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교육

오늘부터 지역별 초등학교 예비소집

교육부와 전국 시·도 교육청은 학교·지방자치단체·경찰청 등과 함께 2020학년도 초등학교 취학대상 아동 소재·안전 집중점검을 시작한다고 25일 밝혔다.예비소집은 이달 26일 세종시를 시작으로 내년 1월 10일까지 지역별로 실시된다.같은 지역에서도 학교별로 일정이 다를 수 있으므로 자녀 학교의 정확한 예비소집 일자와 시간은 취학통지서로 확인해야 한다.보호자는 자녀나 보호하는 아동이 입학하는 학교의 예비소집에 함께 참여해야 한다. 동행이 어려운 경우에는 예비소집일 이전에 학교에 문의해 개별 방문 등 별도 등록 절차를 밟을 수 있다.아동이 질병 등 부득이한 사유로 취학이 어려운 경우에는 학교에 취학의무 면제 또는 유예를 신청하면 된다.예비소집에서 소재·안전이 확인되지 않는 아동에 대해서는 유선 연락, 가정 방문, 등교 요청 등 절차가 진행된다. 학교는 아동의 소재·안전이 확인되지 않으면 관할 경찰서에 소재 파악을 위한 수사를 의뢰한다.교육부는 올해부터 법무부와 정보를 연계해 중도입국 자녀가 있는 가정에 초등학교 입학 절차에 대한 안내 문자를 해당 국가 언어로 발송하기로 했다.다문화가정 학부모들이 자주 방문하는 지역주민센터 등 유관기관에는 학교 편입학 안내자료를 한국어·영어·중국어·일본어·베트남어·러시아어·크메르어·미얀마어·몽골어·아랍어·타이어·타갈로그어·프랑스어 등 13개 언어로 배포한다./김민정기자 mjkim@kbmaeil.com

2019-12-25

대구교육청, 식생활교육 우수학교 4곳 선정

대구시교육청은 18일 행복관에서 식생활교육 시범운영 우수학교로 선정된 4곳을 시상하고 사례발표회를 진행했다.이번에 선정된 우수학교는 진월초, 다사초, 관음중, 동부중 등이다.지역 32개 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한 식생활교육 시범운영은 올해 3월부터 지난달까지 학교별 특성에 맞는 체험활동 위주의 다양한 식생활교육과 함께 학부모, 교직원에 대한 인식개선 연수로 진행했다. 주요 내용은 △오감교육 △바른식생활교육 △현미식 △나트륨·당류 줄이기 4개 부문이다.올해 우수학교는 운영계획의 구체성 및 계획에 따른 운영, 다양한 교육활동, 교육수요자의 참여율, 창의성, 효과성, 일반화 가능성 등에 중점을 두고 분야별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정했다.우수학교로 선정된 진월초는 오감교육 시범운영 우수교로 학교단위 식생활교육, 가족과 함께 식생활 교육캠프 운영, 오감교육 동아리, 오감놀이터, 요리교실 등을 운영했다.다사초는 바른식생활교육 우수교로, 학교는 식생활교육, 가정은 밥상머리교육, 지역사회는 체험적 교육을 통해 교육공동체가 삼위일체되는 소통에 중점을 뒀다.관음중은 현미식 시범운영 우수교로 현미의 가치를 알아보는 식생활교육 및 현미식과 함께 가공품 등을 제한하는 건강식으로 학교급식을 제공했고, 동부중은 나트륨·당류 줄이기 우수교로 미각키트를 활용한 교육, 동아리 운영, 저염·저당 요리만들기 체험, 가족의 건강까지 생각하는 다양한 식생활교육 등을 운영했다.대구시교육청 관계자는 “학교급식은 ‘한끼 밥’의 차원을 넘어, 미래 시민의 식생활 뿌리를 형성하는 교육의 한 영역”이라며 “이를 실질적으로 구현하고자 올해 두 번째로 식생활교육 시범운영을 진행함과 동시에 성과를 공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심상선기자 antiphs@kbmaeil.com

2019-12-18

족벌가계도 공개… 사학 비리 잡는다

앞으로 사립학교 재단의 임원이 친인척으로 구성돼 있으면 친족 관계를 모두 공개하고, 사립대 이사장 또는 상임이사가 1천만원 이상의 회계비리를 저지를 경우 임원 승인을 취소한다. 적립금 사용 시 교직원과 학생 참여도 의무화된다.교육부는 1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5차 교육신뢰회복추진단 회의를 열고 이 같은 제도개선 과제가 담긴 사학혁신 추진방안을 발표했다.이날 발표의 초점은 ‘족벌 경영’ 규제 강화에 맞춰졌다. 교육부는 사학법인 족벌 경영에 대한 규제와 감독을 강화하고 임원 간 친족관계를 고시하도록 할 방침이다. 학교법인 임원 간에 친족 관계가 있으면 모두 공시하고, 설립자·임원과 친족 관계인 교직원이 몇 명인지도 공시하기로 했다. 비리임원 결격 사유를 강화하는 동시에 당연퇴임 조항을 신설한다.사립대에 대한 상시감사 체제도 구축한다. 현재는 회계 부정을 저지른 임원에 대한 취임 승인을 취소하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은데 ‘1천만원 이상의 배임·횡령’수준으로 법제화하기로 했다. 교육부 내 사학 관련 부서 간 직원 인사이동도 일정 기간 제한하고, 퇴직공직자 취업 제한을 사립대 무보직 교원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업무추진비 공개 대상도 현행 총장에서 이사장 및 상임이사까지 확대 적용된다.적립금 문제도 손댄다. 사립대들이 쌓아놓기만 한다는 지적이 많았던 적립금으로 교육투자 확대를 유도하기 위해 기금운용심의회에 교직원·학생 참여를 의무화하고, 적립금 사용계획 공개를 추진한다.아울러 사립학교 사무직원은 모두 공개채용해 투명성을 강화한다. 중대비리는 교육청에 징계심의위원회를 둬 교직원에 대한 재심의를 관할하도록 한다. 사무직원에 대해서도 제재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고, 사립학교운영위원회를 자문기구에서 심의기구로 격상한다.사립대학에 대해서는 상시감사체제를 구축하고, 감사 결과는 전문 공개하기로 했다. 감사 처분 양정 기준도 마련한다. 사립대 외부 회계 감사인은 그간 법인이 자체 지정해 ‘셀프 감사’ 논란이 있었던 만큼 회계 부정이 발생하면 교육부가 지정하기로 했다.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사학 혁신은 사학비리 자체를 구조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대책”이라며 “일부 사학의 비리일지라도 교육 전체의 신뢰를 훼손하고, 비리 유형이 반복적이고 구조적인 경우가 많아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사학이 스스로 건학 이념에 따라 혁신 주체가 되어 더욱 투명하고 공정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김민정기자 mjkim@kbmaeil.com

