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월이면 어김없이 불어오는 꽃샘바람이 있다. 봄이 꽃을 피우기 위해서 겨울을 밀어내니 물러나는 겨울이 다가오는 봄을 시샘하여 차갑고 매서운 바람을 일으킨다하여 꽃샘바람이라 한다. 하지만 이 바람은 반드시 불어야 하는 자연의 순리이고 섭리이다. 겨우내 얼어붙었던 모든 것들이 봄이 오면 녹기 시작하고 잠자던 뿌리가 제일 먼저 깨어나 수분을 빨아들인다. 눈은 순을 틔워야 하는데 줄기와 가지가 아직 녹지 않고 얼어있어 공급로가 차단되니 꽃을 피우지 못한다. 수분을 줄기와 가지로 끌어올리려면 나무를 흔들어 삼투압 작용이 일어나게 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반드시 바람이 필요하다. 바람이 가지와 줄기를 흔들면 뿌리의 수분이 가지 끝마디까지 공급되고 눈은 순을 틔우고 꽃을 피우게 된다. 식물의 성장과 결실에는 반드시 꽃샘바람이 불어야 하는 것이 자연의 순환법칙이다.
역사는 발생과 성장과 쇠퇴와 해체가 반복적으로 순환한다고 토인비가 말했다. 그 모든 과정에 도전의 바람이 불고 그 바람에 어떻게 응전하느냐에 따라 역사발전이 있다고 했다. 헤겔도 역사는 변증법적 발전순환이라 하면서 正(정)이 있으면 反(반)의 도전이 있고 정과 반이 잘 융합하여 合(합)이 되는 반복순환을 통해 발전한다고 했다. 응전에 실패하거나 합에 도달하지 못하면 더 이상 역사는 나아가지 못하고 종말을 고하게 된다는 것이다. 자연역사이든 인간역사이든 역사는 순환의 그 과정마다 물러남과 다가옴의 바람이 불어온다. 그 바람을 어떻게 맞을 것인가에 따라 흥망성쇠가 결정되고 존재냐 비존재냐가 결정된다. 자연과 역사만이 아니라 인간의 삶에도 이 과정을 경험하게 되고 그 과정에 불어오는 바람을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에 따라 존재와 가치가 달라진다.
이스라엘이 바빌론에 의해 파괴되자 에스겔은 그 상황을 마른 뼈들의 무덤으로 표현했다. 그는 절망에 빠진 백성들에게 비전을 제시한다. “내가 너희 속에 바람을 불어 넣으면, 너희가 살아날 것이다. 그 바람이 마른 뼈에 힘줄을 뻗치게 하고, 살을 입히고, 살갗으로 덮고, 생기를 불어넣어, 너희가 다시 살아나게 되리라. 바람아 사방에서 불어라” 이스라엘은 그 바람을 맞고 되살아나서 이스라엘은 재건하였다.
이해인 시인은 ‘꽃샘바람’이라는 시에 “꽃을 피우기 위해선 쌀쌀한 냉랭함도 꼭 필요한 것이라”했다. 그러기에 꽃샘바람은 시샘의 바람이 아니라 샘물의 바람이다. 순간 순간 우리에게 불어오는 꽃샘바람을 피하지 말고 온몸으로 맞아들일 때에 비로소 온 몸이 생명의 에너지로 꽃을 피우고, 이 사회가 활력이 넘치게 되고, 죽었던 모든 것이 되살아나게 될 것이다. “바람아 사방에서 불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