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와 영덕군이 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원한 2025 영덕 국제 웰니스 페스타가 행사 목적과 예산 집행 과정에서 심각한 부실을 드러내며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의료·치유·관광 중 어떤 목적을 위한 행사인지조차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이번 페스타는 법령이 요구하는 기초 절차와 근거 문서 없이 예산이 집행된 사례가 반복된 것으로 확인됐다.
23일 영덕군과 행사주최 기관 등에 따르면 이번 페스타에는 도비 5억8000만 원과 군비 4억2000만 원 등 총 10억 원의 세금이 투입됐다. 본지가 확보한 세부 산출내역을 분석한 결과 해외 초청 인사·한의사 숙박비 5000만 원, 만찬·식사비 1억8000만 원, 프랑스 (제1그룹) 및 인도 항공료 3000만 원, 프랑스 (제1그룹) 초청업무 대행비 3800만 원 등 핵심 지출 대부분이 산출 근거 없이 행사계획에 포함됐다.
특히 핵심 예산 6억7000여만 원은 모두 ‘협상에 의한 계약’으로 처리됐다. 지방계약법은 협상 계약을 예외적으로 허용하지만 영덕군은 이를 사실상 일반 계약 처럼 광범위하게 적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 행정 전문가는 “협상 계약이라 하더라도 근거 자료와 산출 내역은 반드시 제출해야 한다”며 “자료 미제출은 법 취지를 무너뜨린 중대한 절차 위반”이라고 말했다.
행정 절차와 규정 준수여부도 미흡했다.
외빈 초청비 집행 과정에서 항공권 등급, 실비 원칙, 상한액 규정 등 법적 기준이 적용되지 않았다. 영덕군은 기준 적용 근거 문서조차 제출하지 못했다. 초청 인사 숙박비로 책정된 5000만원은 사실상 5성급 호텔 수준으로 편성돼 특혜성 지원 논란을 피하기 어렵다.
주민들은 행사 효과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영덕군 주민 A씨(60)는 “웰니스 도시를 표방했지만, 지역에 돌아온 것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자영업자 B씨(40)는 “행사 기간 손님 수가 늘지 않았고, 평소와 달라진 점도 없었다”며 지역 상인이 들러리에 불과했음을 지적했다. 또 다른 주민 C씨는 “보여주기식 성과에만 집중하며 예산만 낭비했다”고 비판했다.
회계 관리 부실 문제는 이번 페스타 뿐만 아니라 지난 3년간 반복적으로 제기된 의혹과 웰니스 업무를 전담한 영덕문화관광재단 A본부장 횡령 사건과도 맞닿아 있다.
영덕 웰니스 페스타가 실제로 남긴 것은 주민들의 불신과 수십억 원의 혈세 낭비 뿐이었다. 행정과 회계 전반에 대한 철저한 점검과 제도 개선 없이는 ‘웰니스 도시’라는 이름이 결국 혈세 낭비 도시라는 오명으로 이어질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다.
/박윤식기자 newsyd@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