2019-12-18

누리과정 지원금 7년 만에 2만원 인상

내년부터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아에게 지원되는 누리과정지원금이 22만원에서 24만원으로 오른다. 고등학교 2학년도 고교무상교육 대상에 포함돼 약 88만명이 혜택을 볼 전망이다.교육부는 누리과정비 인상과 고교무상교육 대상 확대 등을 반영한 내년도 예산 77조3천871억원을 국회에서 확정했다고 11일 밝혔다. 2019년도 본예산(74조9천163억원)보다 3.3%(2조4천708억원) 늘어났다.분야별로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을 포함한 ‘유아 및 초·중등교육’에 60조4천126억원, 고등교육에 10조8천331억원, 평생·직업교육에 9천383억원, 교육일반에 1천326억원, 교육급여와 공적연금 등 사회복지에 5조705억원을 투입한다.가장 눈에 띄는 것은 누리과정비 인상이다.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5세 유아에 지원하는 누리과정비를 2013년 이후 처음으로 2만원(9.1%) 인상하기로 했다.아울러 고교무상교육 대상이 내년에는 고교 2학년까지 확대됨에 따라 관련 예산 6천594억원을 새로 반영했다. 고등교육과 관련해서는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예산이 내년 719억원으로 올해(559억원)보다 160억원 늘었다. 서울 16개 대학 정시모집 확대 유도를 골자로 한 ‘대입 공정성 강화 방안’을 실현하기 위해서다.대학혁신지원사업 예산도 내년 8천31억원으로 올해(5천688억원)와 비교해 2천343억원 증액됐다. 학생감소로 위기에 빠진 지역대학을 돕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1천80억원 규모)이 신설된 영향이 컸다.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누리과정비가 7년 만에 인상되고 고교무상교육 예산이 계획대로 확보된 점에 의미를 둔다”면서 “주요 사업에 필요한 예산이 확보된 만큼 사업추진에 차질이 없도록 관리하겠다”고 말했다./김민정기자 mjkim@kbmaeil.com

2019-12-11

유리한 성적조합 찾으면 ‘대박’

오는 26일 대학 정시모집을 앞두고 전국 각지에서 열리는 지원전략 설명회에 수험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2020학년도 정시 모집인원은 2019학년도보다 3천882명이 줄어든 7만 9천90명이다.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전년도보다 쉽게 출제돼 점수 경쟁이 치열할 전망이다. 상위권 대학일수록 합격 점수는 조밀해질 것으로 보인다. 지원자들이 눈여겨봐야 할 변수는 크게 대학별 환산점수, 모집인원 등이다. 대학마다 전형 요소별 반영 비율이 달라 자신에게 유리한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대학·계열마다 영역별 반영 비율 달라입시 업체들은 우선 자신에게 유리한 영역별 성적 조합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대학이나 계열에 따라 영역별 반영 비율이 다르기 때문이다.예를 들어, 연세대 인문계열은 국어 33.3%, 수학 33.3%, 영어 16.7%, 탐구 16.7%를 반영하지만, 자연계열은 국어 22.2%, 수학 33.3%, 영어 11.1%, 탐구 33.3%를 본다. 한양대의 경우 인문계열은 국어 30%, 수학 30%, 영어 10%, 탐구 30%를, 자연계열은 국어 20%, 수학 35%, 영어 10%, 탐구 35%를 적용하는 식으로 대학마다 계열별 성적 반영율이 각각 다르다. 대체로 인문계열은 국어, 자연계열은 수학 비중이 높은 편이다.절대평가인 영어는 등급에 따라 대학에서 제시한 기준 점수를 부여한다. 주요 대학은 대체로 2등급과 3등급 간의 점수 차가 크기 때문에 2등급 이상 취득해야 불이익이 없다.경희대는 1등급 200점, 2등급은 192점으로 두 등급 간 차이가 8점이지만 2등급과 3등급(178점) 간 차이는 14점이다. 한양대 인문계열도 1등급 100점, 2등급 96점, 3등급 90점으로 2등급과 3등급 간 점수 차가 1등급과 2등급 간 점수 차보다 크다.□ 정시 최종 모집인원 반드시 확인가산점도 따져봐야 한다. 영어 비중 축소로 수학과 탐구영역 비중이 상대적으로 확대됐다.특히 중하위권 대학 가운데 수학과 탐구영역의 응시유형을 따로 지정하지 않는 곳이 많다. 응시유형을 정하지 않은 자연계열 학과는 수학 가형이나 과학탐구 응시자에게 가산점을 부여하기도 하므로 이를 감안해 합격 가능성을 분석해야 한다. 제2외국어와 한문 성적을 탐구의 한 과목으로 대체해주는 대학도 있다.입시 전문가들은 수시모집 이월 인원도 살펴볼 것을 권했다. 각 대학들은 오는 20일 수시모집 추가 등록을 마감한 뒤 정시모집 최종 선발 인원을 발표할 예정이다. 현재 발표된 인원보다 정시모집 인원이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선발 계획이 없었던 모집단위가 수시 이월 인원으로 생기는 경우도 있으므로 수험생들은 20일 이후 모집단위별 정시 최종 모집인원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보통 자연계열이 인문계열보다 수시 이월 인원이 더 많이 생긴다. 실제로 2019학년도 주요 30개 대학의 이월 인원을 보면 인문계열은 962명(10.9%), 자연계열은 1천370명(14.3%)이었다.□ 경쟁률 눈치보지 말고 소신 지원대학별 정시 모집인원 변화와 함께 경쟁률도 지원전략을 짤 때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다. 올해 수능 응시인원이 전년대비 인문·자연계열 모두 크게 줄어든 가운데 전체 영역 중 과학탐구 응시인원의 감소 비율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정시모집에서 상위권 대학에 지원 가능한 석차 누적비가 지난해보다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정시모집 마감 당일 각 대학은 빠르면 오전 10∼11시, 늦으면 오후 2∼4시에 경쟁률을 발표한다. 지난 2018∼2019학년도 주요 대학의 정시모집 마감일 경쟁률 변화를 살펴보면 상당수 수험생이 이를 보고 최종 결정을 내리는 것으로 풀이된다.입시 전문가들은 “최종 발표된 경쟁률이 예상보다 높아 좌절하는 수험생들이 있는데 경쟁률이 반드시 커트라인 상승을 의미하는 건 아니다”라며 “어느 대학에 어떻게 지원할지 세밀하게 준비해야 한다. 여러 변수에 따라 합격과 불합격이 뒤바뀔 수 있어 표준점수, 백분위, 영역별 반영비율, 가산점, 대학별 반영지표 등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김민정기자 mjkim@kbmaeil.com

