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제와 판굿서 상쇠 역할 맡아<br/>고산농악 향토적 특성도 잘 파악
고산농악은 수성구 대흥동(구 내환동)에서 자생해 전승되는 농악이다. 급격한 도시화로 마을규모가 축소되었지만, 지역민들에 의해 향토색 짙은 농악 형태가 전승되고 있어 지난 1984년 대구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됐다.
황 단장은 당제와 판굿에서 상쇠 역할을 맡아 경상도의 맛을 살려 연주했으며 의례의 진행과 진법을 잘 이해해 단원들을 원활하게 진두지휘하는 등 예술적 완성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고산농악의 향토적 특성을 잘 파악하고 있어 보유자로 인정됐다.
보유자로 인정된 황 단장은 고산농악 창립 구성원의 2세로서 청소년 시절부터(1975년) 입문해 자연스럽게 농악가락을 접했다. 2019년 전승 교육사가 돼 지금까지 고산농악보존회를 이끌고 있으며, 당제 복원과 상모 양성 등 단원과 지역주민들에게 농악 전승 교육 및 다양한 활동에 힘쓰고 있다.
김대권 수성구청장은 “오랜 기간 고산농악 보유자의 부재를 딛고 황선우 단장의 보유자 인정은 고산농악뿐만 아니라 대구시 무형문화재의 경사”라며 “앞으로 보유자 중심으로 고산농악이 더욱더 발전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