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제

연료전지산업, 활성화 정책 부재로 존폐위기

국내 연료전지산업이 존폐기로에 놓여 있어 정부가 역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포스코에너지, GS칼텍스, 삼성SDI 등 국내 1세대 연료전지 업체들은 386억원에 달하는 정부 지원금을 받고도 사업철수와 매각을 서두르는 등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거스르고 있다. 이는 정부의 활성화 정책 부재가 가장 큰 원인이라는 지적이다.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김규환 의원은 지난 12일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부 국정감사에서 참여정부 이후 산자부는 연료전지 기술개발을 명목으로 3대 주요 사업자인 포스코에너지, 삼성SDI, GS칼텍스에 총 386억 원을 출연했는데 정작 수혜기업들은 시장에서 빠져나가는 등 몰락하고 있다고 지적했다.김 의원이 제시한 산업부의 `2000년~2017년 산업부 연료전지 기술개발 보조금 지원 총액`을 보면 산업부는 2000년 이후 신재생에너지 핵심기술개발을 명목으로 국내 1세대 연료전지 기업인 포스코에너지에 약 186억 원, GS칼텍스에 약 66억 원, 삼성SDI에 약 135억 원을 출자했으며 이들이 출연 받은 총액은 약 387억 원에 육박하고 있다.하지만 정부의 활성화 정책 부재와 사업성 저하를 이유로 1세대 기업들의 연료전지 사업매각과 철수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 2015년 GS칼텍스와 삼성SDI는 지속되는 적자 해소를 이유로 연료전지 기술과 특허권을 전량 매각했고, 포스코에너지는 올해 발전용 연료전지의 수익성 저하를 명분으로 해외의 재무투자자 모집을 통해 매각을 추진 중이다.특히 포스코에너지는 삼척석탄화력발전소가 정부의 탈(脫) 석탄 정책으로 제동이 걸리면서 경영에 직격탄을 맞고 있다.김 의원은 “1세대 연료전지 기업들은 근 17년 간 387억 원에 육박하는 정부출자금을 받아놓고 하루아침에 사업을 매각해 `먹튀 논란`이 일고 있다”면서 “정부와 기업이 야심차게 추진한 연료전지산업의 육성이 20년도 채 되지 않아 주저앉는 실정”이라고 말했다.사정이 이런데도 산업부는 1세대 기업들의 사업 철수의 근본적인 원인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고, 최근 5년 간 연료전지 보급 확대를 위해 운영된 정책협의체(TF)는 전무하고 연료전지 경제성 확보를 위해 시급히 검토돼야 할 전용요금제 도입도 4년째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김명득기자mdkim@kbmaeil.com

2017-10-17

국토부 `물류 아이디어 경진대회` 개최

국토교통부는 물류 관련 신사업·효율화 아이디어를 겨루는 `2017 물류 아이디어 경진대회`를 연다고 15일 밝혔다.이번 대회는 물류 신산업 육성을 위한 저변을 확대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청년들에게 창업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됐다.한국통합물류협회, 물류산업진흥재단,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가 공동 주관하는 이번 대회에는 만 34세 이하 청년이면 개인 자격 또는 5인 이내 팀을 꾸려 참가할 수 있다.자유주제와 지정주제 2개 분야로 진행한다.지정주제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물류 신사업 또는 물류 효율화 방안이며 자유주제는 물류 신사업 모델, 물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최적화 솔루션 개발 등 물류 전 분야다.이달 16일부터 다음달 3일까지 한국통합물류협회 홈페이지(www.koila.or.kr)에서 양식을 내려받아 작성한 뒤 이메일(logistics@koila.or.kr)이나 우편으로 제출하면 된다.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가 창의성, 사업성, 실현 가능성 등을 기준으로 평가해 대상 1팀(200만원), 최우수상 3팀(각 100만원), 우수상 3팀(각 50만원), 장려상 3팀(각 25만원) 등 시상한다.아이디어를 사업화하려는 팀에는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가 입주 공간과 다양한 창업 프로그램을 지원한다.자세한 내용은 협회 홈페이지와 물류전문인력DB센터 홈페이지(www.klp.or.kr)를 참고하면 된다. 문의는 전화(☎ 070-7090-6638)로 하면 된다./연합뉴스