2019-12-11

대구-경북교육청 정책 사업교류 확대 맞손

대구와 경북교육청이 맞손을 잡고 정책 사업 교류를 통한 상생 발전의 장을 넓혀간다.대구시교육청과 경북도교육청은 11일 시교육청 여민실에서 ‘2019년 대구-경북교육청 교류증진협의회’를 열고, 교육정책 사업교류 확대에 상호협력키로 했다.교육정책교류 협약 체결 1주년을 맞아 열린 이날 협의회는 양 교육청의 교육감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해 올해 교류사업 결과를 되돌아보고 내년 교류사업 계획을 발표했다.올해는 2개씩의 사업을 제안해 운영했다.대구교육청은 미래형 창의·융합 인재양성을 위한 ‘국제 바칼로레아(IB) 프로그램’과 지역사랑 고취 사업인 ‘대구·경북 다시보기 콘텐츠’ 공동 개발을 제안했다. IB 프로그램사업과 관련해 경북교육청과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교원연수를 지원하고 홍보 콘텐츠를 공유했다.대구-경북 다시보기 콘텐츠 사업은 중등교재 개발자료를 공유하고, 학생체험 프로그램을 상호협력해 개발하는 체제를 구축했다.경북교육청은 나라사랑 프로그램인 ‘독도체험 탐방단’ 상호교류를 제안해 지난 7월 대구·경북 교원 20명이 독도를 공동탐방하고 독도교육 활성화를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다.또한, ‘가족 수학캠프’를 제안해 대구·경북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과 학부모 48팀이 참가해 놀이와 함께하는 수학체험전을 실시하는 등 성공적인 교류사업을 추진했다.내년에는 두 교육청이 4개의 공동사업을 선정하고, 교육청별 2개의 사업을 주도하기로 협의했다.대구교육청은 국제 바칼로레아(IB) 프로그램의 심도 있는 운영 및 전문가 인적자원 교류를 주도하고, 경북교육청은 대구·경북 다시보기 콘텐츠사업을 확대한 역사·문화 체험프로그램을 운영과 미래학교 및 미래교육지구 교류를 주도하기로 했다.강은희 대구시교육감은 “지난 1년간 대구·경북교육청의 정책 사업 교류와 교육협력으로 상생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앞으로 매년 개최되는 교류증진협의회를 통해 양 교육청이 힘을 모아 미래역량교육을 선도해 갈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심상선기자

2019-12-11

읽기능력 뚝 뚝 퇴보 현실에 학생부 ‘독서기록란’ 없애라?

학창시절 ‘억지로’ 읽은 책 한 권이 인생을 바꾸기도 한다. 학생들의 책 읽기를 생활화하고자 그동안 학생부에 독서활동을 기록해왔지만, 교육부가 최근 봉사활동, 수상경력 등과 마찬가지로 독서 기록 역시 ‘외부의 입김’이 크게 작용한다는 이유를 들어 대학입시에 반영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학생부에서 독서기록란이 이내 사라질 운명이다.교육부는 지난달 28일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을 발표하고 학생부종합전형의 투명성과 공정성 강화를 위해 2024년부터 독서활동 등 정규 교육과정이 아닌 모든 비교과 활동을 폐지하기로 했다. 부모를 포함한 외부 영향을 막기 위해 기재 금지사항을 대폭 늘린 것이다. 이른바 ‘조국사태’로 불거진 교육 불평등 문제로 인해 책 읽기조차 아이 스스로 했는지 의심할 수밖에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는 목소리가 나온다.그동안 열악한 교육 환경에서 어떻게든 아이들에게 책을 읽히려 안간힘을 써온 교사들은 허탈감에 빠졌다. 비교과영역 축소 방침은 사실상 수업을 문제풀이 방식으로만 진행하라는 것과 다름없다고 주장한다. 비교과 활동에 속하는 독서는 교내 활동 중 학생들이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분야다. 활동을 기록하는 것보다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독서 습관을 다지는 과정에 의의가 있다.대학 역시 학생부종합전형 시 학생부에 기재된 ‘독서활동상황란’을 통해 지원자의 관심 분야와 지적 호기심을 파악한다. 학업 역량부터 전공에 대한 흥미, 가치관 등 수험생의 전반적인 면모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인 셈이다.서울대의 경우 자기소개서에 고교 재학기간 동안 읽은 책 중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세 권을 선정하고 그 이유를 기술하도록 한다. 자기소개서 문항 하나를 통째로 독서활동에 할애할 만큼 지원자의 독서 경험을 중요하게 여긴다.포항지역의 한 고교 국어교사는 “학생부에 독서 내용을 기재하는 것은 그렇게 해서라도 아이들에게 책 읽는 습관을 들이기 위한 고육지책”이라며 “단순히 독서활동 기록이 ‘부모 찬스’로 왜곡될 수 있어 입시에 반영하지 않겠다는 것은 분명한 교육 정책 퇴행”이라고 지적했다.문제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읽기 수준이 이미 퇴보 수순을 밟고 있다는 것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지난 3일 발표한 ‘2018년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결과에서 우리나라의 읽기 영역 평균 점수는 514점(600점 만점)으로 지난 2000년 평가가 시작된 이래 최저 점수를 기록했다. 2006년 556점으로 1위에 오른 뒤 12년 연속 점수가 떨어졌다. 올해는 결국 10위 안팎으로 순위에서 밀려났다. 특히 기초 문장만 이해 가능한 ‘레벨 1’ 이하 학생 비율이 15.1%를 차지해 9년 전인 2009년(5.8%)보다 3배 가까이 늘었다. 실제로 지난해 치러진 2019학년도 수능에서는 상당히 어려웠던 국어 문제 때문에 수험생들 사이에서 ‘불수능’이라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평소 상위권 성적을 유지하던 학생들도 당시 국어 과목에서 기대 이하의 낮은 성적을 받은 경우가 많았다. OECD는 평가 총평을 통해 “한국은 읽기, 수학, 과학 등 모든 영역에서 평균 성취도가 하락한 7개 국가 중 하나”라고 언급했다.교육계 전문가들은 초·중학교에서 각종 평가를 없앤 지 10년 가까이 지나면서 학력저하 현상이 현실화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했다. 우리나라의 학력 추락이 예년 수준으로 회복되지 않으면, 향후 중국이나 일본과 격차가 더 벌어지게 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단언컨대 독서보다 훌륭한 교육은 없다./김민정기자 mjkim@kbmaeil.com

