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그때 그 시절, 김원일의 ‘마당 깊은 집’

등록일 2023-10-23 18:21 게재일 2023-10-24 17면
스크랩버튼
김원일의 ‘마당 깊은 집’.

대구 반월당 인근에는 한국전쟁 후 대구 시내의 모습을 생생하게 담아낸 작품, 김원일의 ‘마당 깊은 집’(1988)과 관련된 장소가 여럿 있다. 소설 속 집터와 약령시장·종로·군방각 등 소설 안의 장소가 근대 골목 투어라는 이름으로 현실의 콘텐츠가 되어 존재한다. 지금은 작은 전시관으로 운영되고 있는 ‘김원일의 마당 깊은 집’은 주인공 길남이를 친구삼아 소설 속으로 한 발짝 들어가기에 알맞은 곳이다. 집터 골목 앞 길남이 동상 옆에서 사진 한 컷을 찍고, 캐릭터들이 그려진 벽화를 따라 좁은 골목길을 들어서면 곧 작은 대문이 보인다. 길남이가 처음 가족을 만났을 때를 상상하며 마당 안으로 들어선다.

‘마당 깊은 집’은 1954년 대구 장관동 일대에 있는 어느 마당 깊은 한옥과 그곳에 사는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를 통해 당시 대구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그려낸 소설이다. 이 소설에는 주인집이 사는 위채와 피난민 네 가구·길남이네, 상이군인 준호네, 경기네, 평양댁과 아들 정태-가 사는 아래채가 나온다. 끝이 없을 것 같은 가난과 허물어질 것 같은 도덕심과 신념을 아등바등 지키려는 사람들과 전쟁으로 무너진 도시에 활기를 불어넣는 자본주의 논리와 이데올로기에 집착하는 이들이 등장한다. 이런 혼란한 곳에서 길남이는 처음으로 대구에 상경하여 가족과 같이 살게 되며, 엄하기만 한 어머니에 대한 혼란을 겪는다. 당시의 여느 아이들처럼 어린 나이에 내적 성숙을 하며 어른이 되어간다.

‘마당 깊은 집’ 위채의 삶에서는 대구의 방직·군수 산업과 연결된 부의 축적과 인맥에 따른 부조리를 엿볼 수 있고, 아래채의 삶에서는 전후에 팽배하던 가난과 결여를 확인할 수 있다. 주인집은 한옥임에도 유리가 끼워진 문이 있고, 전축에서는 영어 노래가 흘러나올 정도로 유행에 민감하다. 대물림받은 가산과 더불어 점점 확장되어가는 방직 공장을 운영하면서 부를 축적한다. 특히 아들 성준을 미국에 유학 보내기 위해 미국식 크리스마스 파티를 열고, 미군을 포함하여 지역 인사들을 초대하는 등 부를 과시하기도 한다.

또한 겨울에 셋방을 빼게 하거나 집수리를 위해 셋집을 쉽게 내보내는 등 오늘날에는 불가능한 갑질의 모습도 그려진다. 이와 대비되게 아래채에 사는 네 가구는 모두 형편이 넉넉하지 못하다. 한 평의 가건물을 덧대어 부엌을 만들고, 작은 방에 많은 식구가 모여 지낸다. 다닥다닥 붙은 셋방들은 사생활 보호는 당연히 불가능할 정도다. 옆집 잠꼬대 소리가 들리는 건 물론이고, 하나뿐인 변소에 드나드는 이유와 횟수조차 서로 알고 있다. 하루 벌이가 넉넉하지 못하면 점심 굶기는 일쑤고, 겨울에도 난방은 쉬이 하지 못하다. 상이군인네 준호 엄마는 출산 후 2일 만에 시장 장사를 하러 나가고, 길남이는 신문팔이를 하며 중학교 학비를 모은다. 주인집 눈치 보기 바빠 때로는 서로의 등을 떠밀기도 한다. 아등바등 생을 살아내는 캐릭터가 애잔하면서도 현재가 얼마나 평화로운지 실감하고 감사하는 마음이 든다.

여기에 아래채가 수몰될 정도로 비가 내리지만 무심한 위채 사람들, 일주일간 이어진 살인 사건 덕분에 늘어난 신문 판매 부수로 이익을 보는 신문팔이, 정태의 월북 미수 사건으로 휘말릴까 겁내는 아래채 사람들 등 무거운 사건이 스냅북처럼 가볍게 펼쳐진다.

또한 피난민이 모여든 방천에서 이산가족을 찾는 사람들과 새 인연을 만들어가는 사람들, 대구역 앞에 모여든 거지와 실업자들 그와 대비되는 귀금속 거리와 영화관 등의 화려한 풍경이 덧그려진다. 이 모든 것은 소설 주인공 길남이가 신문팔이를 하면서 돌아다니던 어릴 적 시선과 성인이 되어 1954년을 추억하는 시선을 통해 독자에게 전달된다. 소설 속 1954년 대구는 전쟁 후유증과 자본주의 성장이 맞물려 공존하던 곳이었다.

‘마당 깊은 집’의 길남이와 모친은 여느 모자 사이와는 사뭇 다른 면이 있다. 어머니가 바라보는 아들 길남이는 애잔한 아들과 원망스러운 남편의 중간 어딘가에 존재하는 인물이었다. 길남이는 가족을 버리고 월북한 부친을 대신하여 집안의 장남이란 명목하에 모진 대접을 받는다. 길남이가 바라보던 어머니도 자상한 어머니와 살벌한 마녀의 사이를 오락가락한다. 어머니가 시키는 일을 겉으로는 열심히 하지만 속으로는 반발심을 꽤 표현한다. 둘의 이러한 거리감은 길남이가 스스로 사생아라고 칭하며 가출하고, 그런 길남이를 어머니가 다시 집으로 데려왔을 때 비로소 연결점이 마련된다. 서로를 바라보는 시선에서 잘못 인식한 부분을 인정하고 성장하게 되는 것이다.

‘마당 깊은 집’은 한국전쟁으로 인해 무언가 부족했던 부분을 채워가며, 성장과 성숙해지던 당시 대구의 모든 것이 녹아있다. 경제·문화·정치·사회가 있으며, 그 시대를 살아가던 사람이 있다. 아직 100년도 지나지 않았고, 전쟁에 참전했던 사람들이 일부 살아있으며, 그 직간접적인 기억을 가진 사람들이 있지만 그때 그 시절은 이후의 빠른 발전에 힘입어 이미 옛 기억이 돼버렸다.

지금은 남겨진 자료나 당시를 형상화한 명소만이 이를 대신한다.

 

◇ 최정화 스토리텔러 약력 ·2020 고양시 관광스토리텔링 대상 ·2020 낙동강 어울림스토리텔링 대상 등 수상

 

/최정화 스토리텔러

대구·경북 문화 메모리즈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