2017-10-16

9월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 수 급증

비자발적 실업 추이를 보여주는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 수 증가율이 지난달에 15.9%로 4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15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9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비자발적 실업 추이를 보여주는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 수는 6만9천명으로 작년 같은 달 보다 9천명 늘었다.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은 15.9%로 2013년 1월(18.1%)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조선업의 상시 근로자 고용보험 가입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만2천400명 줄어 23.0%의 감소율을 보였다.전달인 8월(22.4%)에 비해서는 감소율이 0.6% 포인트 증가했다. 고용보험 가입자 수 감소율은 4월(22.1%)부터 6개월 연속 20%대를 기록했다.조선업 도시인 울산과 경남의 해당 업종 고용보험 가입자 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울산은 작년 동월 대비 1만5천100명(28.4%), 경남은 2만1천900명(22.8%)가량 피보험자 수가 줄었다.특히 전북은 지난 6월 말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의 여파로 2천200명이 일자리를 잃으면서 조선업종 피보험자 수가 800명 줄었다. 전남은 3천500명(20.5%)이 감소했다.피보험자 규모가 가장 큰 제조업은 조선업 취업자 감소 여파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줄어든 인원수는 100명에 그쳤다.선박·항공기·철도차량을 만드는 `기타운송장비` 부문을 제외하면 제조업은 기계·식품 제조업 등의 성장에 힘입어 지난달 피보험자가 4만2천명(1.3%) 늘었다.제조업 중에서 피보험자 수가 가장 많은 전자통신은 3천800명 늘어 넉 달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기계 제조업 피보험자는 1만4천200명이 늘어나 전체 제조업 중에서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고, 식료품(8천400명), 화학제품(5천600명)에서도 취업자 수가 늘었다. 반면 섬유와 의복 업종은 각각 2천600명, 2천700명이 줄었다.자동차 제조업 피보험자는 부품수출 감소 등으로 1천800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서비스업 피보험자는 보건복지(6만8천명), 전문과학기술(4만1천명), 도·소매(3만7천명), 숙박음식(3만명) 순으로 늘어났다.모든 업종을 망라한 9월 전체 피보험자 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3%(29만1천명) 증가한 1천287만9천명을 기록했다./연합뉴스

2017-10-16

포스코, 영국 철강업체에 `포스맥` 공급

포스코가 지난 12일 포스코센터에서 영국 냉연·도금 전문 조관사인 톱튜브스(TOP TUBES)와 파이프용 포스맥(PosMAC) 공급 협약을 체결했다.이날 협약식에는 아담 브래들리(Adam Bradley) 톱튜브스 사장과 서병룡 강건재판매그룹장, 포스코대우 임채일 열연1그룹장 등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해 거래 조건과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향후 영국 내 포스맥 파이프시장 개척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톱튜브스는 1994년 설립한 영국소재 기업이다. 포스코는 지난 2012년 톱튜브스에 포스맥 시험 생산재를 공급하고 2013년 유럽 역내 최초로 포스맥 판매를 성사시켰다.2016년 유럽 내 아연-마그네슘 도금재 인지도가 향상되면서 아담 브래들리 톱튜브스 사장이 방한해 포스맥 확대 적용 방안을 본격 논의하게 됐다.포스코는 습하고 염분이 많은 영국 현지 기후조건에 맞춰 부식에 강한 소재를 개발하고 조관 용접부 내식성을 확보하는 최적의 용사(Welding Wire)재를 도출하는 등 기술 솔루션을 제공해오며 포스맥 판매 확대에 장기간 공을 들여 왔다.그 결과 톱튜브스는 올해 6월 포스맥을 적용한 프리미엄 파이프 브랜드인 `마그나튜브(MAGNAtube)`를 론칭했다.이는 해외 고객이 포스맥을 적용해 2차 브랜드로 파생한 최초의 사례이다.톱튜브스는 마그나튜브와 함께 소재로 사용된 포스맥을 소비자들에게 적극 홍보해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기존 도금강판 대비 내식성이 뛰어나고 스테인리스 대비 가격이 저렴한 차세대 강건재인 포스맥 브랜드를 활용해 판매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아담 브래들리 톱튜브스 사장은 “포스맥에 대한 다양한 검증과정을 거치면서 제품에 대한 확신을 얻을 수 있었다. 포스맥을 적용한 프리미엄 파이프 마그나튜브가 우리 회사의 미래를 결정짓는 전략제품이 되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포스코는 유럽 내 포스맥 최초 구매자이자 포스맥 파생 브랜드를 최초로 론칭한 고객사 톱튜브스와 앞으로도 기술 솔루션 제공 등 꾸준한 협력관계를 이어가 유럽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김명득기자mdkim@kbmaeil.com

