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국토부 연구용역 발표<br/> 국내 취항 모든 여객·화물기 이착륙… 향후 추가시설 확장도 가능<br/> 연간 이용객 최대 1천573만명 예측, 현 대구공항의 3배 수준 전망<br/> K2 군공항 이전 11조5천억·민간 공항건설 사업비 2조6천억 투입
오는 2030년 완공 예정인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이 미주, 유럽 등 장거리 노선 운항이 가능한 여객·물류 복합공항으로 건설된다. 대구시는 24일 국토교통부의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민간공항 이전 사전 타당성 검토 연구용역’ 결과를 발표했다. <관련기사 2면>
이날 발표된 용역 결과, 11조 5천억 원을 들여 건설하는 K2 군공항 이전 사업과 함께 추진되면서 민간 공항 건설에는 2조6천억 원의 총 사업비기 소요될 것으로 추산됐다.
이 경우 비용편익(B/C)이 1 이상으로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국토부는 분석했다.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의 민간 공항은 부지면적 92만㎡(28만 평), 터미널·계류장·주차장 등 공항시설 51만㎡(15만 평) 등의 규모로 건설된다.
활주로의 경우 중대형 화물기를 포함해 전 기종 항공기 운항이 가능한 3천500m 2본으로 설정돼 현재 국내에 취항 중인 모든 여객·화물 항공기 이착륙이 가능하다.
특히 앞으로 항공 수요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개항 뒤 추가로 활주로 부지 300m를 확보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여객 수요는 연간 1천226만∼1천573만명으로 예측돼 코로나19 사태 직전인 지난 2019년 대구 공항 최대 이용객 467만명의 3배 수준이 될 전망이다. 신공항 화물량은 연간 15.2만∼21.8만t으로 전망됐다.
이번 용역에선 신공항 시설의 확장성이 필요하다는 대구시 의견도 반영됐다. 여객터미널의 경우 개항 때 10만2천78㎡(3만1천평)로 현 대구공항의 약 4배 수준으로 시작해 앞으로 약 1.5배 규모인 15만2천78㎡(4만6천평)로 확장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화물터미널도 개항 시 대구공항 대비 12배 수준인 9천865㎡(3천 평)에서 시작해 확장 후에는 2만9천865㎡(9천 평)로 다시 약 3배 규모가 늘어난다.
인근 확장 가능한 부지 50만㎡(15만평) 등을 감안하면 미래 항공 수요 증가 시 공항시설의 추가 확장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공항 접근 교통망도 대폭 확충된다. 신공항과 중앙고속도로 연결 노선(6.6㎞)과 의성군에 들어서는 물류단지 연결도로 4.6㎞가 신설된다.
또 대구경북 신공항 연계 교통망으로 국지도 68호선과 중앙고속도로 확장, 북구미∼군위 분기점 고속도로 신설, 신공항 광역철도(대구∼의성) 건설 등을 추진한다.
국토교통부는 이달 말 민간 공항 이전 사업을 전담할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추진단’을 출범시키고 이번 민항 사전타당성 결과를 바탕으로 연내에 예비타당성 면제, 사업적정성 검토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동시에 착수하게 된다.
대구시는 지난 14일 기획재정부 기부대양여 심의 통과로 군공항 이전의 사업 타당성이 승인된 데 이어 이번 국토교통부 민항 사타를 통해 민간공항 이전의 경제성도 확보됨에 따라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사업이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얼마 전 군공항 이전을 위한 기부대양여 심의가 통과됐고 민간공항 이전을 위한 사전타당성 검토도 완료됨으로써 신공항 건설을 위한 제반 절차들이 착실히 진행되고 있다”며 “대구 미래 50년 번영의 토대가 될 신공항 건설 사업을 향후 보다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곤영기자 lgy1964@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