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수계 경북 시·군 간담회<br/>대구시 원안 63만t 보다 줄어, 강변 여과수 활용 등 추가방안 필요<br/>사업비는 2000억원 늘어… 9개 지자체 사업협의 부족 불만 표출
환경부가 대구시의 안동댐 직하류에서 취수한 물을 대구 문산·매곡 정수장까지 총 연장 110㎞의 도수관로를 연결하는 ‘맑은물 하이웨이’를 검토한 결과, 하루 평균 취수량은 46만t이 적절한 것으로 평가했다.
환경부는 지난 10일 경북 상주에서 ‘대구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 관련 낙동강 수계 경북 시·군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처음 열린 간담회에는 경북 안동시와 상주시, 문경시, 의성군 등 경북 9개 시·군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환경부는 이 자리에서 다음 달 최종 보고서가 나올 예정인 대구시의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 용역을 바탕으로 한 분석 결과, 하루 취수량이 46만t이 적정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구미, 안동 등 경북 지방자치단체 9곳의 관계자들은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과 관련해 사전 협의와 설명이 부족하다는 불만을 나타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대구시가 당초 계획했던 하루 취수량은 63만t으로 문산·매곡 정수장에서 취수하는 낙동강 표류수 전량을 대체 가능한 규모다. 대구의 하루 필요 수량은 약 57만t 정도다.
환경부가 이날 대구시가 원하는 63만t 보다 17만t이 적은 46만t을 적정한 취수량으로 제시함에 따라 시는 강변 여과수 활용 등 추가 취수 방안을 마련해야 할 상황이다.
환경부가 적정 취수량을 46만t으로 평가한 것은 과거 기상자료를 토대로 최대 가뭄 상황을 고려했을 때 도출된 수치다.
사업비도 당초 대구시가 책정한 1조8000억원 보다 2000억원이 많은 2조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건설 단가 상승, 추가 취수시설 설치 등에 따른 것으로 당초 대구시의 방안보다 크게 증가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대구시는 “하루 평균 56만t이 필요한데 부족한 부분은 다른 곳에서 취수할 곳이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 경북 지자체와 충분한 협의가 이뤄지도록 노력하겠다”면서 환경부가 제시한 대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이 정부 사업으로 추진되려면 용역 결과 발표 이후 지자체 합의에 따른 최종안이 확정돼야 한다. 이어 ‘낙동강유역 물관리심의위원회의’ 의결과 예타를 거쳐 국가수도기본계획에 반영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이곤영기자 lgy1964@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