2017-10-16

中企 임금, 대기업의 63%… 5년째 제자리

중소기업 상용 근로자들의 임금이 대기업 근로자들의 63%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15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이채익 자유한국당 의원이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받은 국감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중소기업의 세금공제 전 월평균 상용임금 총액은 322만7천904원으로, 대기업 513만569원의 62.9% 수준이었다.이번 통계는 상용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작성된 것으로, 임시·일용직의 임금은 상대적으로 들쭉날쭉할 수 있어 제외됐다.연도별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 임금 비율은 2012년 64.1%, 2013년 64.1%, 2014년 62.3%, 2015년 62.0%로 5년째 60%대 초반에서 제자리걸음을 했다.업종별로 보면 건설업,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제조업 순으로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의 임금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건설업 분야 중소기업 월평균 임금총액은 302만1천208원으로 대기업(586만8천544원) 대비 51.5%에 그쳤다.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은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 임금 비중이 52.3%, 제조업은 54.9%였다.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의 경우 중소기업의 대기업 대비 임금 비중은 2012년 71.7%에서 지난해 64.2%로 떨어졌다.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도 2012년 76.7%에서 지난해 70.2%로 하락했다.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은 중소기업의 임금이 대기업보다 오히려 많았다.중소기업 평균 임금이 236만5천14원으로, 대기업(189만3천34원) 대비 124.9% 수준이었다.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과 금융·보험업의 중소기업과 대기업 임금 격차도 꾸준히 감소해 지난해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 임금 비중이 각각 90.5%, 83.5%에 달했다.이채익 의원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심각한 임금 격차는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근로 의욕을 꺾고 소득 양극화를 심화시켜 경제 및 사회 발전을 지연시킨다”며 “임금 격차 해소에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연합뉴스

2017-10-16

최은주 포스코켐텍 기획재무실장 국내 30대그룹 CFO `홍일점` 눈길

포스코켐텍 최은주(50·사진)기획재무실장이 국내 30대 그룹에 속한 최고재무책임자(CFO) 중 유일한 여성으로 밝혀져 화제가 되고 있다.11일 CEO스코어에 따르면 국내 주요 30대 그룹 CFO 94명 중 여성은 최은주 기획재무실장 한명뿐인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고위경영자(CXO) 중에서도 여성은 최은주 CFO와 함께 박주혜 삼성카드 최고정보관리책임자(CIO) 2명 뿐이다.최 실장은 남성이 주도해온 철강업계에서 두드러진 성과로 공채 출신 첫 여성 임원에 올랐다.최 실장은 전남대에서 경제학, 이화여대 경영대학원(MBA) 과정을 마친 뒤 1990년 포스코 공채 1기로 입사했다. 최 실장은 입사 후 9년 동안 광양제철소에서 원가와 재무분석, 기획 업무를 맡았고 서울로 올라와 그룹사 관련 기획 및 투자 업무를 하기도 했다.2013년 3월 포스코 자회사인 포스코AC 상무로 선임되며 재무와 투자, 사업전략 업무를 두루 경험한 전문가로 빠른 의사결정력과 판단력이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포스코 최초 공채 출신 여성임원 1호 기록을 가진 최 상무는 여성을 뽑지 않던 부서장에게 여성 채용 설득에 적극 나서는 한편 남녀차별 해소에도 기여한 것으로 알려졌다.실제 최 실장이 2013년 상무로 승진한 다음해 2014년 정기인사에서 포스코는 4명의 여성 인력을 임원으로 발탁하기도 했다./김명득기자mdkim@kbmaeil.com

