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엑스코 30주년, 글로벌 마이스 허브 도약

김재욱 기자
등록일 2025-07-23 18:49 게재일 2025-07-24 8면
스크랩버튼
“지방 전시장서 세계 중심지로”
창립 이래 업적·미래 비전 제시
연간 2000여 건 전시회·회의 등
국제행사 통해 지역브랜드 성장
23일 대구 엑스코 창립기념식 행사가 진행됐다. /엑스코 제공

대한민국 최초의 지방 전시컨벤션센터 대구 엑스코(EXCO)가 올해 창립 30주년을 맞아 그간의 성장 발자취를 조명하고, 글로벌 MICE 허브로의 새로운 도약을 다짐했다.

엑스코는 1995년 법인 설립(7월 24일) 이후 2001년 개관을 기점으로, 국내외 전시·컨벤션 산업을 통해 지역 산업 발전과 글로벌 시장 확장을 선도해 온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매김 해왔다. 

현재는 연간 2000건 이상의 전시회 및 회의가 개최되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지역 MICE 허브로 성장, 지역경제 활성화에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엑스코는 개관 초기, 소규모 전시회 12건, 전시면적은 1만1617㎡ 수준에서 시작했지만, 2011년 서관 증축, 2021년 동관(제2전시장) 개관 등을 통해 전시회는 연간 120여건, 전시면적 3만7183㎡, 4000석 규모의 컨벤션홀과 23개의 회의실 등 대형 복합 전시공간으로 발전했다.

특히 지난 30년간 세계적인 국제행사를 유치하며 대구·경북의 브랜드를 글로벌 무대에 각인시켰다. 대표 사례로는 △2001 JCI 아태대회 △2013 제22차 세계에너지총회  △2015 제7차 대구경북 세계물포럼  △2018 제14차 세계기생충학회 △2022 제28차 세계가스총회 등이다. 

또 자체 주관전시회 중 글로벌 인증을 받은 행사는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2008년 UFI 인증) △국제소방안전박람회(2015년 UFI 인증)로 글로벌 참여기업들이 해마다 대구를 방문한다.

엑스코는 30주년을 맞이해 단순한 전시장을 넘어 시민, 지역사회와 산업교류의 플랫폼으로의 진화를 꾀하고 있다. 이를 위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디지털 전환·지속가능성 실천에 집중하고 있다. 최근 빠르게 변화는 외부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3대 전략으로 미래 성장 청사진을 구체화하고 있다.

Second alt text
엑스코 임직원들이 창립 30주년을 맞아 단체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엑스코 제공

3대 전략은 △산업 특화 콘텐츠 고도화: 미래차, 의료, 에너지, ICT 등 지역 전략산업과 연계한 전시와 회의 확대를 통해 글로벌 산업 허브로 성장 △친환경‧스마트 전시장 조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전시장 및 고객친화 전시 환경 조성 △지속가능한 운영체계 구축: ESG 실천, 탄소중립, 친환경 전시 모델 도입을 통해 지속가능한 MICE 생태계 조성 등이다.

하반기에는 미래혁신기술박람회(FIX)가 ‘한국판 CES’를 지향하며 오는 10월 개최되며, 대한민국미래공항엑스포가 대구‧경북 신공항 개항을 대비해 11월 신규로 개최된다. 

엑스코의 대내‧외 인프라의 변화도 눈여겨볼 만하다. 오는 2026년 제2전시장 동관 회의실 증축과 2030년 도시철도 4호선(엑스코선), 2035년 5호선(순환선) 개통 등으로 대중교통도 개선 될 전망이다.

전춘우 엑스코 대표이사는 “엑스코는 지난 30년간 지역과 함께 성장해 온 대표 전시컨벤션센터로, 이제는 글로벌 무대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시점”이라며 “앞으로도 시민과 기업, 그리고 세계를 연결하는 지속가능 한 플랫폼으로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

대구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