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비누

등록일 2022-03-09 21:00 게재일 2022-03-10 18면
스크랩버튼
김규인수필가
김규인수필가

어릴 적, 비눗방울은 동심을 하늘에 닿게 하는 마법 같은 놀이였다. 큰 비눗방울이 바람을 타고 가면 마음은 달나라의 토끼를 만난 듯 들떴다. 공원에서 한참을 달리고도 집에 돌아와 온종일 비눗방울 놀이를 하느라 시간 가는 줄을 몰랐다.

고등학교 미술 시간에 빨랫비누에 말을 조각했다. 조각도가 지나가는 자리마다 미끄러지듯 비누 조각이 떨어졌다. 돌돌 말리며 떨어질 즈음에 말은 형상을 갖추어 가고 조심스럽게 조각도를 움직였다. 두 시간에 걸쳐 만들어진 말은 비누 냄새를 풍기며 초원을 달렸다. 집 창가에 놓아둔 말은 밤이면 달그락달그락 소리를 내며 꿈길을 달렸다.

어머니는 양잿물을 사서 통닭 기름과 섞어 비누를 만들었다. 두 다랑이 가득 만든 비누는 4형제가 나누어 오랫동안 더러워진 옷을 깨끗하게 빨았다. 집에서도 비누를 만드는 것이 신기해서 나도 거들었다. 집에서 만든 수제 빨랫비누를 쓰면 아무리 더러운 빨래도 감쪽같이 때가 사라졌다.

딸아이는 예쁜 모양의 수제비누를 만든다. 비누는 사랑의 하트가 되고 귀여운 강아지가 된다. 함께 만든 향초는 집안의 냄새를 잡고 천연비누는 머리가 빠질까 염려하는 나의 애용품이 된다. 대를 이어 만든 비누 향을 따라 집안에 손으로 직접 만든 사랑이 넘친다.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인이 산양 기름에 나무 재를 넣고 끓여서 처음 비누를 만들었다. 이후 비누는 인류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친다. 비누의 대중화가 이루어진 후에 50년 만에 사람의 수명은 20년이 늘어난다. 인류 역사에 비누만큼 사람의 삶에 영향을 준 물건은 드물다.

물과 기름은 서로 섞이지 않는다. 상극과도 같은 둘을 하나로 만드는 것도 비누다. 물과 기름을 섞이게 해주는 것은 비누가 가진 놀라운 친화력 덕분이다. 비누는 수용성 물질이나 지용성 물질과도 반응한다. 물 위에서 걷는 묘기를 보이는 소금쟁이의 발에 잔뜩 묻은 기름을 무용지물로 만드는 것도 비누다. 비누가 들어가면 물 위의 신사 소금쟁이의 체면이 우습게 된다. 소금쟁이는 물에 빠져 허우적거리는 신세가 된다.

비누를 만드는 잿물은 우리 역사에서 사람을 죽이는 사약으로 쓰였다. 잿물을 마신 죄인은 얼마를 견디지 못하고 피를 토하고 죽는다. 같은 원료를 가지고도 비누는 세상을 깨끗하게 하고 사람은 동족을 죽이는 독으로 사용한다. 어떻게 사는가 하는 방법이 중요한 요즘이다. 인간을 위하느라 비누는 자신을 녹인다.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막는 데도 비누로 손을 씻는 게 더 효과적이다. 비누의 암피닐이라는 지방질 성분이 바이러스 제거를 돕는다. 존스홉킨스대학교 카렌 플레밍 교수는 “코로나바이러스는 지방질 막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비누와 물이 이 지방을 녹이면서 바이러스를 죽인다”고 말한다. 코로나가 판을 치는 세상에서 안전을 위해 비누는 요긴하다.

샤워하고 난 몸에서 향기로운 비누 냄새가 난다. 냄새를 따라 코가 벌렁거린다. 코를 타고 온 냄새로 마음도 덩달아 맑아진다.

“친구야. 잘 있지. 덕분에 나도 잘 있어”

길 위의 마음 읽기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