2017-10-12

미국 철강 `반덤핑` 날벼락 맞은 넥스틸

포항철강공단 내 넥스틸의 유정용강관(OCTG)이 미국 상무부로부터 46.37%의 반덤핑 관세 예비판정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미 상무부는 지난해 60%대의 반덤핑·상계관세를 부과한 포스코 냉연·열연 강판에 대한 연례재심도 곧 착수할 것으로 보여 포스코가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특히 내년 초 한-미 FTA 개정협상을 앞두고 있는 마당에 이 같은 조치가 나와 정부차원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11일 철강업계와 외신 등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지난 3일(현지시간) 한국산 유정용강관에 최대 46%에 이르는 반덤핑 관세 부과 예비판정을 내렸다. 업체별로는 미국 수출이 가장 많은 넥스틸이 46.37%의 관세 폭탄을 맞았다. 넥스틸은 올해 초 1차 연도 연례재심에서는 24.92%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받아 올 하반기 수출에 큰 타격을 입고 있다.넥스틸은 지난 4월 1차 연례재심 최종 판정에서도 특별시장상황(PMS)을 적용받았다. PMS는 조사 당국이 수출업체가 제출한 원가 자료를 믿을 수 없다며 재량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근거를 제공한다. 넥스틸 사례에서 미국 상무부는 유정용강관 주재료인 열연코일의 한국 내 구매가격과 한국 정부의 산업용 전기요금 정책 등을 특별시장상황으로 보고 연례 재심 덤핑 마진을 이전보다 높게 책정한 것으로 분석된다.이에 대해 넥스틸 측은 부당한 조치라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그러면서 정부차원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넥스틸 관계자는 “올해 초 1차 연례재심 최종 판정보다 최근 2차 연례재심 예비판정에서 관세율이 2배 가까이 뛰었다”며 “이 번에도 미국 정부는 PMS을 적용했다”고 말했다. 그는 “내년 4월께 최종 판정이 내려질 예정인데, 최종 판정에서 관세율을 낮추기 위해 해외 로펌을 추가로 선정하는 등 대응책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넥스틸 다음으로 대미 유정용강관 수출이 많은 세아제강은 6.66%의 관세를 부과 받았다. 올 초 1차 연례재심에서 부과받은 2.76%에 비해 2배 이상 높아졌지만 선방했다는 평가다.문제는 지난해 60%대 반덤핑·상계 관세를 맞은 포스코 냉연·열연강판 연례재심이다. 포스코는 지난달 냉연강판 연례재심을 미국 정부에 신청했고 이달 중 열연강판에 대해서도 연례재심을 신청할 예정이다.포스코 관계자는 “지난해보다 관세율을 낮추기 위해 워싱턴 DC 통상사무소와 본사 무역통상그룹이 나서 대응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김명득기자

