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뺑뺑이’ 계속땐 포항 가치 추락 큰 위기감

김민지기자
등록일 2023-02-12 20:08 게재일 2023-02-13 5면
스크랩버튼
  향토청년회,  평준화 개선 제기 왜?<br/>  2008년부터 경북서 유일 시행<br/>  서울대 합격률 점차↓ ‘올해 0명’<br/>  교육계 “교육 하향평준화 원인”<br/>  지역 정치권 “문제 알지만 쉬쉬”<br/>“지역 전체 대학 진학률 파악<br/>  학교·학생들에 선택권 줘야” 
포항향토청년회가 고교평준화 개선이라는 이슈를 제기키로 한 것은 획일적으로 이뤄지는 교육 아래에서는 지역에서 경쟁력 있는 학교가 더 이상 나올 수 없다는 현실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인구 50만 명 붕괴로 저출산·초고령화 사회문제의 어려움에 직면한 포항에 교육 수준마저 하향곡선을 그린다면 지역사회의 경쟁 가치는 더욱 추락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실제 인구 유입 시책 추진에서 가장 큰 요소는 일자리 창출에 있지만, 사회시설 인프라, 문화와 함께 교육 수준도 매우 중요한 대목 중 하나로 꼽힌다. 대기업의 포항 유치에서 가장 큰 난제 중 하나도 교육이라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포항의 고교평준화는 지난 2008년 도입돼 경북에서는 유일하게 시행되고 있다. 시행 6년 만인 2014년, 경상북도교육청은 3억5천만 원을 투입해 그간의 정책 시행 효과를 종합적으로 검토 후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했으나 결국 별다른 정책 변화 없이 흐지부지 마무리하고 말았다.

교육 수준을 평가하는 통례는 교육의 질과 인재 배출 수준이다. 학부모들은 특정 지역에 일자리를 찾더라도 그곳에서 공부할 자녀들이 좋은 대학에 가기 어렵다면 이직을 포기하는 경향이 짙다.

고교평준화 전 포항은 한때 포항고 한 학교에서만 매년 20∼30여 명의 서울대 합격생을 배출했다. 그러나 고교평준화 후 그 수는 점차 줄어들었고, 2023학년도에는 단 한 명도 입학시키지 못했다. 지역 명문고로 이름을 올리던 포항여고와 대동고의 실정 또한 마찬가지다.

물론 올해 서울대에 21명을 입학시킨 포항제철고가 지역에 있지만, 이 학교는 자립형 사립고로 모집 단위 자체가 전국구다. 포항제철고를 놓고 지역교육이 우수한 경쟁력을 가졌다고 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다.

포항의 고교 교사들 사이에선 고교평준화를 교육의 하향평준화 원인 1순위로 부른 지 오래됐다. 학교마다 다른 물리적 여건과 교육적 환경 등을 고려하지 않은 채 학생들을 추첨으로 배치해 교육의 다양성과 질이 현저히 떨어졌다는 것이다. 이는 중학교 교사들도 의견을 같이한다. 이른바 ‘뺑뺑이’라는 무작위 추첨제에서는 학생의 학교 선택권이 사실상 전무하다보니 중학교 때부터 목표와 지향점을 상실하게 돼 기초 학력부터 부실해지고 있다는 것.

포항의 한 사립고 교사는 “평준화, 취지는 좋다. 이 제도가 유지되려면 좋은 결과를 도출해야 한다. 하지만 성과는 미흡했다. 그간 지역교육 위상은 퇴보만 있어왔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결국 학교 교육에 만족하지 못한 학부모들은 오히려 자녀들을 사교육 현장으로 내몰았으나 사교육 효과도 학교 현장 경쟁력이 떨어지면서 빛을 보지 못하는 현상이 되풀이 되고 있다”며 일선 교사들은 제도의 허점을 대부분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역의 고교 평준화 개선 목소리는 포항 출신 중앙부처 고위직에도 심심찮게 나온다. 종전에는 부처별로 지역 출신들을 심심찮게 볼 수 있었고 회합도 있었으나 몇 년 전부터 후배들을 찾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이들은 직업에 대한 시대적 변화도 있겠지만 포항고교생들의 우수대학 진학 실패로 다음 단계로 도약하지 못한 것도 한 원인으로 보고 있다.

포항 출신 허화평 전 국회의원 경우 오래전부터 공사석에서 지역 고교평준화를 혹평해 왔다. 그는 고교평준화야말로 미래 포항을 내리막길로 모는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라고 거듭 밝히고 있다.

지역의 정치권도 고교평준화의 문제점에 대해선 인지하고 있다. 그러나 반대 진영의 반발을 우려,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 경북도교육청도 마찬가지다. 내부적으로 논의해보다가도 시위나 항의 등이 이어지면 없던 일로 해 버리기 일쑤다.

포항교육장을 역임한 A씨는 “고교평준화가 정말 좋고 효과가 있다면 경주는 왜 도입도 않고 있고 안동은 시행하다 폐기했겠는가?”라면서 이제 개선방안은 찾아볼 때가 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몇 년 전부터 포항의 우수 중학생들이 경주나 안동 등의 명문 고교로 진학하는 것은 이제 비밀도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일선 교사를 포함 교육 전문가들은 “이미 포항은 고교평준화를 실시한 지가 오래돼 폐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국민교육 기회의 균등’이라는 가치관을 배반하지 않는 선에서 학교와 학생들에게 선택권을 일부 주는 선에서라도 개선책을 마련해야 경쟁력이 되살아날 것이라고 조언한다.

김병주 영남대 교육학과 교수는 “고교평준화의 명암을 말할 때 특정 명문고의 위상이 아닌 지역 전체의 진학률을 따져 마땅한 근거를 제시함은 물론 시민들의 공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합리적 안을 만든 후 찬반 진영 간에 상호 토론하고 설득해가면 기대하는 방안도 마련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김민지기자 mangchi@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