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꿈을 쏘다

등록일 2022-06-29 18:05 게재일 2022-06-30 18면
스크랩버튼
김규인수필가
김규인 수필가

‘하늘은 신성한 신의 공간, 인간에게는 간절한 염원의 공간’. 국립항공박물관의 전시물 내용이다. 하늘에서 햇빛이 내리고 비가 내린다. 하늘은 우리가 필요한 것을 끊임없이 내려준다.

그러하기에 사람들은 어려움이 있으면 하늘을 쳐다보았다. 간절한 마음으로 하늘을 쳐다보며 빌고 또 빌었다.

어린 시절, 산골에서 바라본 밤하늘의 별은 그저 쳐다만 보는 대상이었다. 잴 수도 없이 까마득한 높이에 있는 별을 그저 바라만 보았다.

별똥별이 떨어질 때면 말없이 나도 따라 뛰었다. 아무도 가까이 없는 밤에는 이야기 씨앗이 되었고 상상의 나래를 키우는 친구였다. 말없이 지켜주고 다독여주는 그런 친구다.

하늘을 날지 못해 연을 날린다. 상승 기류의 바람이 불면 연은 실의 길이만큼 하늘 높이 오른다. 바람이 불어 연은 이리저리 돌아다닌다. 연은 하늘을 날며 사람들에게 말한다. “너도 나처럼 날 수 있어.” 사람들은 연이 알려준 대로 날기 위한 장치를 만든다. 조선시대 정평구는 비거를 만들어 하늘을 날았다.

약 10m 높이로 12km(30리)까지 날아갔으니 날고자 하는 욕망이 하늘을 날게 했다. 하늘을 나는 것은 새들의 고유 영역이 아니라 꿈을 가진 자도 올랐다. 어쩌면 꿈을 가졌느냐 그렇지 않은가에 따라 달라졌다. 임진왜란 때 화포장 이장손은 하늘을 향해 비격진천뢰를 쏘아 올렸다. 비격진천뢰에는 왜구를 물리치고자 하는 이장손의 염원이 담겼다.

비격진천뢰는 16세기에 만들어진 시한폭탄이요 박격포며 클레이모아였다. 꿈을 꾸었기에 만든 최신무기였다. ‘적진에서 괴물체가 날아와 땅에 떨어져 우리 군사들이 구경하고 있는데 이것이 갑자기 폭발하자 소리가 천지를 흔들고 철편이 별가루같이 흩어져 맞은 자는 즉사하고 맞지 않은 자는 폭풍에 날아갔다. 기이하고 놀라서 서생포로 돌아왔다.’는 왜군의 기록이 꿈의 위력을 말한다. 사람만이 상상을 할 수 있는지도 모른다.

지구에 가장 번성한 종으로 살아갈 수 있는 것은 상상력 때문이다. 상상력으로 불을 지피고 문명을 일으키고 삶을 풍요롭게 한다. 상상력이 지구를 넘고 달을 넘어 우주에까지 닿는다. 누리호를 쏘아 올리는 것은 꿈을 쏘는 일이다. 누리호에도 4개의 꼬마 큐브가 실렸다. 대학생들의 꿈과 열망이 담긴 사각의 보물상자가 펼쳐지는 날 젊은이들은 벌써 우주의 하늘을 날고 있을 것이다.

오늘은 작은 큐브지만 내일은 명왕성을 향해 가는 우주선이 될 것이다. 8월이면 달 탐사선 다누리호를 쏜다. 칠흑같이 어두운 무중력의 우주 공간으로 쏘아 올린 다누리호는 달의 주위를 떠도는 인공위성이 된다. 달착륙을 위한 자료를 보낸다. 11개월간 매일 달을 12바퀴씩 돌며 그가 보낼 자료가 기대된다. 다누리호가 달 궤도를 도는 횟수가 늘어날수록 우리의 발은 달에 한 발 더 다가간다.

한국인이 달에 발을 딛는 아르테미스 프로젝트는 착착 진행 중이다. 과학자들이 밤낮을 가리지 않고 불을 밝힌다. 그들이 있기에 달에 태극기를 꽂는 것은 시간문제다. 우리의 기술로 발자국을 달에 남기는 역사적인 순간이 기다려진다. 우주로 뻗어나가는 대한민국의 힘을 느낀다. 대한민국의 더 높은 꿈을 응원한다.

길 위의 마음 읽기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