2017-10-12

에어릭스, 에너지절감 `스마트 집진기` 호평

포스코 외주파트너사 에어릭스가 11일 코엑스에서 열린 `2017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에서 스마트 팩토리 환경을 구축하는 IoT 기술 솔루션을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에어릭스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위한 IoT 기술 솔루션으로 `IoT 스마트 집진기`, `iWAS(IoT Wireless Automation System)`, `iAMS(BEMS IoT 냉방기 에너지 관제시스템)`를 공개했다. 공개된 에어릭스의 IoT 기술 솔루션은 산업현장의 에너지를 줄이고 성능을 개선해 설비 운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에어릭스의 `IoT 스마트 집진기`는 실제로 국내 유수 제철소에서 85% 이상의 전력감소 효과와 연간 3천만 원 규모의 전력비 절감효과를 거두는 성과를 보였다.이 날 행사에 참석한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및 국회의원들은 IoT 기술을 현장에 적용해 성과를 창출한 에어릭스 등 주요 기업의 전시관에 직접 방문하기도 했다.에어릭스 김군호 대표는 “에어릭스가 이번 전시회를 통해 선보인 IoT 솔루션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사물인터넷협회가 주관하는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는 13일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다./김명득기자mdkim@kbmaeil.com

2017-10-12

경북전문대서 수출전문 인력 양성 교육

포항상공회의소(회장 윤광수) 경북동부 FTA활용지원센터는 지난달 19일부터 이달 10일까지 경북전문대학교 인문사회관 강의실에서 수출전문 인력 양성교육사진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경북북부지역 수출기업 임·직원 및 대학생 40명을 대상으로 했다. 강사는 업체 컨설팅과 교육 경험이 풍부한 송기영 관세사 외 2명이 FTA에 대한 인식제고와 수출입기업에서 FTA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교육했다.FTA 원산지관리사는 관세청 고시에서 인정하는 FTA 전문가로, 기업의 FTA 활용을 위한 전반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자격이며, 경북동부 FTA활용지원센터에서는 수출입기업 임·직원 및 지역대학생들이 FTA 원산지관리사 자격 취득에 대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마련돼 있다.또 기업의 애로사항 해결과 현장상담을 강화하기 위해 전문가 POOL을 구성하여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주요 지원사업으로 FTA 관련 애로사항 해결을 위한 FTA 전문컨설팅 및 3자확인 컨설팅 지원을 통해 기업의 대응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고 FTA 전문과정, 실무과정, FTA시스템 교육 등 기업실무자에 필요한 교육을 지원할 예정이다.FTA 전문가상담, 컨설팅, 교육이 필요한 기업은 전화(054-274-2233) 또는 직접 방문하면 안내를 받을 수 있다./김명득기자

2017-10-11

제주항공 `리프레시 포인트` 정기 프로모션

애경그룹 계열의 제주항공(대표이사 최규남)이 10일 상용고객 우대 프로그램인 `리프레시 포인트` 회원만을 위한 정기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밝혔다.내년 1월1일부터 2월28일까지 2개월간 탑승할 수 있는 국내선과 국제선 전 노선을 대상으로 할인항공권을 판매하는 `JJ멤버스위크(JJ MEMBER`S WEEK)` 프로모션을 오는 11일 오전 10시부터 오는 17일까지 7일간 진행한다.이번 특가 항공권은 제주항공 홈페이지(www.jejuair.net)와 모바일 앱 또는 모바일 웹에서만 예매할 수 있고 예약상황에 따라 조기 마감될 수 있다.또 국제선 `특가항공권`은 무료로 짐을 맡길 수 없으며, 출발 91일 전 취소수수료 미부과정책과 다르게 `특가항공권`은 취소시점과 상관없이 수수료가 부과되는 만큼 여행일정을 반드시 확정 후에 예약해야 하는 단서조항이 붙는다.편도항공권을 기준으로 최저운임은 유류할증료와 공항시설사용료 등을 모두 포함한 총액 기준이다.국내선은 △대구~제주, 김포~제주, 부산~제주, 청주~제주, 광주~제주 등 5개 노선에 대해 1만8천100원부터 △김포~부산 노선은 2만3천100원부터 예매할 수 있다.국제선의 경우 일본노선은 △인천~나고야 5만8천원 △인천~오사카, 김포~오사카, 인천~마쓰야마 6만8천원 △인천~도쿄 7만8천원 △인천~후쿠오카 8만3천원 △인천~오키나와 11만3천원 △인천~삿포로 15만3천원 △부산~도쿄, 부산~오사카 5만3천원 △부산~후쿠오카, 부산~오키나와 6만3천원부터 예매할 수 있다.중국노선은 △인천~칭다오 6만8천원 △인천~웨이하이 7만8천원 △인천~자무쓰 157만3천원부터 예매 가능하다.대만·홍콩·마카오 등의 노선은 △인천~홍콩, 인천~마카오, 부산~타이베이 8만8천원 △인천~가오슝 8만3천원 △인천~타이베이 12만8천원부터다. 또 러시아노선은 △인천~블라디보스토크 10만3천원부터 이용 가능하다.동남아는 태국노선이 △인천~방콕, 부산~방콕 17만3천원부터, 필리핀노선이 △인천~마닐라 9만8천원, 인천~세부 12만8천원부터 예약할 수 있으며 베트남노선은 △인천~하노이 12만8천원, 인천~다낭 17만3천원, 말레이시아노선은 △인천~코타키나발루 17만3천원부터다.괌·사이판 등 대양주노선은 △인천~괌 13만400원, 부산~괌 14만400원 △인천~사이판 11만6천원, 부산~사이판 11만1천원부터 판매한다./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

