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 초반에서 2000년대 초반 사이에 출생한 ‘MZ세대’는 많은 부분에서 이전 세대와는 구별되는 특징을 가졌다.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 인간과 사물에 대한 철학과 관점이 기성세대와는 완전히 구분되는 형태를 보이는 것.
결혼과 출산 문제에 관해 보여주는 태도 역시 그렇다. ‘적당한 나이가 되면 짝을 이뤄 결혼을 하고, 결혼 이후엔 당연한 순서처럼 자식을 낳아 기른다’는 전통적인 결혼관은 그들에겐 낡고 답답한 공식일 뿐이다.
“경제적으로 독립이 가능하다면 혼자 사는 게 몸도 마음도 편하다”고 느끼는 MZ세대가 적지 않다. 20세기 스타일의 결혼과 출산 패턴에 억지로 맞춰가려는 사람들이 드물어지고 있다.
사회 흐름의 변화를 추적하는 각종 기관에서 최근 조사한 결과를 종합하면 ‘결혼과 출산은 필수’라 생각하는 MZ세대 여성은 절반이 조금 넘는 수준이다. 나머지는 결혼과 출산을 개인 선택의 문제로 인식한다.
이와 함께 ‘부모는 자식이 모셔야 한다’는 명제에 동의하는 이들이 20%에 불과하고, 동시에 ‘늙으면 자식과 함께 살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젊은 세대도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다.
넘쳐나는 정보와 개인을 존중하는 자유스러움 속에서 성장한 MZ세대는 너나없이 사고의 다양성을 가졌다.
그렇기에 “결혼은 하지 않아도 자식은 가지고 싶다”고 말하는 이들이 있는 반면, “결혼은 하더라도 아이는 원하지 않는다”고 하는 이들도 있다. 하나의 고리로 묶을 수 없는 세대인 것이다.
어쨌건 세상은 빠른 속도로 변하고 있고, 그 변화하는 세상을 살게 될 주류 세대도 바뀌고 있다. 그러니, 현대사회란 당장 내일을 예측하기도 쉽지 않다.
/홍성식(기획특집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