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국 안정화TF 1차 회의 개최<br/>韓대표에 수습로드맵 초안 보고<br/>탄핵 가결 땐 6월 퇴진·8월 대선 <br/>TF안이 더 빠른 정치 일정 강조
국민의힘이 윤석열 대통령의 거취와 관련해 ‘2월 하야-4월 대선’ 또는 ‘3월 하야-5월 대선’ 등의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3·4·7면>
국민의힘 정국 안정화태스크포스(TF)는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1차 회의를 열어 윤 대통령의 질서 있는 퇴진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이러한 내용의 정국 수습 로드맵 초안을 한동훈 대표에게 보고했다.
이양수 TF 단장은 이날 비공개 비상의원총회에서 “법률·경제적 리스크가 있어서 질서 있는 퇴진을 이번 주 중으로 확정하고 오는 14일 본회의에 있을 윤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무기명 투표에 대비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또 “탄핵보다 ‘2월 하야-4월 대선’, ‘3월 하야-5월 대선’이 빠른 일정”이라며 “탄핵소추안이 가결되면 6월에 내려오고, 8월에 대선을 하게 되기 때문에, TF 안대로 하야하고 대선을 치르는 게 국론분열을 최소화하면서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의힘은 이날 의원총회에서 이 같은 로드맵에 대해 의견을 주고받았으나 당내 이견이 첨예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늦어도 윤 대통령에 대한 2차 탄핵소추안 표결이 예고된 오는 14일 본회의 이전에 로드맵을 완성해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당내에서 ‘탄핵이냐 하야냐’를 두고 단합된 메시지가 나오지 않고 있다. 조경태 의원은 즉시 하야를 주장하고 있다. 윤 대통령이 만약 하야하면 헌법에 따라 60일 이내 대선을 치러야 한다. 다만 윤 대통령이 당에 임기를 일임했다고 해도 대통령 긴급 체포 등 사법부의 칼날이 자신을 향하고 있는 상황에서 당장 구속될 수 있는 하야를 선택하기는 쉽지 않다는 의견이 나온다. 반대로 조기 하야보다는 탄핵안을 통과시키고 헌법재판소 심리 국면으로 넘어가는 게 대선 국면에서 유리하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이에 더불어민주당은 윤 대통령의 탄핵을 연일 주장하고 있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이날 국민의힘의 퇴진 로드맵에 대해 “국민들이 납득할지를 판단해봐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오후 국회 본회의장 앞에서 취재진을 만나 “중대범죄자를 그때까지 그 지위에 놔두겠다는 것에 과연 국민들이 동의할지 모르겠다”며 이 같이 말했다.
민주당 강유정 원내대변인도 “국민들은 계엄 청구서로 고통받는데 국민의힘은 한가하게 대선 날짜 정하고 있느냐”며 비판했다. 강 원내대변인은 “국민의힘 정국안정화TF가 내년 상반기 대선 실시를 골자로 한 정국 수습 로드맵을 한 대표에게 보고했다”면서 “국민들이 원하는 건 즉각적 직무정지 즉, 하야 아니면 탄핵이고, 국민의힘은 연대책임자로서 반성문부터 쓰라. 오직 즉각적인 탄핵만이 답”이라고 강조했다.
/고세리기자 ksr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