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사기에는 신라시대 여성들이 길쌈 내기를 했다는 기록이 있다. “제3대 유리왕 9년에, 6부를 정하고 나서 이를 두 편으로 나누고, 임금의 두 딸로 하여금 각각 부내의 여자들을 거느려 편을 짜게 하였다. 이들 두 편은 7월 16일부터, 매일 새벽에 큰 부의 뜰에 모여 길쌈을 시작하여 밤 열 시경에 끝냈다. 한 달이 지나 8월 15일이 되면 길쌈을 얼마나 많이 했는지를 헤아려서, 이기고 진 편을 가리고, 진 편에서 술과 음식을 차려 이긴 편에 사례하였다. 이때 노래와 춤과 여러 가지의 놀이를 하였는데, 이 행사를 가배(嘉俳)라고 하였다. 이때 진 편에서 한 여자가 일어나 춤을 추면서 탄식하는 소리로 ‘회소, 회소!’라고 하였다. 그 소리가 슬프고도 우아하여, 뒷날 사람들이 이 곡에 노랫말을 붙이고, 회소곡(會蘇曲)이라고 하였다.”
가배는 추석의 우리 고유어인데, 이 기사에서 유래한다. 추석에 하는 중요한 행사가 바로 길쌈이었다는 기록이다. 신라시대에는 국가에서 주도적으로 길쌈을 장려했음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기록물인 삼국유사에서 여성의 길쌈과 관련한 이야기를 더 찾아보았다. ‘선도산성모’조에는 신모가 처음 진한에 와서 동국의 첫 번째 임금인 혁거세를 낳았을 것이라고 했고, 하늘나라의 여러 선녀들에게 비단을 짜게 하여 붉은색으로 물들여 관복을 지어 주었다고도 했다. ‘연오랑세오녀조’의 세오녀는 이름부터가 베짜는 여성이다. 동해안의 연오랑과 세오녀 부부가 차례로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의 왕과 왕비가 되었다. 연오랑과 세오녀는 본래 해와 달의 정령이었기에 기들이 신라를 떠나자 신라에서는 태양과 달이 사라져 빛을 잃고 말았다. 신라의 왕이 급히 일본에 사신을 보내 연오랑과 세오녀의 귀국을 종용했다. 하지만 연오랑은 하늘의 의지로 일본의 왕이 되었기 때문에 신라로 돌아갈 수 없다고 말하며, 그 대신 세오녀가 짠 비단을 사신에게 주고, “이 비단으로 하늘에 제사를 드리면, 태양과 달이 빛을 되찾을 것”이라고 알려주었다. 사신이 가지고 돌아온 비단으로 하늘에 제사를 드리자 태양과 달은 빛을 되찾았다. 신라의 왕은 이 불가사의한 비단을 나라의 보물로 정하고, 하늘에 제사를 드린 장소를 영일현이라 이름지었다고 한다. 이 이야기에서 세오녀는 비단을 짜는 여성이었고, 잃어버린 빛을 찾아준 여성이었다.
이 두 개의 이야기만 봐서도 전통적으로 길쌈, 즉 베짜기는 여성의 신성한 역할이었다. 베 짜는 역할을 주도적으로 한 여성은 왕녀이거나, 신모이거나, 빛의 정령이었다. 실제로 신라에는 직물 제조와 수공업을 관장하는 모(母)라는 관직이 있었고, 그 우두머리는 여성이었다. 또한 당시 신라는 직물을 일본에 수출하기도 했는데, 그 유물이 일본에 아직도 보존되어 있다고 한다.
인간 생활의 기본이 되는 요소인 의식주의 가장 앞선 요소를 담당한 이는 여성이었다. 경주의 동해안 가까이 있는 동네 두산리에는 아직도 전통적인 방법으로 비단을 짜는 여성들이 있어 두산손명주짜기로 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고령화와 국가의 무관심 속에서도 전통으로 이어가는 그들을 추석 즈음에 기려본다.
/이정옥 위덕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