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비·원자재·유가·환율 변동<br/>제품가격 반영 못해 채산성 악화
대구지역 기업 대부분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로 물류비, 원자재 가격, 유가, 환율 상승 등의 ‘사중고’를 겪고 있다.
특히, 생산 원가, 납품비용은 늘지만, 제품 가격에 반영하지 못해 채산성 악화가 가중돼 세제 혜택 등 기업 부담 완화를 위한 중장기적 안정화 방안이 요구된다.
20일 대구상공회의소가 최근 지역 기업 336곳을 대상으로 긴급 실시한 ‘물류비, 원자재 가격, 유가, 환율 변동 영향 조사’에 따르면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등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물류비는 지역 기업 10곳 중 8곳(82.7%)이 지난해보다 물류비가 늘었다고 응답했다. 또, 물류비 증가 여파가 ‘영업이익 감소’(52.9%)로 이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원자재는 지역 기업 10곳 중 9곳(92.3%)이 주로 사용하는 원자재 가격이 지난해보다 상승했다고 답했다. 하지만, 원자재는 가격 상승분을 제품 가격에 전부 반영한 기업은 6.8%에 그쳤다.
기업들은 가격경쟁력 저하(36.0%)와 거래처와의 지속 관계 우려(28.2%)로 인해 제품 가격에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채산성 악화를 감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유가 상승에는 지역 기업 10곳 중 9곳(88.2%)이 영향을 받고 있다고 답했고, 영향이 없는 곳은 11.8%에 그쳤다.
최근 환율이 22개월 만에 1천240원을 돌파하는 등 지역 기업 64.5%가 환율 변동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으로 대부분의 기업이 기업의 생산 원가, 납품비용 등의 증가분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지역 기업들은 중간재를 생산해 대기업에 납품하고 있지만, 납품단가 반영이 어려운 실정이고, 납품단가 연동을 위해 대기업의 자발적 상생의지가 어느 때보다도 절실한 상황이다.
이재경 대구상의 상근부회장은 “원자재의 경우 가격이 장기적으로 증가할 경우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경제 전반에 악영향 미치게 된다”며 “경쟁력이 낮은 기업들이 채산성 악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어 정부는 세제 절감 혜택, 각종 부담 완화 등 기업 손실 최소화를 위한 중장기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심상선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