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까지 산불이 꺼질 줄 모른다. 1986년 이후 산림청이 산불통계를 집계한 이후 6월에도 대형으로 산불이 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제까지 우리나라는 건조한 봄에 집중적으로 산불이 났다. 최근에는 산불 발생이 길어져 6월에도 예년에 비해 산불 발생 위험이 30∼50% 높아졌고, 가뭄으로 전국에 산불 경보가 발령됐다.
6월의 산불은 생나뭇잎을 태우며 나는 짙은 연기로 소방관의 시야를 가린다. 그렇지 않아도 무덥고 건조한 기후에 방화복까지 입은 소방관의 산불 진화를 어렵게 한다. 산불을 끄는 소방 헬기가 고압선을 피해 곡예 운전을 한다. 헬기가 장애물에 부딪히는 사고가 날까 봐 지켜보는 사람은 안절부절못한다. 이래저래 진화작업은 더디다. 강한 바람은 이 봉우리에서 저 봉우리로 불씨를 옮기며 빠르게 산불을 퍼뜨린다. 초속 11m 이상의 강풍은 부지런히 물을 나르며 불을 끄는 산불 진화대원의 노력도 보람 없이 죽어가는 불씨를 보란 듯이 살려낸다. 불은 소방 헬기의 바람을 일으키는 동분서주를 비웃기라도 하듯이 빠른 속도로 방향을 바꾸며 번진다. 매스컴에서는 산불의 원인을 분석한다. 비가 오지 않아 건조해진 날씨를 탓한다. 6월은 예년이면 장마로 물난리를 걱정하는 시기이니 그럴 만도 하다. 산림 당국의 50년 만의 가뭄이라는 발표는 어쩌면 올 것이 왔다는 생각이 들게 한다. 이제는 산불이 발생하고 오래 지속되는 것은 기후변화 때문인 것을 직접 몸으로 느낀다. 나무가 우거진 산은 홍수를 막고 물을 가두었다가 천천히 내보내며, 수많은 동물과 식물을 보듬어 살아간다. 산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가장 중요한 일은 이산화탄소를 잡아먹고 산소를 생산하는 것이다. 산이 있어 지구온난화를 막고 산소를 마시고 사람이 살아갈 수 있다. 산불은 모든 것을 먹어 치운다. 파괴된 자연으로 생물다양성은 줄어들고 비가 오면 감당할 수 없을 만큼의 홍수 피해를 일으킨다. 산성비와 대기오염을 심화시키고 산불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발생으로 지구온난화는 빠른 속도로 일어난다.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다. 국가 정책도 탄소 저감을 실천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말로만 친환경을 외치면서 화력발전을 늘린다. 먹다가 남거나 과잉으로 생산한 음식은 비닐봉지도 뜯지 않은 채로 쓰레기통에 버려진다. 사람들이 신선도를 따지는 사이에 음식물이 썩으면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는 지구가 견딜 수 없는 상태로 만든다. 온난화로 인한 피해가 지구 곳곳에서 일어난다. 먹이를 구하지 못한 북극곰은 고사 위기에 처해 있고 빙하는 쉬지 않고 녹는다. 높아진 해수면에 나라를 잃고, 수년간 계속된 가뭄으로 먹을 물을 구하지 못한 동식물과 사람들이 말라간다. 먼 나라의 일이 아니다. 바로 앞에 닥친 우리들의 문제이다. 오늘도 손쉬운 일회용품의 사용은 코로나에 편승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잘 썩지 않는 쓰레기는 쌓여만 간다. 사람들의 편의만을 내세운 이기주의로 지구가 중병에 시달린다. 더워진 몸을 식히지 못하고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고서도 외면한다. 지구가 자신을 태우면서 전하는 말을 지금이라도 새겨들어야 한다.
“나를 식혀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