한다는 것이 산림업계의 정설이다. 그러나 영덕군산림조합은 이를 무시한 채 사업을 강행했다.
임업전문가들은 “소나무를 베어내면 그 냄새를 맡은 솔수염하늘소가 모여들어 인근 지역으로 삽시간에 번진다”며 “산림조합의 상식밖의 업무처리가 최근 영덕지역에 재선충이 크게 확산된 것과 무관치 않다”고 주장했다.
때문에 관리기관인 영덕군과 실행기관인 영덕군산림조합의 비전문적인 산림 행정을 비난하는 소리가 관련 업계에서 터져 나오고 있다.
영덕군의 산림행정 난맥상은 주요 사업 예산 편성에서도 드러난다.
지난 2년간 산불예방 숲가꾸기에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한 반면 정작 시급한 재선충 예방에는 72억원 밖에 편성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것.
다른 시·군에서는 숲가꾸기 사업예산을 재선충 피해 방지로 돌려 대처하는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특히 영덕군내 송이생산이 전국 최대 규모인 점을 감안하면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영덕군 지품면의 한 송이농가는 “재선충이 번지면 소나무가 쑥대밭이 되기 때문에 어떤 식으로든지 막야하는 것이 영덕의 현실”이라며 “물론 겨울철 산불방지 숲 가꾸기도 필요하지만 일은 우선순위가 있어야 하는데 참으로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영덕군 관계자는 “2025년부터는 영덕군산림조합으로 위탁 해 오던 숲가꾸기 예산을 영덕군에서 직접 직영함과 동시에 재선충 방제 예산으로 전환해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에 총력 대응하겠다”며 “2025년 자체예산 등을 증액해 숲가꾸기 예산 30억을 포함한 45억원을 소나무재선충병 춘기 방제에 사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영덕국유림관리소와 긴밀한 협업을 통해 단목벌채와 더불어 소군락 모두베기 및 예방나무주사 등 적기에 맞는 설계와 방제 전략을 수립해 질 높은 방제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박윤식기자newsyd@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