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환경부는 낙동강 녹조 문제를 해결하라.”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은 30일 시청 동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환경부와 대구시를 향해 이같이 촉구했다. <사진>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에 따르면 매년 창궐하는 녹조 독 마이크로시스틴은이 대구 수돗물과 낙동강물을 농업용수 사용해 농사를 짓는 주변 농가의 쌀, 상추, 배추 등 농작물에서도 검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이들은 “올해 여름 폭염에서 보듯이 기후변화로 인해 녹조가 더 번성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환경부와 대구시는 보 수문을 개방해 녹조 독으로부터 시민들의 안전 문제 등 대책 마련에 나서고 영남의 젖줄인 낙동강을 살려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발언자로 나선 강호열 낙동강네트워크 대표는 “낙동강 유역은 영남의 아주 중요한 강이다. 먹는 물, 농산물, 공기마저 국민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며 “이미 4대강 보 개방을 통해 녹조현상이 없어지는 건 검증됐다. 낙동강 보를 허물거나 수문을 완전히 개방해 낙동강을 이전처럼 살아 흐르게 하라”고 요구했다.
/황인무수습기자 him7942@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