2017-10-11

美 `무역확장법 232조`에 속타는 철강업계

한국과 미국 정부가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발효 5년만에 개정 협상에 들어가기로 합의하면서 `무역확장법 232조`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특정 수입품이 국가 안보에 문제가 된다고 판단될 경우 추가 관세 부과, 긴급 수입제한 등 무역 조치를 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특히 철강 제품은 한미 FTA와 상관없이 세계무역기구(WTO) 협정에 따라 무관세를 적용받는다. 그렇기 때문에 FTA가 개정되더라도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국내 철강업체들은 이미 미국 정부로부터 부과받은 반덤핑·상계관세 때문에 수출이 어려운 상황이다. 무역협회 수입규제 통합지원센터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으로 미국은 국내산 열연강판, 부식방지 표면처리 강판 등 18개 품목에 대해 반덤핑·상계관세를 부과 중이다. 탄소합금강선재, 냉간압연강관 등 2개 품목에 대해서는 반덤핑관세 조사를 진행 중이다.철강업계 관계자는 “개정 협상에 대해 논의 중인 단계이기 때문에 언급하기가 조심스럽다”며 “진행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 불균형 산업으로 철강을 꾸준히 언급해왔기 때문에 기존 무역 제재가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권오준 포스코 회장은 열연, 냉연 등에 60%가 넘는 관세가 부과되자 당분간 미국 수출을 포기했다고 말하기도 했다.박성봉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국내 고로업체의 미국 수출량은 포스코 1%, 현대제철 4.5% 수준에 불과해 영향이 제한적이지만, 세아제강의 경우 전체 매출 중 미국 수출 비중은 20%(해외 매출 비중은 40~45%) 수준이기 때문에 영향이 클 것”이라며 “연말 발표가 예정된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 결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세아제강뿐만 아니라 유정용 강관 수출업체인 넥스틸과 현대제철 등도 무역확장법 232조의 결과여부에 따라 수출시장 판도가 달라질 것으로 보고 있다.당초 미국 상무부는 지난 6월말 232조에 대한 조사 결과와 조치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었다. 이 법안에 따른 무역 제재 대상에 한국산 철강재가 포함됐다면 미국에 수출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했겠지만, 당시 상무부는 결과 발표를 보류했다.이에 대해 무역협회는 “미국 내 철강 수요 기업들의 반대, EU(유럽연합) 등 조치 대상국들의 보복조치 가능성, 유력 싱크탱크 등 경제 전문가들과 백악관 내 자문가들의 우려가 결과 발표에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면서도 “232조 조사의 불씨가 꺼진 것은 아니기 때문에 향후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한편 미 상무부는 올해 연말쯤 무역확장법 232조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김명득기자mdkim@kbmaeil.com

