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종이 울렸네/ 새 아침이 밝았네/ 너도나도 일어나 새마을을 가꾸세/~” 4절까지 있는 새마을노래는 한때 거리에서 흔히 들을 수 있었던 노래였다. 박정희 대통령이 직접 가사를 만들었다고 하는 이 노래는 70년대를 풍미했던 노래 중 가장 유명한 곡이라 해도 무방할 것이다. 아침마다 마을에 울려 퍼졌고, 사람들은 마을 공동의 일을 위해 모였다. 마을을 스스로 정비하고 깨끗하게 가꾸는 데 일손을 보탰다. 새마을운동이 전국으로 시행되면서 노래도 더불어 더 많이 활용되었다. 1970년대 새마을운동은 이 단조로운 노래 그리고 새싹 무늬가 그려진 초록 모자와 기억을 공유한다.
새마을운동은 1970년 4월 22일 박정희 대통령의 제안으로 농촌 마을 가꾸기 운동에서 시작되었다.
1969년 8월 박정희는 수해복구사업을 돌아보다 청도의 신도마을을 지나게 되었다. 다른 마을에 비해 깨끗하게 정비되어있는 마을을 보고 크게 감동을 받았으며, 새마을가꾸기운동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었다. 이듬해 10월부터 박정희의 제안하에 정부가 주체가 되어 전국의 농촌 마을을 중심으로 새마을가꾸기운동이 실시된다. 정부는 당시 쌍용시멘트의 과잉 재고를 농촌 마을에 나눠주며, 마을 재건을 독려했다. 마을 진입로를 확장하고, 하천에 작은 다리를 건설하고, 초가지붕을 슬레이트 지붕으로 개량하고, 공동 우물을 정비하며, 목욕탕이나 빨래터 등 공공장소의 건립에 활용되었다.
대통령의 개인 관심에서 시작되었던 새마을운동 사업은 정부가 기대했던 것보다 더 농촌 마을의 호응도를 끌어내었다. 이에 정부는 각 마을의 성과에 따라 기초·자조·자립 마을 3단계로 나누고, 차별적 물자 지급을 하면서 마을끼리의 경쟁심을 자극했다. 물자가 배제되는 마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었으나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며 차등 지급하였다. 1970년대는 물자가 풍족한 편은 아니었고, 마을마다 공동체를 유지하던 전통이 남아있었던 시기라 의외로 성과는 매우 좋았다. 뜻밖의 성과에 정부는 농촌에서 도시와 공장까지 운동을 확산시켰고 전국적으로 새마을운동이 시행되었다. 실제로 새마을운동은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한국 경제의 급성장에 일조한 면이 많다.
그러나 도시의 산업화로 농촌과 빈부격차가 심해지고, 도시 노동자의 처우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유신 정권에 대한 격한 목소리가 나오던 때에 박정희에게 필요했던 것은 ‘국가에 의해 통제되는 시스템’이었다.
1973년 박정희는 “10월 유신이라고 하는 것은 곧 새마을운동이고, 새마을운동이라고 하는 것은 곧 10월 유신”이라 선언했으며, 초록 모자·노란 완장·새마을노래는 상징이 되어 전국적으로 추진되었다. 도시·공장·학교·마을 등 전부 새마을운동이란 이름 붙었으며, 공동체를 위한다는 명목하에 사람들의 노동력과 재산과 시간 등은 반강제로 동원되었다. 도로의 포장·보수, 다리의 건설, 마을 진입로 건설 등은 국가사업임에도 보상받기가 쉽지 않았고 마을 사람들의 노동력은 무료로 제공할 수밖에 없었다.
초기의 새마을운동이 마을을 위한 자발적인 행동이었다면 1973년 이후의 새마을운동은 마을 주민으로서의 의사가 반영되지 못한 국가의 반강제적 사업이었다. 마을공동체가 자체적으로 유지하던 전통적인 공동체 생활은 국가가 주도할수록 점점 더 퇴색되어갔다. 1979년 박정희의 암살로 새마을운동은 내리막길을 걷는다.
새마을운동 발상지로 자주 언급되는 청도 청도읍 신도마을에는 현재 새마을운동발상지기념관과 기념공원, 새마을테마파크가 마을 정경과 어우러져 공존하고 있다. 기념공원의 입구에 들어서면 과거 마을 주민들이 힘을 모아 세웠다는 신거역과 박정희 대통령의 전용 열차, 대통령 동상과 차표 동상이 보인다. 세월의 흐름을 머금은 빛바랜 열차와 물건들이 오랜 기억을 자극한다. 신거역 안에는 곰돌이가 차장으로 앉아있어 재미를 더한다. 작은 전시관으로 꾸며진 신도정미소나 교복체험관을 지나 기다란 번영의 길을 따라 걸으면 멀리 새마을운동발상지기념관이 있다. 이곳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마을이 변화된 모습과 당시의 책자나 사진, 현재 다른 나라로 수출되고 있는 새마을운동에 대한 정보들이 1·2층에 나눠 전시되어 있다. 신도리마을 안으로 한참을 걸어 들어가면 산 아래 새마을테마파크가 넓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잘살아보세관·새마을학교·시대촌·놀이터·스탬프 투어·숙박시설 등 둘러볼 거리가 많아 흥미를 더한다.
새마을운동은 농촌에 불어온 근대화 운동에서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잘살아보고자 하는 자발적인 마음에서 시작되었으나 국가가 주도하면서 그 의미가 퇴색되고 전통적인 마을공동체 유지 체제마저도 흔들리는 결과를 가져왔다.
새마을운동은 현재 경제발전의 일환으로 여러 나라에 수출되고 있다. 근대화에 성공한 결과적인 면뿐만 아니라 과도한 실적 경쟁과 국가에 의해 통제되는 시스템이었다는 부정적인 면도 간과하지 않으면 좋겠다. 우리의 과거이자 현재와 연결된 역사를 지닌 이곳을 걸으며, 새마을노래를 흥얼거려본다.
◇ 최정화 스토리텔러 약력 ·2020 고양시 관광스토리텔링 대상 ·2020 낙동강 어울림스토리텔링 대상 등 수상
/최정화 스토리텔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