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여름 황순이 선생께서 오랜만에 전화를 주셨다. 자작 가사집을 출간할 예정이라며 서평을 부탁했다. 오랜만의 소식도 반갑고 가사집을 낸다니 고마웠다. 예전 내방가사 공부할 때, 뚝딱 써낼 정도로 필력이 보통아님을 기억하고 있었다. 꾸준히 가사를 쓰셨구나 생각하니 참 대단하시다. 서평 쓸 위인은 못된다며 사양하며 짧은 발문을 써드렸다. 간단한 내방가사 소개의 글도 부탁하시길래 보내드렸다. 그 후 책 발간을 위해 꼼꼼하게 점검하는지 전화도 주셨고 출판기념회에 초청하셨다. 그리고 모바일 초청장이 왔다. 보고는 깜짝 놀랐다. 칠순기념을 위한 가사집 발간이라니. 20년 가까이 이런저런 일로 자주 만났다. 난 왜 내가 당연히 연장자라고 생각하고 있었을까. 황 선생께서 적어도 나보다 10년 정도는 젊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나보다 3살이나 더 나이가 많음을 알게 된 순간 황 선생과의 만남, 식사, 대화나 통화의 내용들을 기억에서 떠올리려 애썼다. 찻자리 부탁도 꽤 했었는데, 혹여라도 실수한 건 없으려나, 무례했던 적은 없었나. 당혹감에 얼굴이 달아올랐다.
그러나 난 변명거리를 찾아냈다. 내가 그런 착각을 한 건 무리가 아니며 내 탓이 아니다. 황 선생은 일단 나이들어 보이지 않았다. 워낙 예의바르고 항상 공손했으며, 말투도 극존칭을 주로 쓰셨다. 이 모든 것 때문이다. 나보단 나이가 훨씬 어리겠지 착각을 할 만한 빌미를 내게 주셨다. 결례가 있었다면 지금이라도 용서를….
황 선생의 귀한 칠순잔치에 초대받아 황송한 스승 대접에 몸둘 바를 못 챙길 정도였다.
나의 최선은 가사집을 꼼꼼히 읽는 거였다. 내방가사 9편을 엮은 자그마한 책, ‘백선에 꽃잎 날리며’는 ‘칠순이 된 순이 이야기’라는 부제가 말하듯 당신이 쓴 자기서사이자 생애사다. 프롤로그에서 ‘젊었을 때 부지런히 썼던 편지나 일기 쓰기가 나이 들어 책 쓸 만큼의 저력이 되지 못했’다고 겸양했지만 전혀 그렇지 않았다. 4.4조의 음수율과 4음보의 음보율을 맞춰야 하는 가사는 수필보다 쓰기가 훨씬 더 어렵다. 중학교 담임선생님의 숙제를 다하신 셈이다. 내방가사는 조선 여성들이 일상 속의 특별함을 기록한 문학이다. 화전가, 유람가, 경축가, 탄식류의 가사가 그렇다. 대소가 여성들이 돌려 읽으며 소통하고 연대했던 공동체의 향유문화다. 황 선생의 가사들은 전통의 가사 유형에 딱 맞춘 수준이었다. 황 선생은 내방가사를 내면화하고 있었던 거였다.
작품들은 따뜻하고 애틋하고 향기로웠으며 긍지에 가득찼다. 황 선생의 그런 생애가 구체적으로 기록되었고, 섬세하게 표현되었다. 한국의 전통다도를 학문으로 익혀 배운 차인이기에 차 관련한 기행가가 있고, 차인에 대한 추모가도 있다. 친구들과의 여행도 예사롭지 않아 역사와 문학을 테마로 한 기행가가 창작되었다. 유쾌한 친구들과의 소풍은 신명나는 화전가를, 어릴 적 친구를 조문하고 돌아오는 길에 쓴 가사의 애통함은 탄식가를 닮았다. 우리 옛 여성의 신명과 탄식과 자긍이, 그리고 전통과 역사에 대한 애정과 진지함이 가사에 그대로 투영됨을 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