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일본에서 일어난 대지진과 인도네시아, 인도, 태국에 쓰나미가 지나갔을 때에 한국을 대표하는 모 목사가 이들이 우상숭배를 하기 때문에 내린 하나님의 징벌이라고 설교했다.
코로나19가 발생했을 때도 일부 종교인들은 하나님이 내린 징벌이라 했다.
그렇다면 기독교 국가인 미국의 샌프란시스코와 로스앤젤레스의 지진과 거의 100%가 기독교인인 아이티의 지진은 왜 일어났을까에 대해 합리적인 답변을 내어놓지 못했다.
자연재해가 정말 하나님의 징벌인가 하는 문제를 놓고 신학자들이 모여 성경을 연구했다.
그 결과 가톨릭에서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통해 자연재앙과 하나님의 징벌은 아무 상관이 없으며 하나님은 이 세상을 하나님이 만든 자율적 운동법칙에 위탁하였기에 그 자연법칙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라 발표했다. 그리고 그 중 대부분은 인간이 자연을 파괴함으로 발생되었다고 했다. 개신교에서도 교수연합회를 통해 모든 자연재해가 하나님의 징벌은 아니라고 발표하였다.
성경에 징벌이 없지는 않지만 모든 것을 하나님의 징벌로 보는 것을 칼 융은 합리적이고 과학적 설명을 할 수 없었던 시대의 진술 방법인 신화적 교리를 실재화 하는 근본주의 신앙이라 했다.
기독교 인문학자 르네 지라르는 예수님이 원수를 징벌하지 않고 원수를 사랑하라고 가르쳤고, 오른뺨을 때리면 때린 자를 징벌하지 말고 왼뺨도 내어주라고 했다면서 하나님은 징벌하는 분이 아니라 원수까지도 사랑하시는 분이라 했다.
처음 하나님을 알기 시작할 때에는 징벌적 하나님으로 인식되었지만 점차 징벌의 하나님이라기 보다 대자대비한 사랑의 하나님임을 알게 되었다는 것이다.
존 티한은 [신의 이름으로]라는 책에서 분별없이 모든 것을 하나님의 징벌이라고 말하는 것은 신의 이름을 빙자하여 사람들을 협박하는 언어폭력이라고 지적했다.
IS가 테러를 하는 이유는 그들의 신 알라의 명령이라고 한다. 브루스 링컨은 신의 이름을 빙자한 이런 테러를 ‘거룩한 테러’라고 했고 신의 이름으로 징벌 운운하는 것 역시 ‘거룩한 테러’라고 하면서 이는 잘못된 신앙이라 지적했다.
예수 당시 실로암에 있는 망대가 무너지는 사고로 열여덟 사람이 죽는 재난이 발생하자 사람들은 예수에게 저들이 무슨 죄를 지었기에 저런 징벌을 받느냐고 물었다.
이에 대해 예수는 저들이 너희보다 죄가 많아 징벌받아 죽은 것이 아니라며 신의 이름을 빙자한 언어의 테러를 하지 말 것을 경고했다.
신앙을 가진 종교인들이 흔히 범하기 쉬운 말 중에 하나가 “벌 받았다”는 말이다. 이 말을 생각 없이 하는 것은 신의 이름을 빙자한 언어폭력으로 삼가 조심해야 할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