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3일 오전 포항 영일만에 석유와 천연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브리핑을 진행하며, 올해 말 첫 번째 시추공 작업에 들어간다는 계획을 밝혔다.
포항 지역 주민들은 이 소식을 반기면서도 걱정 또한 숨기지 않았다. 지난 2017년 포항지진의 악몽을 떠올렸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시추(試錐)란 ‘지하자원을 탐사하기 위해 땅속 깊이 구멍을 파는 일’이다. 포항지진은 땅을 파고 거기에 무리하게 높은 수압을 가해 일어난 것으로 학자들은 판단했다.
전문지식이 없는 시민들로선 육지건 바닷속이건 땅을 판다니 혹시 발생할지 모르는 또 다른 재난이 우려되는 것. 전문가들은 시추 과정에서의 위험성을 어떻게 예측하고 있을까.
수자원공학을 전공한 육군사관학교 오경두 교수는 누구보다 먼저 지열발전에 의한 포항 촉발지진 가능성을 주장한 학자다.
향후 영일만 바다에서 석유와 천연가스 시추가 진행될 것이라 들은 오 교수는 “지난 포항지진의 경우엔 데이터 분석과 연구를 통해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내 의견을 전달할 수 있었다” 전제하면서도, “윤 대통령의 오늘 발표에 관한 사항은 관련된 조사와 연구를 아직 하지 못해서 지금 당장 위험성의 유무를 예단해 말하기는 어렵다”는 조심스런 태도를 보였다.
‘포항해안 지형산책’의 저자인 구조지형학자 민석규 박사는 “세계적인 산유국들에선 석유 시추·생산 관련해서 싱크홀이나 지반 침하 같은 문제가 생기지 않았다" 며 "석유를 뽑아낸 공간(대개 사암층)에 물을 채우기 때문이고, 시추를 해도 지열 발전과 달리 시추공에 수백 기압의 물을 넣는 게 아니라 촉발지진의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견해를 전해 왔다.
/홍성식 기자·성지영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