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아낌없이 주는, 모감주나무

등록일 2024-01-16 18:37 게재일 2024-01-17 17면
스크랩버튼
모감주나무

나무 끝에 매달린 꽈리 모양 씨방이 바람에 흩날린다. 짙은 갈색의 씨방은 곧 세 개로 분리되어 멀리 떠나간다. 각각의 씨방에는 검은 알맹이가 하나둘 붙어 있다. 물에 떨어지면 항해하는 돛단배가 되고, 바람이 불면 하늘을 나는 패러글라이딩 선수가 된다. 뿌리를 내리기 위한 생존 여행을 시작한 모감주나무 열매는 자연을 항해하며 자신이 안착할 장소를 찾는다.

모감주나무는 한국에서는 서해의 안면도와 남해의 완도 그리고 포항 등에서 군락을 이룬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주로 바람이 많이 부는 해안선을 따라 번식하고 있는 나무로 중국이나 일본 혼슈 해변에서도 발견된다. 과거에는 중국에서 한국으로 전파되고 다시 일본으로 넘어간 것이라는 주장도 있었다. 하지만 현재는 고유 자생종으로 인정되고 있다. 또한 모감주나무는 세계적인 희귀종으로 여러 나라에서 관상수로 많이 심어지고 있다. 문재인 전 대통령도 평양의 백화원에 방문했을 때 기념식수로 모감주나무를 심기도 했다.

모감주나무는 장마철이 다가오면 노란꽃이 황금처럼 떨어진다하여 황금비나무 또는 금우수(金雨树), 검고 딱딱한 열매(금강자)로 염주를 만든다하여 염주나무, 나무에서 노란 돈이 떨어진다는 요전수 (摇钱树), 불교와 관련 있는 보제수 또는 보리수, 환자가 없다는 뜻으로 무환자(無患子)나무, 열매를 비누대용으로 사용하여 비누나무라고도 불린다. 모감주라는 이름은 무환자의 옛말 ‘모관쥬’에서 비롯되었다고도 하고, 중국의 고승 ‘묘감’이 염주를 만들었다하여 묘감주나무라 불리다 모감주나무가 변화되었다고도 하며, 보살의 가장 높은 경지인 묘각(妙覺)에서 유래한 말이라고도 한다. 무엇이든 예부터 사람들에게 아낌없이 혜택을 준 쓰임이 많은 나무였음에는 틀림이 없다.

포항은 1992년 12월 23일 발산리의 모감주나무와 병아리꽃나무군락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높이는 8~49미터까지 자라고 해안가의 평지나 산의 사면에도 잘 자란다. 포항 군락지는 교목층이 62%, 아교목층이 66.3%, 관목층이 37.3%, 초본층이 80.3%로 타 군락에 비해 생존율이 높고 고사비율이 낮은 편이다. 기름새·까마귀밥나무·쥐똥나무·복사나무·주름조개풀·으름덩굴 등도 함께 잘 자란다. 번식은 주로 종자가 날아가 뿌리를 내리는데, 햇빛을 좋아하고 바닷가의 염분과 공해에도 강하며, 척박지에서도 잘 자란다. 6~7월에 걸쳐 노란색의 꽃을 피우고, 9~10월에 길이 4~5센티미터 정도의 씨방이 열리고, 그 안에서 씨앗이 검게 익어간다. 다 익은 열매는 매우 딱딱하여 닦으면 윤기가 흐르고, 말리면 쉽게 부서지지 않는다. 덜 말랐을 때 줄로 꿰어 놓으면 염주를 만들 수 있다.

모감주나무 열매
모감주나무 열매

모감주 씨방은 가지 끝에 꽈리 모양으로 조롱조롱 달려있다. 열매가 익으면서 꽈리가 벌어지고 세 조각으로 분리되어 바람을 타고 날아간다. 씨앗들은 각각의 꽈리 조각의 오른쪽 혹은 왼쪽에 조금 치우쳐 붙어 있다. 씨방 조각이 바람에 흩날려 나무에서 멀어지면 씨앗은 씨방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무게 중심을 잡는데, 가벼운 쪽 씨방이 바람에 살짝 들리면 그 아래로 공기가 빠져나간다. 패러글라이딩 선수가 허공에 체류하는 시간을 길게 할 때 빙글빙글 원을 그리며 땅으로 천천히 내려오는 것처럼 열매도 빙글빙글 돌면서 나무에서 멀리 더 멀리 떠나간다. 실제로 초속 3미터의 바람을 타고 150미터는 가뿐하게 날아간다. 또한 모감주나무 씨방은 물에 뜬 채로 가라앉지 않는다. 살짝 굽은 씨방의 형태를 따라 공기 방울이 생기고 부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씨방은 꼭 뾰족한 부분이 앞을 향하도록 자세를 스스로 잡는다. 씨방 가운데의 딱딱한 부분이 배의 키처럼 방향을 일정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모감주나무는 예부터 울타리 안에 심으면 귀신을 물리치고 환자가 발생하지 않는다하여 신통한 약재로 여겨졌다. 진균 억제 작용으로 각종 염증 완화에 좋고, 안토시아닌이 풍부하여 안질환에 탁월하다. 항산화물질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혈관건강, 노화억제, 면역력 강화에도 좋다. 탄닌성분이 많아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하고 해독 작용도 뛰어나다. 열매는 염주로 만들고, 비누대용으로 쓰인다. 꽃과 잎은 황색 물감의 염료로 사용되기도 하고, 약재로도 활용된다.

고규홍 나무칼럼리스트는 “자연을 보면서 시간을 가늠할 때 모감주나무는 장마를 예상하게 해주는 나무”라고 하였다. 성석제는 그의 소설 ‘단 한번의 연애’에서 “꽈리 모양의 모감주나무 열매는 곧 세 개로 갈라지고 둥글고 까맣고 윤기가 나는 씨앗이 튀어나와”라 표현하였다. ‘동의보감’에는 “씨 속에 있는 알맹이를 태워서 냄새를 피우면 악귀를 물리칠 수 있다”고 하였다. ‘신농본초경’에서는 독이 없다고 하였으며, ‘명의별록’에서는 적목 치료에 쓰인다고 나온다. 자연이 주는 혜택은 손으로 꼽을 수 없지만 모감주나무는 예부터 이 땅에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아낌없이 주는 나무였다. 이제는 우리가 보호해야 할 희귀한 자연이다.

/최정화 스토리텔러

◇ 최정화 스토리텔러 약력 ·2020 고양시 관광스토리텔링 대상 ·2020 낙동강 어울림스토리텔링 대상 등 수상

대구·경북 문화 메모리즈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