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싱글라이제이션

우정구 기자
등록일 2025-11-27 16:36 게재일 2025-11-28 19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혼자 사는 사람이 꾸준히 늘고 있다. 배우자와 사별 후 혼자 사는 노령층뿐 아니라 전 연령대에서 1인 가구가 는다. 우리나라 1인 가구 비율은 34%. 세 집 건너 한집 꼴이다.

우리보다 고령화가 일찍 온 일본은 1인 가구 비율이 38%다. 2050년에는 44.3%까지 치솟을 거란 전망도 있다. 독일 42%, 프랑스 36%, 미국 29%로 선진국일수록 1인 가구 비율이 높다. 

1인 가구 하면 생각나는 게 바로 고독사다. 일본은 한 해 4만명이 넘는 사람이 고독사한다. 작년 상반기 중 자택에서 세상을 떠난 뒤 1개월 이상 지나서야 시신이 발견된 사망자가 4000명이다. 1인 가구의 고립된 생활과 고독사의 심각성을 잘 보여준 사례다.

일본은 작년 4월부터 ‘고독 고립대책 추진법’을 시행하고 있다. 이 법은 고독과 고립상태를 사회 전체의 과제로 명시하고, 국가와 지자체가 문제의식을 갖고 개선토록 책무를 부여했다.

우리나라도 고독사가 증가세다. 2023년 한해만 3361명이 고독사했다. 70대 이상에서 가장 많지만 20대 30대층에서도 꾸준히 증가세를 보인다.

경북지역의 1인 가구 비율(38.9%)이 전국 상위권이다. 인구 수로 45만명을 넘어서 역대 최고다. 1인 가구는 사회 가치관의 변화와 경제적 어려움 등 복합적인 이유로 늘고 있다. 문제는 1인 가구 증가가 고독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보건부 조시에서도 1인 가구의 78%가 고독사 위험군이라 한다.

1인 가구 증가 현상을 싱글라이제이션(Singlization)이라 부른다. 싱글라이제이션이 심화되는 사회다. 우리도 일본처럼 지자체의 엄격한 책무가 부여됐으면 한다.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