2019-12-08

청소년수련활동 프로그램 국가 인증 획득

대구한의대 계림청소년수련원(원장 류수현)이 청소년수련활동 프로그램 2종에 대한 국가 인증을 획득했다. 이번에 인증받은 프로그램은 ‘Say 김치!’와 ‘안녕(安寧)하십니까?’ 프로그램이다.청소년 수련활동 인증제는 교육·사회적 환경 변화에 따른 양질의 청소년활동 정책과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활동 기록을 유지·관리해주는 국가인증제도이다.활동 프로그램과 지도력, 활동환경의 3개 영역과 프로그램 구성, 프로그램 자원운영, 지도자 자격, 지도자 역할 및 배치, 공간과 설비의 확보 및 관리, 안전관리 계획의 6개 기준을 충족해야 하는 청소년 분야의 유일한 국가 인증제도이다.이 인증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은 여성가족부 장관 이름으로 발급된 프로그램 활동 기록을 갖게 돼 입시, 취업 등 진로 관련 포트폴리오 작성에 공신력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계림청소년수련원이 국가 인증을 받은 ‘Say 김치!’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이 수련원 생태학습장에서 직접 재배한 배추와 무로 김치를 담그고, 이를 지역 독거노인들에게 전달함으로써 지역사회와의 유대감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이다.또 ‘안녕(安寧)하십니까?’ 인증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의 안전의식을 함양하고 모둠별 임무 활동으로 공동체 의식과 문제해결 능력을 습득하도록 지원하는 내용으로 구성돼 있다.류수현 계림청소년수련원장은 “이번 국가인증 획득으로 경산시 청소년들에게 개선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됐으며, 앞으로도 경산시 모든 청소년의 행복을 위해 노력하는 청소년수련원이 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경산/심한식기자

2019-12-04

안동대서 ‘2019 전국 고등학생 보안 경진대회’ 열려

‘2019 전국 고등학생 보안 경진대회’가 지난달 30일 안동대 국제교류관에서 열렸다.2일 안동대 소프트웨어중심대학사업단에 따르면 안동대 스마트팜보안센터 주관으로 열린 이번 보안 경진대회는 청소년의 보안능력 강화, 보안의식 확산, 소프트웨어(SW) 코딩 및 알고리즘 소양 함양을 위해 마련됐다.대회는 오전·오후 섹션으로 나눠 각각 참가팀별로 문제를 풀이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문제는 웹, 시스템, 역공학, 포렌식, 암호화, 네트워크, MISC 등 다양한 분야에서 출제됐다.특히 이번 대회는 서울뿐만 아니라 경기, 충청, 대구·경북 지역 등 전국에서 총 19개 팀이 참가해 자신들의 기량을 발휘했다.대회 결과 서울 용산구에 있는 선린인터넷고 ‘안동대21학번’팀이 대상에 선정됐다. 이어 △경북도지사상 ‘KorNewbie팀(대전대신고, 천안고, 유성고)’ △안동시장상 ‘박상우와국밥의저주팀(달성고, 중촌고, 한세사이버고)’ △안동경찰서장상 ‘늙은어린왕자팀(대덕소프트웨어마이스트고, 충주중산고)’ △경북테크노파크원장상 ‘PrimeTime팀(대구경북고)’이 각각 수상했다.차영욱 안동대 스마트팜보안센터장은 “참가한 팀들의 보안 역량 및 SW 코딩 실력이 전체적으로 상당한 수준이었다”며 “앞으로 우리나라의 보안 경쟁력에 일조할 수 있도록 더욱 발전된 대회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손병현기자why@kbmaeil.com

2019-12-04

구멍 뚫린 수능 보안 ‘큰일날 뻔’

오는 4일 오전 9시에 공식 발표하기로 예정된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을 수험생 312명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홈페이지에서 먼저 확인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수능 시험 도입 이래 성적이 사전 유출된 경우는 처음 있는 일이다. 형평성을 고려해 일정을 앞당겨 성적을 공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지만, 평가원은 예정대로 진행한다는 입장이다.2일 교육계에 따르면 지난 1일 한 수험생 커뮤니티 사이트에 ‘수능 성적표를 미리 발급받았다’는 내용이 담긴 게시글이 올라왔다. 해당 글을 올린 네티즌은 웹 브라우저의 개발자 도구 기능을 이용해 성적 확인이 가능하다며 설명을 달았다. 성적 이력의 연도를 ‘2019’에서 ‘2020’으로 바꾸는 식으로 확인 가능해 재수생을 포함한 ‘n수생’만 볼 수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다른 수험생 커뮤니티 사이트에도 수능 성적을 확인했다는 인증 글이 잇따라 올라왔다. 서로 표준점수와 등급을 비교해 등급컷을 유추하기도 했다. 현재는 평가원 수능 성적증명서 홈페이지 접속이 불가능한 상태다.이날 오후 평가원과 교육부는 사전 유출 사실을 인정했다. 수능 응시생 총 312명이 성적증명서 발급 서비스에 접속해 본인 성적을 사전 조회 및 출력했으며, 올해 본 수능 성적이 맞는 것으로 확인됐다. 송근현 교육부 대입정책과장은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사전 모의 테스트 중에 실제 사이트로 연결됐다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보고했다”면서 “이로 인해 1일 밤늦게 재수생에 한해 수험생 본인의 올해 수능점수가 먼저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어 “로그온 기록이 남아 있다. (수능성적을 미리 확인한 것이) 업무방해에 해당한다는 판단이 들면 법리검토에 들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교육부와 평가원이 책임을 지겠다고도 했다.수험생들 사이에서는 “형평성에 맞게 전체 성적을 조기 공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수능 성적을 미리 알면 수시모집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했는지 사전에 알 수 있기 때문에 형평성에 문제가 생긴다는 지적이다. 일각에서는 “성적 사전 조회가 논술 등 대학별 고사 도중에 이뤄졌다면 대학별 고사를 보러 갈지 말지 결정할 유리한 정보로 작용했을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됐다. 수능성적 사전 확인 논란에 대해 교사들도 “지난 주말에 면접을 본 학생 중 성적을 미리 보고 수능 최저 통과를 확인한 후 면접 응시를 결정했다면 문제가 크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지난 11월 30일과 12월 1일 서울대를 비롯해 고려대, 연세대, 건국대, 경희대, 동국대, 한국외대 등 서울 주요 대학들이 면접고사를 실시했다.하지만 평가원은 당초 계획대로 4일 성적 발표를 진행하기로 했다. 그동안 성적표 유출 등의 보안 문제로 성적 발표를 조정한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 다만, 수능 관련 서비스 전반의 취약점을 점검해 대책을 수립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민정기자

