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3년부터 대학수능시험이 시작됐다. 올해로 32번째다. 수능을 치르는 고3에게 수능은 마치 인생에 있어 새롭고 거대한 문을 여는 것처럼 엄숙한 순간이다.
30년 넘게 수능이 치러졌지만 수능을 바라보는 우리 주변의 눈길은 달라진 게 별로 없다. 특히 자식의 수능시험을 지켜보는 부모들은 자식보다 더 긴장된 마음으로 수능의 결과를 기다린다. 수능의 결과가 좋은 대학으로 가는 지름길이자 자식 인생 항로의 중대 고비가 된다는 생각에 모든 것을 집중한다.
수능은 말 그대로 대학에서 수학할 능력을 검정하는 테스트다. 수십년 간 똑같은 방법으로 시험을 봤지만 사회적 반론이 별로 없다. 하지만 학생들 입장에서 보면 회의론이 없지는 않을 것 같다.
듣기 좋은 말로 수능을 인생의 한 과정이라지만 학생이 받아들이는 압박감은 크다. 수능 한번이 내 인생의 모든 것을 재단해 버린다고 생각하면 차라리 충격이다. 12년 공부한 결과를 받아보고 교실 안에서 울고 웃는 수험생의 모습을 보면 과연 수능이 만능일까 하는 의문이 들 때가 있다.
올 수능이 실시되고 서울의 한 고등학교에서 수능을 망친 수험생 딸에게 아빠가 보낸 글이 화제다. 불수능에 좌절한 딸에게 아빠는 “소중한 막내딸 성적 잘 안 나왔다고 좌절하고 그러지 마, 아빠가 돈 버는 이유는 너 때문인데 아빠 능력이 아직도 짱짱해”라고 했다. 그는 딸에게 500만원 주고 “하고 싶은 거 다 도전해도 좋다”고 했다.
이 글을 본 네티즌은 “수능 만점보다 이런 아빠가 더 좋다”는 뜨거운 반응을 쏟아냈다. 모두가 걱정하는 수능을 통쾌하게 한 방 먹인 아빠의 응원, 꽃보다 할배라더니 수능보다 아빠다. /우정구(논설위원)