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의료 폐기물 소각장 반대” 들끓는 경북 민심

피현진기자
등록일 2022-01-10 20:45 게재일 2022-01-11 1면
스크랩버튼
전국 폐기물 30% 지역서 소각 <br/>  발생량 비해 처리량 9배인데도<br/>  안동·포항에 또 신설 추진 반발<br/>  경주 등 기존시설 증설도 반대<br/>“도민 우롱… 권역별 처리해야”

안동 풍산, 포항 청하지역에 의료폐기물소각장 신설 반대 민심이 폭발하고 있다. 경주, 고령 등 기존 소각장 증설 반대 원성도 크다.

현재 경북 의료폐기물 발생량은 전국 발생량의 4%에 불과하다. 하지만 의료폐기물 처리는 그보다 9배나 많은 36%를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2018년 전국 의료폐기물 23만t의 1/3이 넘는 8만t이 경북에서 소각됐다. 그런데도 경북에 의료폐기물 소각장 확장 및 신설이 추진되고 있다.


현재 계획은 경산 1일 44t과 경주 96t을 1일 120t으로, 고령 1일 55t을 1일 99t으로 증설한다. 또 포항 1일 48t과 안동 60t을 신설하면, 경북에서만 1일 371t으로 연간 13만6천t을 소각 하게 된다. 이는 전국 의료폐기물 23만t의 60%다.


전국의 의료폐기물 소각장 현황을 살펴보면 총 14개로 경북 3개(경주·고령·경산), 경기도 3개(용인·연천·포천), 충남 2개(천안·논산), 부산, 울산, 광주, 충북, 전남, 경남에 1개가 있다. 하지만 대량으로 배출하는 서울, 대구, 인천, 대전, 세종, 울산, 제주, 강원, 전북 등은 의료폐기물 소각장이 하나도 없다.


환경단체들은 지역별 분산처리 방식으로 구조적인 개선을 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대구·경주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전국 의료폐기물의 47%가 수도권에서 발생하지만 200~300km 경북으로 운반되면서 병원균에 의한 감염 위험도 크다는 것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경주·고령·안동·포항 등 모든 곳의 주민들이 증설 및 신설을 반대하고 있다. 지난 7일 안동에서 풍산에 계획중인 의료폐기물 소각장 추진 반대 시위<본지 2022년 1월 10일자 4면 게재>가 열리는 등 주민 반발이 경북도 전체로 확산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확산으로 의료폐기물이 해마다 1만t씩이나 증가하고 있으나 소각장 시설이 부족해 불법적치 및 은폐로 인한 감염 위험성이 높아 당국의 철저한 지도·단속도 요구된다. 특히, 2년 전 문경, 고령, 달성 등에서 1천t이 넘는 의료폐기물을 위장처리하고 창고에 은폐·불법적치해오다 적발되기도 했다.


안동 의료폐기물 소각장 신설을 반대하는 지역 주민 김휘태 씨는 “안동을 비롯한 경북에 의료폐기물 소각장을 확장하고 신설까지 더하겠다는 것은, 300만 도민을 우롱하는 처사”라며 “감염과 환경오염이 우려되는 만큼 정부(지방자치단체)에서 의료폐기물처리를 직접관리·운영해야 한다. 또한, 향후 재발방지를 위해 법·제도와 정치·사회적으로 지역현실을 냉철하게 분석해 근본적인 대책도 강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동 의료폐기물 소각장저지 대책위원회 관계자는 “그 지역에서 발생하는 의료폐기물은 그 지역에서 처리하도록 권역별 소각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병원 자체에서 멸균분쇄처리 등 지속가능한 방법을 찾아야 한다”며 “더 이상 행정편의와 민간 돈벌이 수단으로 무고한 경북지역 주민들 희생을 강요해서는 안 된다 당장 지역·공영제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