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윈도우 스트라이크

등록일 2022-07-13 17:56 게재일 2022-07-14 18면
스크랩버튼
김규인수필가
김규인 수필가

우리나라에서 새 800만 마리가 한 에 충돌사한다. 세계에선 6억 마리의 새가 한 해에 충돌로 죽는다. 소음을 막기 위한 거대한 유리 장벽과 크고 작은 건물의 유리창에 부딪혀 죽음을 맞는다. 인간의 편리를 위해 만든 각종 구조물은 마음껏 하늘을 날아야 할 새에게는 넘지 못할 장벽이다.

하늘 높이 나는 비행기, 전기를 나르는 고압선과 전깃줄, 고층에서 저층에 이르는 각종 건축물의 유리창까지 어느 하나 새에게 우호적인 환경은 없다. 수천 ㎞를 날아 쉬어야 할 새는 천적과 인간의 구조물에 몸을 지키는 데도 힘이 든다. 하늘은 새의 영역이다. 먹이를 찾아 먼 길을 날아와서 새끼를 부화시켜 키우고 다시 길을 떠난다. 어미 새를 따라 늘 같은 하늘길을 따라간다. 새 중에는 어미가 앉았던 나뭇가지에 집을 짓고 날아다니는 곤충을 잡아먹으며 그렇게 하늘을 터전으로 살아간다. 땅 위에 삶의 흔적을 남기는 사람들. 밭을 일구어 먹을 것을 얻고 불을 지펴 끼니를 때운다. 두 발로 길을 내어 집과 일터를 오간다. 야생 동물을 쫓을 때도 두 발은 땅을 딛는다. 땅에서 태어나 땅을 딛고 살다가 땅에 묻히는 것이 인간의 영역이다.

하늘을 쳐다만 보던 인간이 높이 연을 날리고 별을 따려고 화살을 쏜다. 하늘로 높이 집을 올리다가 발이 땅에서 떨어진다. 인간의 욕망은 건축물의 규모를 키우고 하늘로 길을 낸다. 사람의 건축물이 높이를 더하는 날, 새와 인간의 영역이 충돌한다.

새들의 영역을 침범한 것은 인간이다. 땅을 밟고 살아야 하는데 하늘을 날고 구조물을 만들며 조금씩 침범한 것이 이제는 새가 날 수 있는 공간마저 빼앗는다. 이제 인간들은 자신들의 공간에서 선의의 경쟁을 펼쳐야 한다. 지구의 모든 생명체에 싸움을 걸지 말고 자신들의 삶을 살아가야 한다.

인간의 이기적 산물인 유리창을 구별하지 못하는 저 선량한 생명체에게 무어라 사과의 말은 해야 하지 않을까. 지구의 모든 자연환경을 자기 것인 양 사용하는 이 무법자에게 신은 아무런 말이 없다. 인간의 염치만을 기대하며 기다리는지도 모른다.

만물의 영장이라는 말이 부끄럽지도 않은지. 같은 지구를 살아가는 삶의 동반자에 대한 죽음에 한마디 말도 없는 존재가 무슨 영장이라는 엄청난 타이틀을 스스로 쓴다는 말인가. 신이 그러하듯 새들도 사람의 염치를 기대하는지도 모른다. 이제는 그만하고 우리들의 공간을 같이 나누어 쓰자.

인간들의 염치는 지금 새들의 죽음보다 더 처참하다. 염치를 지하 감옥에 유폐시켜 놓고는 광란의 질주를 벌인다. 얼마나 많이 죽이는지, 그것이 문명 선진국이라고 억지 주장을 펼친다. 탐욕스러운 자본주의는 오늘도 새로운 물건을 만들어내며 인간의 주머니만을 탐할 뿐 빈소조차 없는 새들의 죽음에는 애써 외면한다.

감옥에 갇힌 우리들의 염치를 풀어주고 새에게도 날 수 있는 자유를 주자. 유리창을 새들이 볼 수 있게 하자. 소통하지 않는 인간에게 돌아오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인간으로 인해 너무도 많은 지구의 생명체가 힘들어한다. 지구도 이제는 인간 편이 아니다. 모두가 너무 지쳐간다. 이제는 멈추어야 한다.

길 위의 마음 읽기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