2017-10-11

포스코 월드프리미엄 `포스맥` 인도서 각광

포스코 포항제철소가 생산하는 월드프리미엄(WP)제품 포스맥(PosMAC)이 인도서 각광을 받고 있다.포스코는 최근 열린 `2017 인도 신재생에너지 엑스포`에서 인도의 태양광 발전 구조물 전문 제조사인 갠지스(Ganges), 푸르쇼탐(Purshotam) 등 제조사 4곳과 총 4만9천t 규모의 포스맥 공급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포스맥은 아연, 알루미늄, 마그네슘을 섞어 만든 초고내식 합금도금강판으로 포항제철소에서 생산하는 대표적인 WP제품이다.포스코 고유의 기술로 개발됐으며 기존의 용융아연도금 강판에 비해 5배 이상 부식 방지에 강해 일명 `녹슬지 않는 철`로 통한다.태양광 모듈 지지대 같은 신재생에너지 구조물과 공기 중 염분이 높고 강우량이 많아 철골 구조물의 부식이 빠른 옥외 시설물의 포스맥 적용이 늘면서 매년 100%이상 판매신장을 거듭하고 있다.포스코는 이번 엑스포에서 아다니(Adani), 넥스트레커(NEXTracker), 소프트뱅크(Softbank) 등 주요 태양광 구조물 제작사를 대상으로 내식성이 뛰어난 고장력 포스맥 제품을 집중 홍보해 호평을 받았다.넥스트레커 구매담당 임원인 비카스 쿠마르(Bikas Kumar)씨는 포스코 부스를 직접 방문해 “각종 테스트를 통해 포스맥의 우수성을 확인했다”며 “다음달부터 넥스트레커 인도법인을 시작으로 포스맥 구매를 점차 늘려갈 계획이다”고 말했다.성기웅 포스인디아 법인장은 “올해 말까지 포스맥 강재뿐 아니라 포스맥으로 제작한 구조물까지 공급할 수 있도록 토털 솔루션마케팅 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라면서 “2018년에는 인도시장에서 포스맥 판매량을 6만t까지 확대 하겠다”고 말했다./김명득기자mdkim@kbmaeil.com

2017-10-10

빚내서 집 산 사람 5명 중 1명 다주택자

빚내서 집 산 사람 5명 중 1명은 다주택자인 것으로 조사됐다. 다주택자 1인당 평균 부채는 2억2천만원으로 모두 292조원에 달했다.9일 정세균 국회의장실이 신용정보회사인 나이스(NICE) 평가정보 제출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6월말 기준 금융권 개인명의 주택담보대출 보유자 622만명 중 2건 이상 보유자는 132만930명(21.2%)이었다. 주택 한 채당 주택담보대출 1건이라고 가정하면 빚을 내 집을 산 사람 5명 중 1명은 다주택자인 셈이다.가계대출 1천436조원 중 주택담보대출은 65.3%인 938조원, 2건 이상 주택담보대출을 보유한 다주택자의 주택담보대출은 20.3%인 292조원이었다. 2건 이상 주택담보대출 보유자의 1인당 평균 부채규모는 2억2천94만원, 1인당 평균 연소득은 4천403만원으로 이를 토대로 한 1인당 연평균 원리금 상환 추정액은 2천755만원으로 추산됐다.정부는 다주택자의 투기 수요로 인해 최근 집값이 급등한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다주택자의 돈줄을 조이겠다는 방침을 밝히고 오는 2019년부터 집을 담보로 돈을 빌려줄 때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전면 도입할 예정이다.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이나 총부채상환비율(DTI)을 적용할 때보다 집을 담보로 돈을 빌리기가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된다.DSR은 연간추정 원리금상환액을 연간추정소득금액으로 나눈 값으로 100%를 넘어서면 연간 벌어들인 돈을 모두 들여도 원리금을 상환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주택담보대출 보유건수가 많을수록 1인당 부채규모가 커지고 DSR도 상승한다./김민정기자 hykim@kbmaeil.com

