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경북 행정통합, 지역 분열 조장”

정안진 기자 · 피현진 기자
등록일 2024-06-20 20:27 게재일 2024-06-21 5면
스크랩버튼
안동시의회·예천군의회<br/>정례회서 결의안 채택 “강력 반대”
안동시의회가 지난 19일 제249회 안동시의회에서 ‘경북·대구 행정통합 반대 결의안’을 채택했다. /안동시의회 제공

대구시와 경북도가 ‘대구경북(TK) 행정통합 논의를 본격화하자 경북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반대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예천군의회는 20일 의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제272회 예천군의회 제1차 정례회에서 강경탁 의원이 대표발의(의원전원발의)한 ‘대구·경북 행정통합 추진 중단 촉구 건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군의회는 건의안에서 “경북도 신청사를 이전한 지 아직 10년이 채 되지 않았으며, 계속 지연되고 있는 도청 신도시 10만 자족도시 건설이라는 목표에 온 역량을 집중하기에도 모자란 시점에 다시 지역 통합론을 등장시킨다는 것은 경북권의 지역 분열을 조장하고 행정력을 낭비하는 정치적인 전략”이라고 지적했다.

군의회는 또한 지역민의 뜻과 의견을 배제하고 주민의 공감대 없이 지역균형 발전에 역행하는 일로 대구·경북 행정통합 추진을 즉각 중단하고 침체된 민생을 살리는데 최선을 다해주길 촉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안동시의회도 지난 19일 제249회 안동시의회 제1차 정례회에서 김순중 의원(풍산·풍천·남후·일직)을 비롯해 의원 18명 전원이 공동발의 한 ‘경북·대구 행정통합 반대 결의안’을 채택했다.

안동시의회는 이날 결의문을 통해 경북·대구 행정통합은 지방소멸 위기 극복의 해법이 될 수 없으며, 경북 북부권은 성장동력을 상실하고 행정중심 경북도청 신도시 건설은 미완성으로 멈출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경북·대구 행정통합 추진은 시도민의 동의 없이 광역단체장이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위로부터의 결합’이며, 500만 통합도시로 단체장의 위상은 높아지겠지만, 경북은 발전 기회가 줄어들고 소멸 위험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안동시의회는 △이철우 경북도지사에게 도민의 동의 없는 통합추진을 중단 △경북도의회에 경북의 정체성과 도민의 자존심을 지키도록 의결권 행사 △국회에는 균형발전과 지방자치 가치를 존중하는 차원에서 경북·대구 통합 반대에 앞장서 줄 것을 촉구했다.

대표발의자인 김순중 의원은 “시작은 행정통합을 내세웠지만, 과정은 주도권 싸움으로 대립하고 결과는 갈등과 분열로 끝날 우려가 있다”며 “도청 신도시 건설을 완료하지 못한 상황에서 행정구역 통합을 논하는 것은 적절치 않으며 경북도지사는 3단계 신도시 조성계획에 맞춰 10만 인구의 행정중심 자족도시를 완성하고, 경북북부지역 균형발전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안진·피현진기자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