2019-12-02

꽃길 대신 닦는 부모들… 미국도 입시비리 논란

‘미국판 스카이캐슬’로 불린 초대형 입시비리 사건에 연루된 미국의 유명 배우 펠리시티 허프먼(56)이 2주간의 구금형을 받기 위해 미 캘리포니아주의 한 연방 교도소에 수감됐다고 AP통신·폭스뉴스가 지난 15일 전했다. TV 시리즈 ‘위기의 주부들’에 출연한 허프먼은 딸의 SAT(미 대입 자격시험) 점수를 올리기 위해 입시 컨설턴트에게 1만5천 달러(1천780만원)의 뒷돈을 건넨 혐의로 기소됐다. 지난달 선고 공판에서 구금 14일, 벌금 3만 달러, 사회봉사명령 250시간을 받았다.조국 전(前) 법무부장관 자녀의 입시 비리 의혹과 관련해 검찰이 연일 강도 높은 수사를 이어가는 가운데 미국에서도 대학 입시 비리로 학부모 및 입시 코디·대학 관계자들이 검찰에 적발돼 재판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입시비리 문제가 단연 우리 사회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인 글로벌 문제임을 시사한다.국내·외에서 불거진 입시비리 스캔들을 계기로 부모의 자녀 과잉보호가 다시 도마에 오르고 있다. 1980년대 유행했던 ‘헬리콥터 육아’가 90년대 집중육아를 거쳐 이제는 자녀의 성공, 특히 명문대 입학을 가로막는 모든 장애물을 부모가 마치 눈을 쓸어버리듯 직접 나서 제거하는 방식으로 발전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른바 ‘제설기 부모(snowplow parents)’다.입시비리에 가담한 부모 대다수는 부유층에 속했다. 미국 중상류층 사이에서 ‘제설기 부모’ 방식의 교육법이 만연한 것은 이미 공공연한 사실이다.CNN과 뉴욕타임스(NYT)·AP통신 등에 따르면 아들을 수구 선수로 위장해 명문대에 입학시킨 데빈 슬로운(53) 아쿠아텍처(미 로스앤젤레스의 폐수처리업체) 대표는 입시 컨설턴트의 지시에 따라 아들의 경력 위조에 나섰다. 아들이 USC에 합격하자 입시 컨설턴트의 가짜 자선단체에 20만 달러, USC 체육 담당 고위 관계자에게 5만 달러를 건넸다.결국 슬로운은 징역 4개월에 사회봉사 500시간, 벌금 9만 5000달러(약 1억1300만원)를 선고 받았다. 그는 법정에서 눈물을 흘리며 “아들을 위해서 한 일이지만 지금 와서 생각해보니 그것이 정반대의 결과를 낳았다”며 잘못을 인정한 것으로 알려졌다.전문가들은 자녀의 발달 단계에 따라 과정별 특성과 효과를 고려한 올바른 교육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자기주도학습 코칭으로 자녀를 위한 행복교육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교육부는 자녀 행복교육을 위해 부모가 먼저 행복해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를 위해 전국학부모지원센터를 운영하고 부모가 유념해야 할 창의성 지침을 통해 △제대로 된 학부모 역할 △두뇌발달 및 교육 △창의성의 발달 단계 △연령별 지도법 등을 포괄적으로 다룬다. ‘부모의 8가지 격려방법’, ‘자녀 감정을 읽는 대화기술’ 등 각종 노하우가 제시돼 있다. 온라인 교육과정은 학부모온라인교육센터(https://www.parents.go.kr)를 통해 연중 학습할 수 있다./김민정기자 mjkim@kbmaeil.com용어설명*헬리콥터 맘-착륙 전의 헬리콥터가 강한 바람을 일으키듯 거센 치맛바람을 일으키며 자녀 주위에서 떠나지 못하는 어머니를 빗댄 용어. 아이가 성장해 대학에 들어가거나 사회생활을 하게 되더라도 헬리콥터처럼 주변을 맴돌며 온갖 일에 참견하는 엄마를 일컫는다. 평생을 자녀 주위를 맴돌며 자녀의 일이라면 무엇이든지 발벗고 나서며 과잉보호하는 엄마들을 지칭한다.

2019-11-27

학교 떠난 학생 1천692명 복귀

경북교육청이 학업중단 위기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맞춤형 예방 사업이 효과를 보고 있다. 지난 2011년부터 실시한 학업중단숙려제는 학업중단 위기 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중단 숙려 기간을 통해 학교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돕는 개별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성급한 학업중단 예방과 진로계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27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학업중단 위기 학생 2천138명이 학업중단숙려제에 참가해 79.1%인 1천692명이 학교로 복귀했고, 매년 충동적으로 학교를 떠나려는 학생들이 학업을 계속 이어가는 데 효과를 내고 있다.학업중단 예방 집중지원학교 운영을 통해 학업중단 예방 프로그램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학교 구성원의 학업중단 예방 역량을 강화해 학교 현장의 안정화를 기하고 있다.지난 3월에 2018년 학년도 부적응 등의 사유로 학업을 중단한 학생이 13명 이상인 고등학교 17교를 선정해 학업중단 위기 징후를 보이는 부적응 학생 지원 프로그램 운영비로 1억7천여만 원 예산을 편성, 대상 학교별로 차등 지원했다.또한 매년 2년 연속 학업중단 학생이 없는 고등학교 등 학업중단 예방 우수교 10교를 표창해 학업중단 예방 정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고 그 사례가 일반화될 수 있는 계기도 마련했다.앞으로도 경북교육청은 Wee센터, Wee클래스와 체계적인 협력을 통해 학업중단 예방 사업에 총력을 기울이고 전문상담인력 미배치교 위기 학생에게 순회 상담을 지원하는 등 개별 맞춤형 학업중단 예방 사업을 실시할 계획이다.임종식 경북교육감은 “앞으로도 학업중단 위기 학생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확대 추진하고 학업중단숙려제의 내실 있는 운영으로 학업중단 예방과 위기 학생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