2017-10-10

제주항공, 우리말 기내방송 전면 수정

제주항공은 9일 한글날을 맞아 국립국어원의 도움으로 올바른 우리말 기내방송문을 전면 수정했다.9일 제주항공(대표이사 최규남)에 따르면 그동안 한글날 순 우리말 기내방송으로 좋은 반응을 얻은 데 이어 올해 한글 반포 571돌을 맞아 객실 기내방송문 전체를 국립국어원의 도움을 받아 전면 수정했다.이는 승객에게 정확하게 정보를 전달하고 문장구조가 잘못된 사례를 수정함으로써 우리말을 바르게 사용하자는 취지에서 마련됐다.또 한글날부터 한달 동안 국내·국제 전노선에서 순 우리말 방송도 실시한다.이날부터 수정된 기내방송문은 그동안 자주 쓰는 표현 가운데 하나인 `좋은 하루 되세요`는 `좋은 하루를 보내세요`로 고쳤고 `즐거운 여행 되세요`는 `즐겁게 여행하세요`로 변경했으며 `행복한 하루 되시기를`은 `행복한 하루 보내시기를` 등이다.이어 `전자기기의 사용이 가능합니다`를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로 수정하고 `이·착륙하는 비행기가 많아`는 `뜨고 내리는 비행기가 많아`로 고치는 등 주어와 서술어의 의미상 호응이 이뤄지지 않는 표현들을 문법에 맞게 수정했다.특히 불필요한 형용사나 부사의 사용도 줄이거나 바른 표현으로 수정했다.여기에다 `여러분의 넓은 양해를 부탁 드립니다`는 `넓은`을 삭제하거나 `너른`이라는 표현을 쓰도록 했으며, `여러분을 더욱 안전하게 모시겠습니다`는 표현은 `더욱`을 빼 간결하게 문장을 다듬었다.제주항공 관계자는 “지난 2008년부터 한글날을 전후해 우리말 기내방송을 하는 동안 단순한 이벤트로 그치는 것이 아닌 근본적으로 우리말을 바르게 쓰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며 “한글날부터 제주항공 페이스북에서 순우리말 퀴즈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

2017-10-10

정부, 다주택자 돈줄 더 죈다

정부가 이번엔 다주택자를 정조준할 것으로 보인다. 시세차익을 노린 갭투자 등 다주택자 대출의 부실화를 막기 위해 추가대출이 불가능할 정도로 돈줄을 조일 전망이다.정부는 이르면 이달 중순께 가계부채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9일 밝혔다. 기존의 총부채상환비율(DTI) 산정방식을 개선한 신(新) DTI 도입을 골자로 한다.내년부터 적용되는 신DTI 체제하에서는 연간 대출 원리금 상환액을 소득으로 나누는 DTI의 산정체계가 바뀐다.분자인 대출원리금 산정 시 기존 DTI는 신규 주택담보대출 원리금과 기존 주택담보대출 등 기타부채의 이자상환액만 포함했지만 신DTI는 기존 주택담보대출의 원금까지 포함한다.분모인 소득은 주택담보대출 만기 시 평균예상소득을 적용해 사회초년생에는 유리하고 50대 이상 중년층에는 불리해진다.정부의 8·2 부동산대책에 따라 이미 지난 23일부터 주택담보대출을 1건 보유한 세대는 서울 강남 등 11개구와 세종 등 투기지역에서는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수 없다. 서울 나머지 14개구와 과천시 등 투기과열지구에서는 DTI 30%를 적용받는다.다주택자는 조정대상지역에서는 DTI 40%를, 수도권에서는 50%를 적용받는다.전국적으로는 DTI 규제 없이 주택담보인정비율(LTV) 60%만 적용받고 있지만, 정부는 DTI 규제를 전국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가계부채 대책에 이어 문재인 정부 5년간 펼칠 주거복지 정책의 얼개를 정리한 주거복지 로드맵도 곧 발표될 예정이다. 다주택자의 임대사업자 등록을 유도하는 인센티브 제공 방안 등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김민정기자 hykim@kbmaeil.com

2017-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