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MZ세대에서 베이비붐 세대로

등록일 2022-05-18 18:23 게재일 2022-05-19 18면
스크랩버튼
김규인수필가
김규인수필가

“필요 없는 것을 왜 사?”

제주에 사는 딸아이가 장 보러 가서 하는 말이다. 딸아이의 살림살이는 간단하다. 가구고 생필품이고 필요한 것만 산다. 그래서인지 필요한 것만 갖춘 아이의 단출한 살림살이와 수십 년 묵어 창고마다 가득한 나의 것은 비교가 된다. 밀레니얼(M) 세대인 딸아이는 컴퓨터에 익숙하다. 놀이기구를 즐겨 타고 혼자 해외여행을 떠나고 활동적으로 취미생활하고 책을 읽고 글도 쓴다. 자신의 주관이 뚜렷하고 남에게 피해 주는 일을 싫어하고, 공정하지 못한 일에는 생각을 분명하게 드러낸다. SNS를 즐겨하고 인터넷을 통해 물건을 산다.

세컨슈머는 ‘제2의(second)’와 ‘소비자(consumer)’의 합성어다. 현재의 편리함보다는 지속 가능한 삶에 초점을 맞추는 소비자를 뜻한다. 소유보다는 공유에 관심이 많고 중고 거래로 저렴하게 물건을 산다. 중고 물건을 거래하는 당근이나 중고나라의 성장을 이끄는 것도 MZ세대가 중심이 된 세컨슈머다. 투자에도 관심이 많아 중고 거래를 통해 재테크를 한다. 불필요한 물건은 버리지 않고 내다 판다. 포장한 빈 박스도 팔 것을 염두에 두고 모아 둔다. 싸게 물건을 구매하여 중고 거래 플랫폼에 올려 되파는 리셀이 성행한다. 그들의 영향으로 중고 거래 시장을 이용하는 연령층도 어린 학생들에서 60대 이상으로 그 폭이 넓어진다.

코로나19로 일회용품의 사용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일회용품 배달을 위해 택배가 활성화된다. 늘어난 쓰레기는 연료로 쓰는 것은 태우고 나머지는 쓰레기 매립지를 메운다. 재활용 비중은 너무나 낮다. 쓰레기가 냇가를 덮고 강을 덮더니 태평양 한가운데에 플라스틱 섬을 이룬다. 사람의 손만 닿으면 자연은 어김없이 파괴된다. 지금 우리나라는 쓰레기 산이 국토를 잠식하고 있다. 매년 쏟아지는 쓰레기를 받아내느라 악취를 풍기면서도 사람들의 요구에 자연은 말없이 따른다. 이제는 자연 보전을 위한 사람들의 특별한 대책이 필요하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을 걱정하는 사람들의 활동도 늘어난다. 걸으면서 쓰레기를 줍는 플로깅이 그러하고 스킨 스쿠버들의 수중 정화와 집 주위를 청소하는 착한 비질이 그러하고 자신의 쓰레기는 되가져오는 작은 손길이 늘어난다. 게다가 세계적인 비영리 환경보전기관(WWF) 활동은 활발하다.

누군가는 이러한 노력을 지속할 수 있도록 끌어주어야 한다. 정부는 국민의 의견을 모으고 건강한 환경보호 정책을 실행하고 언론은 부족한 부분을 계속 긁으며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국민은 환경보호에 동참하며 감시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일부터 해야 한다. 자가용을 타지 않고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물을 아껴 쓰고 요리할 때는 뚜껑을 닫고 육식보다 채식 위주의 식사를 한다.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재는 반납하고 중고나 재활용품의 사용을 폭넓게 늘려야 한다. MZ세대에서 시작한 작은 실천이 X세대를 거쳐 베이비붐 세대로 지속 가능한 활동으로 이어가야 한다.

길 위의 마음 읽기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