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노래와 놀이 그리고 춤, 월월이청청

등록일 2023-12-25 16:55 게재일 2023-12-26 17면
스크랩버튼
영덕 풍력단지 월월이청청.

예부터 달이 유독 청청한 밤에는 달빛 아래에서 전통 가무를 즐겼다. 본래 전통 가무는 노래와 놀이 그리고 춤이 따로 떨어지지 않고 모두 어우러져 행해졌다.

주로 가장 생산성이 왕성하다고 평해지는 젊은 여성들이 중심이 되어, 원형·선형·나선형 등의 형태를 그리면서 집단으로 놀았는데, 보름날에 달을 닮은 춤을 춘다는 점에서 풍요와 다산을 축원하는 축제로서 행해졌다. 특정 지역이 아닌 동시다발적으로 여러 곳에서 연행되었을 가능성이 크지만, 현재 한국에서는 전라도의 강강술래·안동의 놋다리밟기·포항과 영덕의 월월이청청이 가장 유명하다.

월월이청청은 경상북도 대부분, 경상남도와 강원도 접경에서 그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중 포항과 영덕에서 가장 원형에 가까운 형태를 보존하고 있다. 포항은 ‘월월이청청’, 영덕은 ‘월워리청청’, 안동은 ‘얼얼이청청’, 구미는 ‘널널리청청’ 등으로 불렸다. 놀이 이름을 한자로 칭하는 과정에서 지역의 사투리가 섞이면서 여러 형태로 불리게 된 것으로 추측된다.

월월이청청은 하나의 춤이 아니라 마당놀이처럼 여러 춤이 이어져 행해진다. 포항에서는 월월이청청·달넘기·외따기·재밟기·대문열기·실꾸리 감기와 풀기·생금생금 생가락지 등이 전해지며, 영덕에서는 월월이청청·달넘세·절구세·대문열기·산지띠기·동애따기·재밟기·생금생금 생가락지·재바재바·실꾸리 감기와 풀기 등이 확인되었다.

원형, 나선형, 단선형, 대선형, 교차형 등 춤의 형식은 다양하다. 원형무에 속하는 월월이청청은 도는 방향이 정해져 있지 않지만 대개 오른쪽으로 먼저 돌기 시작한다. 춤을 추다가 방향을 바꾸거나 더러는 원을 좁혔다가 다시 넓게 펼치기도 한다. 느린 장단에서 점점 속도를 빨리하며 나중에는 옆 사람의 손을 놓치거나 댕기가 하늘로 솟구칠 정도로 활동적인 움직임을 보인다. 달넘세, 실꾸리 감기와 풀기는 나선무에 속한다. 원의 안쪽에서 바깥 방향으로 타 넘거나 팔과 팔 사이를 통과하는 형태로 춤을 춘다.

처음 나선형을 이루던 행렬은 점차 커지다가 마침내 다시 원형이 되거나 뭉쳐져 있던 형태가 풀리는 형태를 취한다. 달넘세의 “달 넘세 달 넘세 달이나 쿵쿵 달 넘세”라는 후렴구에서 알 수 있듯이 원형은 모두 이지러졌다가 다시 완전해지는 달의 형태 변화를 춤으로 표현한 것이다. 부수적인 놀이에 속하는 단선무형은 산지띠기, 동애따기, 재밟기, 대문열기 등이 있다. 산지띠기는 어미 소에게서 송아지를 떼는 것이고, 동애따기는 동아(식물)를 따는 과정을 형상화한 것으로 일상생활을 춤으로 표현하였다. 꼬리잡기와 닮은 놀이인데, 모두 떨어질 때까지 한 사람씩 떼어낸다. 재밟기의 ‘재’는 ‘지애’의 축약형으로, 지애는 기와의 사투리이다. 등을 구부린 채 앞사람을 잡은 형상이 마치 연달아 놓인 기와처럼 보인다. 가장 뒷사람부터 차례로 굽혀진 등을 밟고 지나가면서 느린 장단으로 노래를 부른다. 대문열기는 대문 역할을 하는 사람들이 손을 내리거나 올리는 것으로 대문의 모양을 만들며, 한 사람씩 대문 안에 가두는 형태도 드러난다.

연행에서의 노래는 선후창의 형식으로 진행되는데, 즉흥성이 강한 편이다. 대개는 미혼 여성의 사랑을 노래한 경상도의 보편적인 서사민요의 내용을 담고 있다.

월월이청청의 “토연토연 김토연아”는 토연이라는 처녀와 서울 선비 사이의 사랑을 노래한 것이고, “생금생금 생가락지”는 정조를 의심받은 미혼의 여동생이 죽기 전에 자신의 결백함을 호소하는 애절한 내용을 담고 있다. “재바재바”는 생금생금 생가락지의 일부분을 따로 떼어 노래한 것이고, 대문열기는 “서울이라 남도령아 대문 조금 열어주소”에서 알 수 있듯이 남도령이라는 미혼 남성이 살고 있는 집 앞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모두 미혼 여성들의 사랑이 노래의 서사로 쓰였다.

강강술래는 미혼의 청춘남녀가 설·대보름·단오·백중·추석·중구 등 다양한 날에 개방적인 장소에서 행해진 놀이이고, 놋다리밟기는 혼인 여부를 가리지 않은 젊은 여성이 대보름에만 연행한 행사였다. 월월이청청은 담장이 있는 넓은 마당에서 설·대보름·이월 초하루·추석 등에 미혼 여성을 중심으로 연행되었다. 노래와 놀이와 춤이 함께 전승된 전통 가무는 다른 도구 없이 손만 마주 잡고 연행된 여성 중심의 집단유희이다. 이러한 전통 가무는 마을마다 전승되다가 일제강점기에 다른 대동놀이와 마찬가지로 축소 진행되었다. 해방 후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대부분 전승이 끊기다시피 사라졌다가 일부 마을에서 부분적으로 남아있는 것을 지금의 형태로 복원하였다.

월월이청청과 같은 전통 가무는 예전에는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상황에 맞게 변형되어 즐기는 축제였다. 노래 또한 주고받는 형식으로 재미를 더했으며, 고난도의 동작이 없어서 배우기도 쉬웠다. 지금은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축제 문화의 매개체로 활용될 수 있으며, 학교에서는 또래 집단의 교류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복원을 넘어서 현재의 젊은 층까지 즐길 수 있는 문화로 거듭나기를 기대해본다. /최정화 스토리텔러

◇ 최정화 스토리텔러 약력 ·2020 고양시 관광스토리텔링 대상 ·2020 낙동강 어울림스토리텔링 대상 등 수상

대구·경북 문화 메모리즈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