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살아있는 깊은 밤

등록일 2023-07-04 19:44 게재일 2023-07-05 14면
스크랩버튼
탄탄 스님 용인대 객원교수
탄탄 스님 용인대 객원교수

죽지도 않았는데 죽었다는 헛소문이 내 인생에서 도합 세 번쯤 있었다. 그 첫 번째는 돌도 되기 전이었다는데 내겐 기억이 없다. 다만 자라면서 집안어른들에게서 종종 들었을 뿐이다. 그 두 번째는 스물이 훨씬 넘어서였다. 중학교 동창들 사이에서 내가 죽었다는 소문이 났다는 것을 나중에야 알았다. 나머지 세 번째는 미국에 살다가 귀국하여서 종적을 감추고 지인들과의 소식이 뜸했을 때였다. 나이 사십을 바라보고 있었을 때였다. 난 여태껏 살아오면서 세 번이나 죽었던 사람이었다.

죽지도 않았는데 죽었다는 소문이 어찌어찌하여서 났었는지는 통 모를 일이지만, 산 자에게 언제인가 죽을 날은 반드시 온다. 산 자가 누군가를 위해 살고 있다는 말은 한갓 말장난일 뿐이다. 삶은 그저 자기를 위한 것일 뿐이다. 산 날이 죽은 날이 되거나 죽을 날이 산 날보다 가까워져서 점점 나의 삶이 짧아짐을 느낄 때 과연 이 세상 어느 누가 기꺼이 남을 위한 행복을 빌어줄 수 있겠는가?

가끔씩 나는 상상한다. 죽지 않는 불사신처럼 죽음의 강을 건너지 않고, 대학병원 입원실에서 서성이지 않고, 세상 많은 사람들 속에서도 홀로된 고독감에 몸부림치지도 않을 수 있다면 얼마나 행복할까 상상해 본다. 사력을 다해 살기 위해서 사는 우리는 정말 죽음이라는 인생의 마지막 큰 숙제 앞에서 과연 얼마나 의연할 수가 있겠는가? 죽음이라는 것은 산 자들로서는 영원히 풀 수 없는 난제이다. 결국 죽어봐야 죽음을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엇보다 다행인 것은 지금 이 순간 내가 숨을 쉬고 살아 있다는 것, 살이 썩지 않았다는 것, 죽을 병에 걸린 줄 알았는데, 돌팔이 의사의 오진으로 버젓이 살아 있는 것, 이 깊은 밤에 듣는 가장 슬픈 음악도 어쩌면 오히려 잔잔한 기쁨이 되어 행복을 선사받는다는 것이다. 그럴 때면 내 돈을 떼어먹은 괘씸하기 짝이 없는 자조차 용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세파의 험난한 이 빗줄기도 언제인가는 그칠 것이며 풍찬노숙의 날도 비껴가리라는 어줍잖은 희망을 가진 적이 있다. 그 빗속의 풍찬노숙이 나에게 위안의 말 한마디를 건넨 적이, 나를 용서한 적 있었던가. 숨 막히도록 아름다운 이 세상에서 개똥밭을 구르고 있지만 살아 있어서, 살 수만 있다면, 살고 있으니 이토록 신명이 나는 것을…. 깊은 밤이다.

종교단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