2019-11-27

내년 34억원 투입해 에듀테크 활용 교육 지원

대구시교육청(교육감 강은희)은 내년에 34억원을 투입해 에듀테크 활용 교육 지원에 나선다고 27일 밝혔다.이에 따라 선도학교 20개교, 중점학교 5개교를 지정·운영하고, 학교 무선환경 보완, 운영비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앞서 시교육청은 지난해 11월 지역 중·고등학교 학교 단위 또는 교원 단위로 59개 팀을 공모해 에듀테크 활용 교육을 시범 운영했다.그 결과, 학생들의 동기 부여는 물론 참여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 교육 지역격차 해소와 기초학력의 향상에 한 몫 했다는 평가다.이에 시교육청은 사업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대하고자 내년도에 34억 여원을 투입해 에듀테크 활용 교육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오는 29일 대구미래교육연구원에서 ‘에듀테크 활용 교육지원사업 성과공유회’를 열고, 사업의 성과분석 연구 및 중고등학교 활용 우수 사례 등 에듀테크 활용 교육 시범 운영 결과를 공유할 예정이다.대구시교육청 관계자는 “전국에서 선도적으로 처음 실시한 사업인 만큼 성과분석 연구와 현장에서 운영한 교원들의 의견을 청취해 추후 사업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한편, 에듀테크(edu-tech) 활용 교육이란 교육(education)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획일적이고 단방향의 이러닝에서 벗어나 인공지능(AI), 빅데이터, 가상·증강 현실(VR/AR) 등 첨단 기술을 융합한 개인 맞춤형 이러닝(e-Learning)을 포괄하는 개념이다./심상선기자 antiphs@kbmaeil.com

2019-11-27

대구지역 3개교, 의대 지원자 위한 모의면접 실시

대구지역 3개 고등학교(경북고, 능인고, 시지고)가 지난 19일 경북고 진로전용실에서 의과대학 면접(MMI), 제시문 및 학생부 기반 모의면접을 실시했다고 20일 밝혔다.이번 모의면접에는 경북고 32명, 능인고 20명, 시지고 28명 등이 참석해 면접전문가들과 함께 면접에 나올 내용을 사전에 체험했다.모든 면접은 지원자 1명을 대상으로 2명의 면접위원이 면접을 실시하는 형태로 모의 면접관 32명은 사전 연수회를 통해 개발된 제시문 자료와 대상학생들의 학생부를 미리 분석해 실전에 가까운 모의면접을 진행했다.모의 면접관들은 최근 3학년 진학지도 및 면접교육 경험이 있는 진로진학 교육 전문 교사와 진학지도 경험이 풍부한 각 학교 전공 관련 교사들로 구성됐다.수시 합격률을 높이기 위한 3개교 교사들의 이러한 노력은 학생들이 실전 면접에 대비한 기본 태도와 소양을 기르고 면접에 대해 가지는 막연한 두려움을 해소해 자신감을 강화시키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이번 행사를 기획한 김동기 경북고 교사는 “지난해 4개교와 진행한 모의면접 프로그램의 효과를 학생들로부터 검증받아 올해도 운영하게 됐다”며 “의과대학 상황면접과 제시문 기반 면접은 학생들을 현장에서 지도했던 전공교과 선생님들이 더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어 학생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심상선기자 antiphs@kbmaeil.com

2019-11-20

오늘 포항예술고서 ‘바리톤 우주호 예술가곡의 밤’

포항예술고(교장 김민규)는 21일 오후 2시 포항예술고 강당에서 ‘바리톤 우주호 중고등학생을 위한 예술가곡의 밤’을 개최한다. 중고등학생을 위한 예술가곡의 밤은 깊어가는 가을을 맞아 지역 청소년들의 정서함양과 문화저변확대를 위해 마련했다. 특히 음악대학 입시생과 음악인을 지망하는 청소년들에게 성공적인 입시 준비와 음대 준비에 도움을 주고자 기획됐다.이날 공연에서 부드러운 감성 바리톤을 자랑하는 포항 출신의 세계적인 성악가 바리톤 우주호가 출연해 독일·이탈리아의 주옥같은 예술가곡을 노래한다.예술가곡은 18세기에서 20세기에 걸쳐 만들어진 성악곡들로서 질 높은 문학적인 시에 음악이 결합한 독특한 형태의 성악곡을 말한다. 연주곡은 슈베르트의 ‘송어(Die Forelle)’·‘봄의 찬가(Fruhlingsglaube), 스카를라티의 ‘제비꽃(Le violette)’, 슈만 ‘헌정’(Widmung), 칼데라 ‘그대 냉정해도’(Sebben, crudele), 글룩 ‘오 나의 감미로운 사랑(O del mio dolce ardor) 등 총 10곡이다. 피아노 반주는 윤현정씨가 맡는다.김민규 포항예술고 교장은 “깊어가는 가을, 국내 최정상 성악가 바리톤 우주호가 들려주는 예술가곡들은 음악대학 입시 합격을 위해 불철주야 시간과 노력을 들여 연습하는 입시생과 미래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뿐 아니라 학업에 지친 청소년들에게 자신을 돌아보는 사색의 시간을 선사할 것”이라고 말했다.이번 공연은 클래식문화제작소 주관으로 진행된다./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2019-11-20

