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수 열풍이 분다. 대학 도서관에는 재수하는 학생들이 자리를 채우고 신문에는 재수에 관한 기사가 지면을 메운다. 우리 사회는 지금 의과대학과 SKY 대학을 선택한다. 그 선택을 통하여 젊은이들은 1년이라는 시간과 막대한 돈을 들여가며 힘든 시간을 보낸다.
재수를 위해 자퇴하는 학생들이 해마다 늘고 대학의 중도 탈락율이 높다. 지방대학교의 중도 탈락 비율은 더 높다. 경북대, 부산대 등 9개 지방국립대학교의 중도 탈락 비율이 평균 4.3%에 달한다. 서울의 대학이 3%대인데 비하여 훨씬 높다. 자퇴로 인하여 해당 학교의 운영도 어려워지고 우리 사회의 사회적 비용 또한 늘어난다.
대학 정원은 줄지 않는데 인구 감소로 고3 수험생은 줄어든다. 이것이 재수하는 학생들이 시간과 돈을 써 가면서 선택하는 요소 중에 하나다. 원하는 학과에 들어가기 유리하기 때문이다. 재수를 선택하는 것은 학생의 문제이지만 사회적인 틀을 만드는 것은 국가가 한다. 사회적으로 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젊은 사람들의 서울 집중이 심하다. 취업이 될만한 대학은 수도권에 많고, 대학에 갈 때도 웬만한 서울의 대학이면 지방의 역사 깊은 국립대학보다 합격선이 더 높다. 이 합격선은 단순한 점수 차이가 아니다. 서울로의 집중의 정도를 나타낸다.
선택과 집중은 경영전략 학자 마이클 포터가 확립한 경영전략이다. 특정한 한 분야를 선택하고, 거기에 자원을 집중시키는 경영전략을 말한다. 기업 경영과 국가 경영을 포함하여 개인의 자기개발이나 자산 관리도 적용할 수 있다. 지금 우리 사회는 막대한 비용을 들여가며 수도권에 몰린 의과대학이나 SKY 대학 진학을 선택하고 결과적으로 서울로 집중하는 현상이 심하게 일어난다.
우리는 세계 최저 출산율에 따른 인구절벽을 맞고 있다. 인구절벽 시기에 사람들의 서울 쏠림은 더 크게 느껴진다. 국가의 중요 수출 품목인 반도체 관련학과의 신입생 정원이 늘어나는 대학은 수도권의 대학들이다. 서울로의 집중을 바라보는 비수도권의 입장은 참담하다. 하루하루 조여드는 도시 소멸의 위기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젊은이들이 수도권을 선호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각종 문화시설이 즐비하고 우수한 대기업들도 수도권에 몰려 있다. 지방에서는 돈을 벌기도 문화를 누릴 시설도 부족하다고 말한다. 이러한 현실에도 정부의 정책은 수도권 중심이다. 고 이병철 회장의 미술관이나 각종 문화시설은 이런저런 이유로 수도권에 배치한다. 정부가 실시한 실질적인 공기업의 지방 이전은 얼마나 이루어졌는지. 저녁이면 퇴근 버스에 올라 서울의 집으로 향하는 사람들을 마주할 때면 지방에 사는 것이 유배당하는 느낌이다.
지하철 역세권이라 외치는 수도권 아파트 분양 광고 문구를 접하면서 사람들이 스스로 찾아오는 지방을 만드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느낀다. 편의 시설이 잘된 서울로만 가려는 사람들을 나무랄 수 없다. 하지만 국가의 균형 발전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중요시설의 지방 분산을 위한 정부의 노력이 절실함을 이상한 선택과 집중을 보면서 뼈저리게 느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