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향토청년회 개선 요구키로<br/>“5년간 SKY 합격률 한자리 수<br/> 열린 공간서 명암 재분석해야”<br/>시민사회 찬반 논쟁 뜨거울 듯
포항향토청년회가 지역에서 시행 중인 고교평준화 제도의 개선 요구를 조만간 제기하기로 했다. 그 찬반을 두고 시민사회의 논쟁이 예상된다.
<관련기사 5면>
포항향토청년회는 지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포항과 인근 지역 고등학교의 대학입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 동안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주요 대학 평균 합격률은 경주고 23.46%, 안동고 17.07%, 구미고 13.14%, 구미여고 10.44% 순으로 나타났으며, 포항고(9.23%)와 포항여고(8.62%)는 그 후 순위였다.
이 시민단체는 도내 인구 1위 지역 포항의 이런 순위는 경북도 내에서 유일하게 시행 중인 포항의 고교평준화가 학생들의 학력 하향평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일단 파악하고 있다.
포항향토청년회는 고교 학력 하향은 결국 우수 인재 배출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판단, 제도 개선을 요구키로하고 이해당사자들간 의견을 모으고 있다.
고교평준화는 ‘교육과정의 획일화’, ‘무시험 고교 배정’ 등의 목적과 원칙으로 3불 정책(본고사·기여입학제·고교등급제 금지)에 따라 1970년대부터 시행돼왔으며, 포항의 경우 지난 2008년 고교평준화 제도를 도입해 현재까지 시행 15년째를 맞이하고 있다.
고교평준화는 고교 진학 입시 과열로 인한 사교육 과잉을 막고 학력 격차를 줄이는 한편 학생 간 위화감을 없앤다는 목표로 추진됐다. 그 영향으로 학교 간의 경쟁과열 봉쇄 등 긍정적으로 작용한 면도 없지 않다.
그러나 교육과정에서 경쟁이 사라지고 교육이 획일적으로 이뤄지면서 지역에서 경쟁력 있는 학교가 더 이상 나오지 않는 등의 부정적 결과들이 명암을 뚜렷하게 드러내고 있다.
학교 일각과 교육계, 일부 학부모들 사이에서는 이런 상황을 매우 엄중하게 주목하기도 했으나 찬반 진영이 첨예하게 갈리는 등 사안이 워낙 민감해 공론화시키지는 못했다.
포항향토청년회가 향후 이 문제를 시민사회에서 재론해 보는 것으로 방향을 잡은 것은 다소간의 진통이 있더라도 이제는 고교평준화의 명암을 재분석할 때가 됐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동안 나타난 부정적 측면들을 쉬쉬할 것이 아니라 열린 공간에서 시민사회의 여론을 깊숙이 파악해 보자는 것이다.
포항향토청년회는 이른 시일 내에 시민여론 수렴 결과물을 내놓을 방침이다.
일단은 전부 폐지가 아니라 2∼3학급에 해당하는 30%의 학생선발권 일부는 학교에 돌려주고 나머지는 평준화를 유지하는 절충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도 개선에 대한 결정권은 경북도교육청에 있다.
박용선 포항향토청년회장은 “안동은 고교평준화를 3년 동안 시행하다가 폐지했으며, 현재 도내에서는 포항이 유일하게 이 제도를 계속 운영하고 있다”면서 시민여론을 광범위하게 수렴해 그 결과를 공개한다는 방침 아래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포항지역을 대표하는 애향 단체인 포항향토청년회는 지난 1979년 창립한 이래 600여 명의 회원들로 구성됐으며, 올해 45세 이하의 청년회와 청년회를 졸업한 64세까지의 지도회가 통합돼 하나로 일원화됐다. 이들은 지역의 갈등을 불러일으키는 문제를 들여다보고 개선책을 모색하는 등 그동안 지역사회에 목소리를 내며 이바지하고 있다.
/김민지기자 mangchi@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