장애학생 모여 융합치유콘서트 개최

대구선명학교는 20일 대구콘서트하우스 챔버홀에서 융합치유콘서트 ‘바다의 별 이야기’를 개최했다. 사진대구선명학교는 2019학년도부터 융합예술치유중점학교로 ‘공연치유과정’과 ‘체험치유과정’을 개발해 전교생을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다.‘공연치유과정’ 중 ‘무대공연활동과’는 6명의 전담교사가 합창, 합주, 부채춤, 뮤지컬 등 다양한 교내외 공연활동을 지도하고, 학생들이 잠재된 능력을 발굴하고 꿈과 끼를 키울 수 있도록 각종 대회 및 장애인 예술제 공연에 참가해 예술활동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바다의 별 합창단은 1996년 5월 창단돼 제24회 전국 장애인합창대회 대상, 제4회 전국발달장애인 합창대회 대상, 제1회 대구·경북장애인 합창대회 대상·인기상 등 수많은 합창대회 수상 및 정기 연주회를 개최했다.이번 융합치유콘서트 ‘바다의 별 이야기’는 감동과 열정, 스토리를 갖춘 치유콘서트를 통해 장애학생들의 문화예술의 향유, 개방과 교류, 대중화의 기회 제공을 목적으로 진행됐다.권영욱 대구선명학교 교장은 “‘바다의 별 이야기’ 융합치유콘서트를 통해 우리 모두에게 희망·사랑·행복을 심어주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장애학생들의 예술적 소양을 기르며 행복하고 즐거운 학교생활문화 조성과 장애학생들의 잠재된 능력을 발굴하겠다”고 전했다./심상선기자 antiphs@kbmaeil.com

2019-11-20

이랬다저랬다 교육정책… 내일은 또 뭐 바꿔요?

“맹모삼천지교라는데 앞으로 우리 아이 진학 계획을 어떻게 짜야 합니까?”명문고로 이름난 포항제철고와 김천고가 일반고로 전환된다는 소식에 경북지역 맹모(孟母)들이 뿔 났다. 현재 초등학교 4학년이 고등학교에 들어가는 2025년부터 자율형 사립고와 외국어고, 국제고가 모두 사라지고 일반고로 일제히 전환됨에 따라 우수 인재(人材) 유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교육문제가 직장선택의 중요한 기준이 되는 점에서 지역 우수인재 유치에도 영향을 미칠수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 관련기사 2면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7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자사고·외고·국제고의 일반고 전환 계획이 담긴 고교 서열화 해소 방안을 발표했다. 앞서 교육부가 지난 5일 발표한 주요 대학의 학생부종합전형 실태조사 결과에서 고교 유형별 서열화가 사실로 드러나자 자사고·외고·국제고 폐지를 확정한 것이다. 조국 전 법무부장관으로 인해 불거진 입시 불공정 논란 이후 교육 공정성을 강화하고자 내놓은 방침이지만 ‘엘리트 교육’의 필요성을 간과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됐다.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이날 성명을 통해 “고교체계라는 국가교육의 큰 틀이 정권 이념과 성향에 좌우되면서 교육 법정주의가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다”며 “정권이 바뀌면 이 같은 결정이 또다시 뒤집히면서 결국 혼란만 가중될 것”이라고 주장했다.조국발(發) 교육개혁의 불똥은 초·중학교에도 튀었다. 자녀를 둔 부모들의 시름은 깊어졌다. 당장 초등 4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는 좋은 학군으로 이사해야 하나 어쩌나 하는 고민이 커졌다.중학생 자녀 둘을 키우는 주부 우모(42·남구 지곡동)씨는 “아이가 좋은 환경에서 교육받기를 원해 제철고처럼 명문고에 보내고자 일부러 이사오는 학부모도 많은데 일반고로 전환된다면 포항까지 올 이유가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실제로 교육계에는 “과거 출범 당시부터 자사고가 지역인재 유출을 막고 우수한 인력을 육성해야 한다는 암묵적 취지가 전제되었는 것이 사실”로 알려져 있다.입시전문가들은 초등 5학년부터 중등 3학년 사이에서는 자사고·외고 인기가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가 2024년까지 존속을 보장한 이상 큰 혼란 없이 자사고·외고를 졸업할 수 있게 돼 사교육 열풍 조짐도 엿보인다. 과학고가 살아남은 점도 이런 바람에 가세할 전망이다.자사고와 외고 등이 일반고로 모두 전환되면 사실상 ‘완전 고교 평준화’가 실현될 전망이다. 고교 서열화 해소 시행 방안에 따르면 고교학점제가 도입되는 2025년부터 자사고 42개교, 외국어고 30개교, 국제고 7개교 등 총 79개교가 일반고로 전환된다.전국에서 학생을 선발하는 자사고는 선발 지역이 광역 단위로 축소되고, 전국 단위 모집 일반고는 모집 특례가 폐지된다. 현재 전국 단위 자사고에 해당하는 포항제철고와 김천고는 경북지역 중학교 출신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인재전형 20% 정도를 제외하곤 전국 어디서나 학생을 뽑을 수 있다. 그러나 광역 단위로 바뀌면 경북지역 중학교 졸업예정자 또는 거주자에 한해 지원할 수 있게 된다.포항제철고 박석현 교장은 “정부 방침에 따라 2010년 자사고 지정 이전의 비평준화 일반고로 돌아가게 된다”며 “일반고 전환 계획을 준비하던 중이라 학생이나 학부모들의 큰 혼란은 없지만 그동안 전국 단위 모집으로 부산이나 울산 등에서 오던 학생들의 지원이 앞으로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김민정기자 mjkim@kbmaeil.com

2019-11-07

유은혜 교육부장관, 수능준비 점검 포항 방문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포항을 방문해 수능 시험 준비상황을 점검했다.유 장관은 1일 오후 포항교육지원청에서 임종식 경상북도교육감, 남홍식 포항교육지원청 교육장 등을 만나 수능 시험 준비상황, 지진 발생에 대비한 시험장 시설 및 안전점검을 실시했다.교육청에서 상황을 보고받은 유 장관은 이어 수능 고사장인 포항 이동고등학교를 찾아 학교 내·외부를 천천히 둘러보면서 시설 안전성 등을 확인했다.유 장관은 “2017년 지진 발생 이후 포항은 민관 합동으로 정밀하게 시설점검을 실시하면서, 어느곳보다도 만반의 준비를 잘 하고 계신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수능이 잘 끝나고 시험성적이 발표되고, 잘 마무리될 때까지 교육계에서 최선을 다해주시길 당부드린다. 교육부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포항과 경주, 올해 7월 지진이 발생했던 상주 등의 지역에 대해서는 교육부·교육청이 민간 전문가 합동으로 시험장 안전점검을 했다. 다른 지역 시험장은 교육청이 자체 점검했다.교육당국은 민·관 합동 점검에서 천장·벽체 균열이나 소방 관련 조처가 필요한 사실이 발견된 학교들에 대해서는 오는 8일까지 조처를 완료할 방침이다. /이바름기자

