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를 잊고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했던 사람은 마지막도 아름답다. 그건 성별과 직종을 불문하는 진리다. 끝끝내 연기자로 살고자 했던 배우 이순재가 지난 25일 세상을 떠났다. 1935년 함경북도 회령에서 태어났으니 향년 90세.
어린 시절 조부모를 따라 서울에 정착한 이순재는 서울대에서 철학을 공부했으나, 전공과는 동떨어져 보이는 배우의 삶을 살았다. 법전보다는 연극과 영화가 젊은 대학생 이순재를 매혹했기 때문.
스물한 살 때인 1956년 ‘지평선 넘어’로 연극무대에 선 그는 1965년엔 TBC 1기 전속 탤런트가 됐다. 연극, 드라마, 영화 등 장르를 넘나든 이순재의 연기 경력은 70년에 가깝다. 결코 짧지 않은 세월이다.
몸을 움직일 수 없을 때까지 배우로서의 꼿꼿한 자세를 지켜냈던 이순재는 한 시상식에서 “평생 연기를 했으나 아직 모자라는 부분이 있다. 연기에 완성이란 없다. 나는 완성을 향해 끊임없는 도전을 해왔을 뿐”이라는 소감을 남겼다.
이 말은 배우 이순재가 삶과 예술을 대하는 태도가 어떠했는지를 구구한 설명 없이도 알 수 있게 해준다. 그는 미완성의 영역에서 완성의 영역으로 넘어가기 위해 땀과 노력을 아끼지 않은 사람. 그건 비단 연기라는 영역에만 국한되는 게 아니었다.
‘인간은 몸이 아닌 마음부터 늙는다’는 이야기가 있다. 하지만, 이순재는 그렇지 않았다. 20대에서부터 아흔이 될 때까지 시종여일 연기건 삶이건 ‘완성의 세계’로 가고자 고민하고 애썼던 사람이니.
동료와 후배 연기자를 포함한 적지 않은 이들이 빈소를 찾아 생전의 이순재를 추억했다고 한다. 바람직한 삶의 태도를 지녔던 그의 명복을 빈다.
/홍성식(기획특집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