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제

美 반덤핑 판정임박… 국내 철강사 긴장

미국의 반덤핑 판정을 앞두고 국내 철강업계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일단 상황은 좋지 않다.23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오는 29일 예비판정을 통해 이미 6.82% 반덤핑 관세를 부과받은 포스코 후판에 대해 최종 관세부과 판정을 내릴 예정이다.후판은 두께 6mm 이상의 두꺼운 철판이다. 주로 선박 건조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국내 철강사들이 미국에 수출하는 후판(연 30만t) 중 약 90%가 포스코 물량이다.이달 초 미국 정부는 한국산 인동에 대해 예비판정(3.79%)의 2배가 넘는 8.43%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다. 다른 업종이긴 하지만, 현대중공업 변압기에도 지난해 예비판정보다 20배나 더 높은 61%의 관세를 매겼다.포스코는 이와 관련, 미국이 최종 판정에서 60% 수준의 고율 관세를 매기게 된다면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하는 등 강력하게 대응할 방침이다.포스코와 함께 세아제강, 현대제철의 유정용 강관에 대한 반덤핑 관세 최종판정도 빠르면 이달 중 마무리될 전망이다.업계는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우려를 표하고 있다.이달 초 피터 나바로 백악관 국가무역위원회(NTC) 위원장은 미국 상무부에 한국산 유정용 강관에 대한 반덤핑 마진을 36% 가까이로 상향해야 한다는 의견을 공식 전달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총책이자 실권자로 불리는 인물이다.철강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보호무역 제재에 대응할 수 있는 우리 측 카드는 WTO 제소가 유일하다”며 “업계로서는 한계가 드러나 정부 차원의 지원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김명득기자mdkim@kbmaeil.com

2017-03-24

포스코그룹 올 신입사원 4천500명 뽑는다

포스코가 23일부터 올 상반기 신규 직원 채용을 실시한다.포스코는 올 상반기에 다양한 분야의 우수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대졸 신입사원 및 전역장교 채용을 진행하기로 했다.올해 포스코의 전체 채용 규모는 그룹사 기준 약 4천500명이다. 반기별 공채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이번 상반기에 실시하는 두 전형 모집분야는 이공계(생산기술, 설비기술, 공정물류, 환경/에너지)와 인문사회계(마케팅, 구매, 재무, 경영지원)로 전공과 상관없이 선발한다.복수전공, 한국사 자격증 소지자, 사회공헌활동 우수자는 우대한다.특히 올해부터는 성적, 어학 등 지원자격 요건 완화를 통해 지원자들의 참여기회를 확대했다.대졸 신입사원의 경우 성적은 최종학교 평균성적 100점 만점 환산 70점 이상(4.5점 만점 3.0 이상), 어학은 인문사회계는 토익스피킹 150점 또는 OPIc IM3 이상, 이공계는 토익스피킹 110점 또는 OPIc IL 이상이다.전역장교 전형은 뛰어난 리더십과 책임감을 갖춘 솔선수범형 인재 채용에 중점을 두고 기존 지원자격 중 성적 제한을 없애고 사단장 이상 포상 수여자를 우대하기로 했다.포스코 채용 담당자는 “포스코는 올해 채용 슬로건을 `당신의 가능성이 먼저입니다`로 정했다”면서“기본기가 튼튼하고 도전정신과 주인의식이 있는 우수한 인재들의 많은 지원을 바란다“고 말했다.이번 전형의 서류 마감은 4월 3일까지이며, 인적성검사(4월 23일 예정)와 1, 2차면접을 거쳐 6월 말 최종 선발한다.자세한 채용정보는 포스코 채용 홈페이지(http://gorecruit.posco.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자세한 문의는 포스코 인사그룹(02-3457-1600, hrteam@posco.com)으로 하면 된다./김명득기자mdkim@kbmaeil.com