2019-11-03

포스텍, 대학혁신지원사업 네트워크 조성 워크숍 개최… 정보 공유

POSTECH(총장 김무환)이 최근 POSCO국제관에서 ‘대학혁신지원사업 하반기 워크숍’을 개최했다. 대학혁신성장의 추진력 강화를 위해 열린 이번 워크숍에서는 교육부의 지원으로 운영되고 있는 대학혁신지원사업의 프로그램 추진 현황을 점검하는 한편, 하반기 사업 운영 방향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특히, 대학 운영 철학이기도 한 개방형 혁신을 의미하는 ‘오프노베이션(openovation)’을 강화하기 위해 구성원 간 협업과 이를 위한 의견수렴이 중점적으로 이뤄졌다.김상욱 기획처장은 “대학혁신지원사업을 통해 교육의 수월성을 크게 높여 국가와 사회에 기여하는 글로벌 이공계 인재를 양성하는 한편, 이공계 특성화 대학 중에서도 성공적인 교육 혁신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대학의 모든 구성원이 힘을 모아 대학의 사명과 역할을 지속적으로 확장해나가는데 많은 협조와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한편, 이번 워크숍에는 대학혁신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구성원 40여명이 참석했으며, POSTECH은 이번 워크숍을 통해 대학혁신지원사업 관련 사업 실행력 강화와 사업 담당자-참여자 간 네트워킹이 활성화될 것을 기대하고 있다./전준혁기자 jhjeon@kbmaeil.com

2019-10-28

포스텍 연구팀, 실시간 고선명도 세포영상기술 개발

김기현 교수, 이승훈씨POSTECH(총장 김무환) 기계공학과·융합생명공학부 김기현 교수와 통합과정 이승훈씨 팀이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병리과 이경화 교수, 광주과학기술원 의생명공학과 정의헌 교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 김의현 교수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뇌종양과 정상 뇌 조직을 구별할 수 있는 실시간 고선명도 세포영상기술을 개발했다.이 기술은 세포 단위 검사를 통해 조기진단 및 수술 가이드 기술로 이용할 수 있어 각막염 조기진단, 정밀 절제가 필요한 뇌종양 제거 수술 등에 활용될 전망이다.악성 뇌종양 제거 수술에서 뇌종양과 정상 뇌 조직을 구별하는 방법은 성공적인 수술을 위해 필요하지만, 아직 임상에서 사용 가능한 기법은 없었다. 지금까지 임상에서 사용 중인 자기공명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컴퓨터단층영상 (Computer Tomography, CT), 수술 현미경 (Wide-field Surgical Microscopy) 기술은 종양의 위치 정보는 제공할 수 있으나, 해상도가 낮아 종양과 정상 뇌 조직의 경계 구별은 어려웠다. 이에 연구팀은 임상에서 사용되는 항생제인 목시플록사신을 세포 형광 표지자로 사용하는 세포영상법을 뇌종양 경계 탐지기술로 개발해 왔다. 지난 2017년 세포영상법의 뇌종양 경계 탐지 활용 가능성을 바이오메디컬 옵틱스 익스프레스(Biomedical Optics Express)에 보고한 이후 고속화 방법을 개발해 왔으며, 새로이 개발한 영상법은 초당 30프레임 이상의 속도로 실시간 뇌세포 영상화가 가능하다. 또 이 기술은 세포 단위 영상화 기법이어서 기존 방법보다 민감도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연구팀이 새롭게 개발한 세포 영상법을 활용해 전임상 뇌종양 동물모델과 악성 뇌종양 환자의 조직 샘플을 촬영한 결과, 높은 세포 밀도와 불규칙한 분포를 가지는 뇌종양과 정상조직을 구별해냈다. 또한, 연구팀은 실시간 세포영상의 자동 영상 분석을 위해 뇌종양과 정상조직을 구분해 경계를 탐지하는 알고리즘도 개발했다.한편, 이 연구성과는 저널 오브 바이오포토닉스(Journal of biophotonics) 온라인판에 출판됐으며, 한국연구재단의 메조스케일 뇌신경네트워크 고속 초고해상도 광범위 3차원 형광현미경 시스템 사업, 압타머 기반 당뇨병 치료제 개발을 위한 인 비보(IN VIVO) 검사 플랫폼 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전준혁기자 jhjeon@kbmaeil.com

2019-10-28

포스텍 ‘세계혁신대학’ 아시아 1위에

POSTECH(총장 김무환)이 국제 통신사 로이터통신이 평가한 ‘2019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100대 대학’ 순위에서 세계 12위에 올랐다.아시아 소재 대학 중 가장 높은 순위다.로이터는 세계적인 정보서비스 회사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Clarivate Analytics)와 함께 학술논문과 영향력, 특허출원 수, 논문 인용도 등을 척도로 해마다 ‘혁신적인 대학’ 순위를 발표하고 있다.POSTECH은 이 평가에서 미국 캘리포니아대 시스템(University of California System, 13위)과 존스홉킨스대(15위), 캘리포니아공대(16위)를 제치고 12위에 올랐다. 아시아에서는 1위로, 일본 도쿄대(26위), 서울대(29위), KAIST(34위), 중국 칭화대(41위)가 그 뒤를 이었다.로이터는 POSTECH을 “한국의 철강기업 포스코가 1986년 세운 대학으로, 산업체와 특별한 협력 관계(unique ties)를 맺고 있는 연구중심대학”이라며 2019년 발표된 인공각막을 3D프린터로 제작할 수 있는 ‘바이오잉크’ 기술(기계 조동우 교수·창의IT 장진아 교수)과 2018년 홍합접착 단백질을 이용한 줄기세포 전달체 기술(화공 차형준 교수)을 대표적인 혁신 기술로 소개했다.지난 2012년부터 2017년까지 POSTECH은 총 349개의 특허를 출원, 79.7%라는 높은 등록률을 보였다. 특허 출원 시 논문이 얼마나 많이 인용됐는지를 놓고 평가하는 ‘기술사업화 영향력 점수(Commercial Impact Score)’에서는 평균(40.5)보다 높은 48.8점을 얻었다.한편, 이 평가에서는 미국 스탠포드대가 5년 연속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2위와 3위도 다름없이 매사추세츠공대(MIT), 하버드 대학이 올랐다. 우리나라에서는 POSTECH을 포함 총 6개 대학(서울대, KAIST, 성균관대(45위), 한양대(72위), 연세대(76위))이 10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전준혁기자 jhjeon@kbmaeil.com

2019-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