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더 미룰 수 없는 과제” 일부 “사실상 연임 포석” 관측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추진 중인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표 반영 비율을 1대 1로 맞추는 당헌·당규 개정 작업을 둘러싸고 일부 의원들이 반발하고 있다.
23일 민주당 등에 따르면 당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 시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표 등가성을 맞추기 위해 관련 당헌·당규 개정 작업에 착수했다.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표 반영 비율이 기존 20대 1 미만에서 1대 1로 조정하는 게 핵심이다. 당원 주권을 강화하고 당내 민주주의를 실현하겠다는 취지이지만 대의원제가 무력화돼 전국정당의 가치가 훼손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민주당 윤종군 의원은 이날 SNS를 통해 “당원주권 강화 방향에 동의한다. 대의원과 권리당원 1인 1표제에 대해서는 지역위원장 영향력 때문에 개정이 필요하다는 데도 동의한다”면서도 “전지역 권리당원 표를 1인 1표로 하는 것에는 이견이 있다”고 밝혔다. 실제 TK 등 민주당 험지로 통하는 일부 지역위원장들은 지난 10일 진행된 워크숍에서 1인1표제에 대해 반대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표 가치가 동등할 경우 오히려 민주당 험지나 당내 소수 집단의 의견은 더욱 소외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민주당 강득구 의원도 “당원주권 강화는 분명 옳은 방향”이라면서도 “그러나 여기서 중요한 사실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당원주권 실현만큼이나 중요한 가치는 바로 전국정당의 완성”이라고 했다.
개정안이 가져올 파급효과에도 관심이 쏠린다. 대의원제가 무력화되면 강성 권리당원들의 영향력이 절대적이다. 정 대표의 핵심 지지층이 당 의사 결정의 중심으로 올라서면서 이번 개정이 사실상 연임 포석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당내 반발이 이어지자 정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과거 이재명 대통령이 1인1표제 방향에 찬성했던 사실을 언급하며 “헌법에서 보장한 1인1표제는 더 미룰 수 없는 당내 민주주의 과제”라고 주장했다. 이 대통령을 소환해 당 안팎의 반대 여론을 불식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24일 당무위, 28일 중앙위를 각각 열어 이번 당헌·당규 개정안을 의결한다는 방침이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