2017-03-24

4월 광고시장, 완연한 봄기운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코바코, 사장 곽성문)가 국내 광고시장의 경기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매월 조사, 발표하고 있는 ‘광고경기 예측지수(KAI ; Korea Advertising Index)’와 관련, 2017년 4월 종합 KAI를 128.6의 증가세로 예측했다.△전통적 성수기, 4월 신형 스마트폰 출시도 호재될 듯23일 코바코 자료 중 매체별 KAI지수를 살펴보면 지상파TV 110.0, 케이블TV 115.4, 라디오 103.9, 신문 103.9, 온라인-모바일 133.6으로 조사됐다.4월은 전통적인 광고 성수기이며, 특히 프리미엄 스마트폰 본격 출시가 예정돼 있어 광고경기에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종별로는 제약 및 의료(152.6), 수송기기(142.9), 금융, 보험 및 증권(141.9), 건설, 건재 및 부동산(138.5) 업종의 전체적인 광고비 집행이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지상파TV 광고비 집행을 늘릴 것으로 응답한 업종은 컴퓨터 및 정보통신 (150.0), 식품(125.0), 음료 및 기호식품(125.0), 가정용 전기전자(125.0) 업종이다. 온라인-모바일 매체는 제약 및 의료(157.9), 식품(150.0), 의류 및 패션(150.0)을 비롯해 대부분의 업종에서 광고비를 늘릴 것으로 응답했다.△중형광고주 광고비 증가 기대기업규모별 전망지수를 살펴보면, 4월에는 중형광고주 광고비 증가(143.4) 전망이 뚜렷하다. 대형광고주(133.3)와 소형광고주(122.0)의 광고비도 전월 대비 광고비 집행 수준이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중형광고주는 지상파TV(125.0)와 케이블TV(128.9) 중심으로 광고비 집행 증가를 응답했다.kobaco 대구지사 포항사무소(과장 양택환)에 따르면, 대구경북 광고시장의 경우 본격적인 분양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건설업종과 대백 아울렛의 오픈으로 더욱 치열한 경쟁 구도에 돌입하는 유통업종, 봄 결혼 시즌을 맞이하는 예식 및 웨딩업종 등을 중심으로 활발한 광고집행이 예상된다.KAI는 주요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웹조사 패널을 구축해 매월 정기적으로 다음달 주요 광고매체별 광고비 증감여부를 조사하여 지수화한 것이다. 해당 업종의 광고주 중 광고비 지출이 늘어날 것이라고 응답한 숫자가 많으면 100이 넘고, 그 반대면 100 미만이 된다. 또한, 종합지수는 각 매체별 지수를 단순평균 또는 가중평균한 값이 아니고 매체 구분 없이 종합적으로 총광고비의 증감여부를 물어본 것이다.광고경기 예측지수(KAI) 조사는 코바코가 정부 3.0 정책에 부응하여 방송통신광고통계시스템(http://adstat.kobaco.co.kr), 코바코 홈페이지 (http://www.kobaco.co.kr)의 ‘정부 3.0 정보공개’, 스마트폰 ‘광고경기예측지수(KAI)’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무료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KOBACO 미디어RD팀(☎02) 731-7413)으로 문의하면 된다./김민정기자

2017-03-23

제주항공, 리프레시 포인트·단골고객 혜택 늘려

제주항공(대표이사 최규남)은 22일 단골고객을 위한 서비스를 확대사진해 만족도를 높이기로 했다고 밝혔다.이를 위해 기존의 마일리지 제도와 달리 구매금액에 따라 포인트를 적립해주는 자사의 상용고객 우대프로그램 `리프레시 포인트` 사용범위를 확대하기로 했다.특히 그동안 항공권 구입만 가능했던 `리프레시 포인트` 사용범위를 사전 기내식 주문과 사전 수하물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또 구매금액 1천원당 5포인트(1포인트=10원)를 적립해주는 `리프레시 포인트`는 회원에 가입하면 100포인트, 연 3회 탑승하면 150포인트, 그리고 연 11회째 탑승하면 다시 550포인트를 추가적립 해주는 등의 추가서비스도 확대할 방침이다.최근에는 이 같은 리프레시 멤버십 회원만을 대상으로 특가항공권을 판매하기도 했다. `JJ 멤버스 위크(MEMBER`S WEEK)`로 명명된 새 프로모션에서 리프레시 포인트 회원에게만 2~3개월 후 출발하는 항공권 할인과 다양한 할인쿠폰을 제공한다.이어 단골고객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시작했다.대표적으로 `기업우대서비스` 제도는 `할인운임에 할인을 더하다`는 콘셉트로 공공기관, 정당, 협회 및 단체를 비롯한 사업자등록증이 있는 1인이상 일반기업체는 무료로 가입할 수 있고 가입 즉시 국제선과 국내선에서 사용 가능한 할인쿠폰을 제공한다.`기업우대서비스`는 제주항공 홈페이지에 가입된 임직원 가족과 지인 누구라도 같은 기업우대 코드를 사용해 같은 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다.제주항공 관계자는 “가격 경쟁력뿐만 아니라 단골고객에게 만족을 주기 위한 다양한 혜택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

2017-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